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박지원 의원 "비서실장 사퇴해야 난국 풀리고 인사위원장 겸직 제도적 개선을"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안대희 전 대법관에 이어 문창극 전 중앙일보 주필까지 국무총리 지명자들의 도중 하차와 관련한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 책임론을 놓고 여야 유력 정치인이 25일 장외 공방을 벌였다.
새정치민주연합 박지원 의원과 새누리당 홍문종 의원은 이날 SBS <한수진의 SBS 전망대>에서 김기춘 실장 책임론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박지원 의원은 “이 난국은 김기춘 비서실장이 사퇴를 해야 모든 것이 잘 풀린다”고 주장했다.
그 이유에 대해 “문창극 총리 후보자의 추천도 비선 라인에서 했다, 이것으로 비서실장의 책임이 없는 것은 아니다. 비선 라인을 작동하게 한 것도 잘못이지만 검증의 책임도 분명히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박 의원은 “비선 라인이 국정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비서실장의 역할”이라며 “비선 라인이 (인사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은 모든 언론과 국민들, 정치권에서 의혹을 가지고 있지 않느냐. ‘만만회’라는 것이 움직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비서실장이 인사위원장을 겸직하는 것을 제도적으로 개선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다만 박 의원은 문창극 총리 후보자의 사퇴가 레임덕으로 이어질 거라는 관측에 대해서는 “아직도 3년 반의 임기가 남아있는 대통령에게는 조금 성급한 진단”이라고 일축했다.
차기 총리로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거론되는 것에 대해서도 “훌륭한 분이지만 대권을 꿈꾸고 그 길로 가고 있기 때문에 박근혜 대통령께서 상당한 부담을 느끼지 않을까”라면서 “잘못하면 제2의 이회창 총리가 안 나온다고 볼 수 없다”고 부정적인 전망을 했다.
홍 의원은 박 의원의 김 실장 사퇴 요구에 대해 "또 다른 정치 공세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김기춘 실장이 이 분을 발탁하는데 있어서 무슨 잘못이 있었나, 저희가 한 번 곰곰이 따져볼 그럴 필요도 있다”며 “이런 일이 있을 때마다 비서실장에게 그 책임을 다 전가하는 것은 좀 부당하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문 후보자의 자진사퇴에 대해서는 “참 안타까운 일”이라고 아쉬워했다.
그는 “국회에서 정한 법과 절차에 따라서 최소한 청문회는 했어야 하는데, 청문회도 하지 못하고 중간에 그만 두시게 되어서 그 분을 지지하는 분들은 상당히 안타깝게 생각하고, 또 독립유공자의 후손이라는 이야기가 알려지면서 더욱 더 국민들이 안타까워하지 않았나, 그런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분(문창극)이 지금 뭐가 잘못되었는가를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며 "책임을 진다면 KBS가 져야하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그 이유에 대해 홍 의원은 “방송은 공정해야 한다. 그리고 국민들을 오도하면 안 되는데, 처음에 국민들에게 잘못된 인상을 심어줘 국민들이 맨 처음에 문창극 후보에 대해 싸늘하고 차가운 반응을 나타낼 수밖에 없도록 몰아간 여론들이 좀 많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비판했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안대희 전 대법관에 이어 문창극 전 중앙일보 주필까지 국무총리 지명자들의 도중 하차와 관련한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 책임론을 놓고 여야 유력 정치인이 25일 장외 공방을 벌였다.
새정치민주연합 박지원 의원과 새누리당 홍문종 의원은 이날 SBS <한수진의 SBS 전망대>에서 김기춘 실장 책임론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박지원 의원은 “이 난국은 김기춘 비서실장이 사퇴를 해야 모든 것이 잘 풀린다”고 주장했다.
그 이유에 대해 “문창극 총리 후보자의 추천도 비선 라인에서 했다, 이것으로 비서실장의 책임이 없는 것은 아니다. 비선 라인을 작동하게 한 것도 잘못이지만 검증의 책임도 분명히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박 의원은 “비선 라인이 국정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비서실장의 역할”이라며 “비선 라인이 (인사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은 모든 언론과 국민들, 정치권에서 의혹을 가지고 있지 않느냐. ‘만만회’라는 것이 움직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비서실장이 인사위원장을 겸직하는 것을 제도적으로 개선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다만 박 의원은 문창극 총리 후보자의 사퇴가 레임덕으로 이어질 거라는 관측에 대해서는 “아직도 3년 반의 임기가 남아있는 대통령에게는 조금 성급한 진단”이라고 일축했다.
차기 총리로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거론되는 것에 대해서도 “훌륭한 분이지만 대권을 꿈꾸고 그 길로 가고 있기 때문에 박근혜 대통령께서 상당한 부담을 느끼지 않을까”라면서 “잘못하면 제2의 이회창 총리가 안 나온다고 볼 수 없다”고 부정적인 전망을 했다.
홍 의원은 박 의원의 김 실장 사퇴 요구에 대해 "또 다른 정치 공세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김기춘 실장이 이 분을 발탁하는데 있어서 무슨 잘못이 있었나, 저희가 한 번 곰곰이 따져볼 그럴 필요도 있다”며 “이런 일이 있을 때마다 비서실장에게 그 책임을 다 전가하는 것은 좀 부당하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문 후보자의 자진사퇴에 대해서는 “참 안타까운 일”이라고 아쉬워했다.
그는 “국회에서 정한 법과 절차에 따라서 최소한 청문회는 했어야 하는데, 청문회도 하지 못하고 중간에 그만 두시게 되어서 그 분을 지지하는 분들은 상당히 안타깝게 생각하고, 또 독립유공자의 후손이라는 이야기가 알려지면서 더욱 더 국민들이 안타까워하지 않았나, 그런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분(문창극)이 지금 뭐가 잘못되었는가를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며 "책임을 진다면 KBS가 져야하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그 이유에 대해 홍 의원은 “방송은 공정해야 한다. 그리고 국민들을 오도하면 안 되는데, 처음에 국민들에게 잘못된 인상을 심어줘 국민들이 맨 처음에 문창극 후보에 대해 싸늘하고 차가운 반응을 나타낼 수밖에 없도록 몰아간 여론들이 좀 많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비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