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청원 의원 "靑 정치 2선으로 되도록 야당과 대화 주도하겠다"
이인제 의원 "대통령 뒤에 숨어선 안돼 각종 현안 목소리를 내야"
"김영우 의원 "새누리는 자생력 부족해 청와대가 당 뒷받침해야"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새누리당 차기 지도부를 선출하는 7.14 전당대회를 앞두고 출마자들이 저마다 '탈 박근혜'를 주장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실제 김무성·서청원·이인제·김영우 의원 등 당권도전에 나선 의원들은 한결같이 '당·청 수평적 관계'를 주장하며 '할 말 하는 여당'을 강조하고 있다.
김무성 의원은 11일 "당정청도 건전한 긴장과 견제를 유지해야 발전할 수 있는데 지난 1년 반 동안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날 KBS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 출연해 "당 대표가 되면 서로 견제하고, 긴장 관계를 유지해 박근혜 정부가 성공하도록 하고, 당에서 대통령의 밝은 눈과 큰 귀가 되어 국민의 여론을 가감 없이 전달하는 기능을 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서청원 의원 역시 같은 날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집권여당이 주도해서 정국을 이끌어가야 하는데 그동안 굉장히 어려웠다"며 "청와대는 정치에 관해선 2선에 물러나 있도록 여당이 (야당과의 대화를) 주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여의도 정치는 집권여당이 책임을 지고 이끌어가지 않으면 계속해서 파열음만 생긴다"면서 "여당이 정례적인 당청 관계를 통해 야당의 목소리도 전달하는 기회를 갖고 야당과 대화하는데 여당이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인제 의원도 전날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출마 기자회견을 갖고 "그동안 새누리당은 잠들어 있었다"며 "당이 정국을 주도하지 못하고 행정부가 하는 일에 끌려 다니기 바빴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이제는 집권 여당이 대통령 뒤에 숨어서는 안 되며 각종 현안을 주도하고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지어 김영우 의원은 "당이 청와대를 뒷받침하는 것이 아니라 청와대가 당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PBC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새누리당은 위기에 빠지면 무조건 박근혜 대통령에게 기댄다"며 "지금은 당이 일방적으로 청와대의 심부름꾼으로 전락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고 자생력이 부족하다"고 돌직구를 날렸다.
저마다 상대를 향해 날리는 견제구 역시 녹록치 않은 모습이다.
김무성 의원은 서 의원을 겨냥, "과거의 정치문화가 세몰이, 줄 세우기, 고비용 정치문화였다"고 날을 세웠다.
김 의원은 전날 서 의원이 당권 도전을 선언하면서 주최한 토론회가 성황을 이룬 데 대해 "경쟁자가 하는 일에 대해서 평가하고 싶지 않다"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그러면서 "과거의 문화를 버리고 미래로 나가기 위해서 저부터 혁신하겠다"며 "저는 혼자 출마선언을 했고 출정식, 개소식 같은 건 하지 않겠다고 이미 선언했다"고 차별화를 시도했다.
이인제 의원은 서청원·김무성 의원에 대해 "두 후보 모두 새누리당의 큰 거목(巨木)이지만, 과거와 단절해 당을 완전히 확 바꾸기에는 어려움이 많은 분들"이라고 평가하면서 "어떤 기득권도 없는 제가 당을 혁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재선의 김영우 의원은 7선 서청원 의원, 6선 이인제 의원, 5선 김무성 의원을 두고 "지금 모든 분들이 당의 혁신을 이야기하고 있다"며 "과연 '3김 시대' 이후 계속해서 오늘날 정치적인 풍토와 문화를 만들어온, 어떻게 보면 정치적 기득권에 속하신 분들이 혁신을 할 수 있겠는가 생각한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이인제 의원 "대통령 뒤에 숨어선 안돼 각종 현안 목소리를 내야"
"김영우 의원 "새누리는 자생력 부족해 청와대가 당 뒷받침해야"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새누리당 차기 지도부를 선출하는 7.14 전당대회를 앞두고 출마자들이 저마다 '탈 박근혜'를 주장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실제 김무성·서청원·이인제·김영우 의원 등 당권도전에 나선 의원들은 한결같이 '당·청 수평적 관계'를 주장하며 '할 말 하는 여당'을 강조하고 있다.
김무성 의원은 11일 "당정청도 건전한 긴장과 견제를 유지해야 발전할 수 있는데 지난 1년 반 동안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날 KBS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 출연해 "당 대표가 되면 서로 견제하고, 긴장 관계를 유지해 박근혜 정부가 성공하도록 하고, 당에서 대통령의 밝은 눈과 큰 귀가 되어 국민의 여론을 가감 없이 전달하는 기능을 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서청원 의원 역시 같은 날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집권여당이 주도해서 정국을 이끌어가야 하는데 그동안 굉장히 어려웠다"며 "청와대는 정치에 관해선 2선에 물러나 있도록 여당이 (야당과의 대화를) 주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여의도 정치는 집권여당이 책임을 지고 이끌어가지 않으면 계속해서 파열음만 생긴다"면서 "여당이 정례적인 당청 관계를 통해 야당의 목소리도 전달하는 기회를 갖고 야당과 대화하는데 여당이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인제 의원도 전날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출마 기자회견을 갖고 "그동안 새누리당은 잠들어 있었다"며 "당이 정국을 주도하지 못하고 행정부가 하는 일에 끌려 다니기 바빴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이제는 집권 여당이 대통령 뒤에 숨어서는 안 되며 각종 현안을 주도하고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지어 김영우 의원은 "당이 청와대를 뒷받침하는 것이 아니라 청와대가 당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PBC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새누리당은 위기에 빠지면 무조건 박근혜 대통령에게 기댄다"며 "지금은 당이 일방적으로 청와대의 심부름꾼으로 전락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고 자생력이 부족하다"고 돌직구를 날렸다.
저마다 상대를 향해 날리는 견제구 역시 녹록치 않은 모습이다.
김무성 의원은 서 의원을 겨냥, "과거의 정치문화가 세몰이, 줄 세우기, 고비용 정치문화였다"고 날을 세웠다.
김 의원은 전날 서 의원이 당권 도전을 선언하면서 주최한 토론회가 성황을 이룬 데 대해 "경쟁자가 하는 일에 대해서 평가하고 싶지 않다"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그러면서 "과거의 문화를 버리고 미래로 나가기 위해서 저부터 혁신하겠다"며 "저는 혼자 출마선언을 했고 출정식, 개소식 같은 건 하지 않겠다고 이미 선언했다"고 차별화를 시도했다.
이인제 의원은 서청원·김무성 의원에 대해 "두 후보 모두 새누리당의 큰 거목(巨木)이지만, 과거와 단절해 당을 완전히 확 바꾸기에는 어려움이 많은 분들"이라고 평가하면서 "어떤 기득권도 없는 제가 당을 혁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재선의 김영우 의원은 7선 서청원 의원, 6선 이인제 의원, 5선 김무성 의원을 두고 "지금 모든 분들이 당의 혁신을 이야기하고 있다"며 "과연 '3김 시대' 이후 계속해서 오늘날 정치적인 풍토와 문화를 만들어온, 어떻게 보면 정치적 기득권에 속하신 분들이 혁신을 할 수 있겠는가 생각한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