6.4 서울시장선거 핫이슈 '친환경 유통센터 비리'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4-05-27 14:32:52
    • 카카오톡 보내기
    정몽준 이어 문용린 "친환경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비양심적 사기집단" 맹비난
    박원순측 "감사결과 이상무"

    [시민일보=이영란 기자]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이른바 ‘친환경급식’ 문제가 서울시장 선거와 서울시교육감 선거의 최대 이슈로 떠올랐다.

    문용린 서울시교육감 후보 선대위는 27일 “감사원 감사 결과, 서울친환경유통센터의 비리가 사실로 드러났다”며 진보성향 급식유통독점체제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전날 열린 서울시장 후보 TV 토론회에서도 최대쟁점은 서울친환경유통센터와 연관된 '농약급식'문제였다.

    문 후보 측은 이날 ‘친환경’을 앞세워 학교급식에 관여했던 서울친환경유통센터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했다.

    문 후보 측 주장에 따르면 친환경유통센터는 지난 3년간 4085억 원의 학교식재료를 공급하면서 △독단적이고 불투명한 업체선정, △편법적인 수의계약방식, △유통단계를 줄였다는 대외발표와는 달리 실제로는 5단계에 이르는 복잡한 유통구조, △좌파 시민단체 인사들의 센터에 대한 영향력 행사, △시중보다 30-50% 정도 비싼 친환경농산물의 가격책정, △산지수집상에게 높은 가격을 책정해주고 센터는 그들에게 수수료를 받아 이익창출, △다수의 부당 급식업자가 지속적인 계약유지 △홍보성 농약검사비용 과다지출 등 총체적인 부실을 안고 있었다.

    이와 관련, 문 후보 측은 “유통센터는 지난 3년 여간 4085억 원의 식재료를 전액 수의계약으로 학교에 납품하는 편법을 동원했다. 그러나 모순되게도 모든 결정은 센터가 하되, 책임은 학교와 업체에 미루는 비정상적인 공급체계로 운영됐다”며 “지난 1년여 동안, 유통센터의 파행과 비리에 대한 단호한 제재를 가한 결과, 유통센터를 이용하던 867개의 학교 중 신학기에 39개 학교만 이용 신청을 함으로써 친환경유통센터가 문을 닫을 위기에 처해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친환경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진보성향 급식유통업체는 우리 아이들의 건강을 담보한 비양심적 사기집단”이라며 "이러한 파렴치한 행위는 우리 아이들의 먹거리뿐만 아니라 진정성있게 친환경농산물을 생산하는 업체와 개인에게도 큰 피해를 주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유통센터의 구체적인 비리와 유착이 밝혀지는 과정에서 제가 식재료 구매방법개선방안을 마련하였고, 2014년 신학기부터 시행했다”며 “개선방안의 주요 내용은 특혜적인 수의계약의 한도를 줄이고, 센터에게 빼앗긴 학교와 학부모의 재량권을 회복시킨 것으로 결국 450억 원을 절감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 캠프 강희용 정책대변인은 이날 <시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문 후보 측 주장은 최근 학부모 단체가 감사원에 감사청구했던 내용의 핵심 요지인데 감사결과 아무런 문제점도 지적되지 않았다”며 “사전 검수 안했다고 하지만 100% 전수조사 했다. 450억원 비용절감 주장은 친환경 농산물 비율을 50% 이상 줄인 결과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전날 열린 서울시장 후보 토론회에서도 '농약급식'을 둘러싼 새누리당 정몽준 후보와 새정치민주연합 박원순 후보의 공방전이 이어졌다.

    정몽준 후보는 "무상급식에 잔류 농약이 포함돼 '친환경급식'이 아니라 고가의 '농약급식'"이라고 비난하며 그 근거로 감사원 감사결과를 들고 나왔다.

    박원순 후보는 "친환경 무상급식의 경우 어떤 경우에도 농약급식을 공급하거나 식탁에 올라간 적이 없다. 서울시 산하에 있는 친환경 지원센터에서 미리 농약 잔류량에 대해서 검사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