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신한결 기자]내년부터 재난의료 관련 예산이 10배 가까이 증가해 재난거점병원과 재난의료인력이 확충된다.
보건복지부는 중앙응급의료위원회를 열어 내년도 재난의료 지원예산을 전년(22억원) 대비 9.5배 증액한 208억원으로 확정했다고 10일 밝혔다.
위원회는 세월호 침몰사고에 대한 응급의료지원 현황을 보고받고, 대형사고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국가투자가 확대돼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예비병상과 독극물 등 오염물질에 노출된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춘 재난거점병원은 20곳에서 35곳으로 확대된다. 전국을 1시간내 접근 가능하도록 35개 권역으로 나눠 지정할 방침이다.
이 곳은 평상시에는 식당·주차장 등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만 산소공급장치·흡입기 등이 벽에 설치돼 있어 재난시에는 병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실시간 대응을 위해 해당 권역의 재난의료를 총괄하는 응급의학전문의 1명도 지정할 계획이다.
또 재난현장에 출동하는 재난의료지원팀(DMAT)을 현행 전국 65개에서 105개 이상으로 늘리고, 출동요청시 신속 출동할 수 있도록 현행 8명에서 4명 내외의 소규모 DMAT도 구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재난 상황 전파 및 초기대응을 위해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에 24시간 재난ㆍ응급의료상황실을 설치한다. 상황실은 재난시에는 실시간 병상 확보, 환자 분산배치, 현장의료진 출동명령 등의 역할을 하고, 평상시에는 병상·구급차·헬기 등의 응급의료자원 현황을 관리하면서 응급환자의 전원을 조정하는 역할을 맡는다.
복지부는 이밖에 심폐소생술 교육지원과 취약지역 응급실 지원, 중증외상전문진료체계, 닥터헬기 운영지원 등 응급의료 안전망 강화를 위한 투자 확대방안을 담았다.
보건복지부는 중앙응급의료위원회를 열어 내년도 재난의료 지원예산을 전년(22억원) 대비 9.5배 증액한 208억원으로 확정했다고 10일 밝혔다.
위원회는 세월호 침몰사고에 대한 응급의료지원 현황을 보고받고, 대형사고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국가투자가 확대돼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예비병상과 독극물 등 오염물질에 노출된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춘 재난거점병원은 20곳에서 35곳으로 확대된다. 전국을 1시간내 접근 가능하도록 35개 권역으로 나눠 지정할 방침이다.
이 곳은 평상시에는 식당·주차장 등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만 산소공급장치·흡입기 등이 벽에 설치돼 있어 재난시에는 병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실시간 대응을 위해 해당 권역의 재난의료를 총괄하는 응급의학전문의 1명도 지정할 계획이다.
또 재난현장에 출동하는 재난의료지원팀(DMAT)을 현행 전국 65개에서 105개 이상으로 늘리고, 출동요청시 신속 출동할 수 있도록 현행 8명에서 4명 내외의 소규모 DMAT도 구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재난 상황 전파 및 초기대응을 위해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에 24시간 재난ㆍ응급의료상황실을 설치한다. 상황실은 재난시에는 실시간 병상 확보, 환자 분산배치, 현장의료진 출동명령 등의 역할을 하고, 평상시에는 병상·구급차·헬기 등의 응급의료자원 현황을 관리하면서 응급환자의 전원을 조정하는 역할을 맡는다.
복지부는 이밖에 심폐소생술 교육지원과 취약지역 응급실 지원, 중증외상전문진료체계, 닥터헬기 운영지원 등 응급의료 안전망 강화를 위한 투자 확대방안을 담았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