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새누리당 전당대회 첫 TV토론에서 김무성 서청원 의원 등 유력당권 주자들이 너도나도 '친박(친박근혜)' 후보임을 자처했으나 정작 당내 ‘박근혜 복심’으로 통하는 홍문종 의원이 'X' 푯말을 들어 눈길을 끌었다.
9일 새벽 MBC <100분 토론>에 출연한 새누리당 대표최고위원 후보들은 토론 중반부 OX로 입장을 밝히는 코너에서 '친박이냐'는 질문을 받자 서청원, 김무성, 김을동, 김영우 의원은 물론 친이계 박창달 전 의원까지 모두 'O' 푯말을 들었고. 김상민, 김태호 의원은 ‘△’를 선택했다.
하지만 친박 핵심 인사인 홍 의원은 비박 후보인 이인제 의원과 함께 'X' 푯말을 들었다.
이에 대해 홍 의원은 "다 하나가 돼야 한다는 뜻에서 '친박', '원박', '돌박' 등을 쓰지 말자는 뜻에서 친박이 아니라고 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당대표 자리를 놓고 경쟁을 벌이는 김무성 의원과 서청원 의원은 대부분의 질문에 ‘△’를 선택하는 등 다소 애매한 태도를 취해 소신없이 지나치게 눈치 보기를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실제 '최근 거듭된 인사실패에 대해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이 사퇴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김무성 의원과 서청원 의원은 '△'푯말을 들었다.
반면 박창달 전 의원, 김영우·김상민·김태호 의원 등 비박계 주자들이 모두 'O'를 들었고, 이인제·김을동·홍문종 의원은 'X'를 들면서 반대의사를 분명히 했다.
이에 대해 이인제 의원은 "(김기춘 실장이) 독자적 지위나 권한을 가진 것이 아니고 대통령의 의지를 전달하는 지위에 불과하다"며 "본인은 자기 책임이 있다고 했지만 책임이 있으면 대통령이 책임을 추궁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정홍원 국무총리의 유임이 잘 한 결정인가' 하는 질문 역시 서청원 의원과 김무성 의원은 '중립'을 표하면서 명확한 답을 피했다.
그러나 이인제·김영우·김상민·김태호 의원은 'X'를, 홍문종 김을동 의원과 박창달 전 의원은 'O' 푯말을 들었다.
이에 대해 홍 의원은 "문창극 전 국무총리 후보 사퇴 이후 국정이 스피드 있게 진행돼야 하고 7명 장관이 바뀌는 상황이었다. (정 총리 유임은) 고육지책"이라며 "문창극 전 후보가 사퇴한 상황에선 정 총리가 유임하는 것이 잘된 일일 수밖에 없지 않느냐"고 밝혔다.
하지만 김상민 의원은 "국민은 정 총리에 대해 유임하지 않았다"며 "국민들로부터 새누리당과 대통령이 멀어지고 불신을 받을까 걱정된다"고 쓴소리를 했다.
'당의 미래를 위해서라면 합종연횡도 기꺼이 고려할 수 있나'는 질문에는 김을동·김무성·홍문종 의원이 'O'를 택했고 박창달 전 의원과 이인제·김영우·김상민·김태호 의원은 'X' 푯말을 들었다. 여기서도 서청원 의원은 '△'푯말을 들었다.
이에 대해 김무성 의원은 "1인 2표다. 뜻이 맞는 후보끼리 서로 협조할 수 있다"며 "지금 현재 그렇게 되고 있다"고 말했다.
9일 새벽 MBC <100분 토론>에 출연한 새누리당 대표최고위원 후보들은 토론 중반부 OX로 입장을 밝히는 코너에서 '친박이냐'는 질문을 받자 서청원, 김무성, 김을동, 김영우 의원은 물론 친이계 박창달 전 의원까지 모두 'O' 푯말을 들었고. 김상민, 김태호 의원은 ‘△’를 선택했다.
하지만 친박 핵심 인사인 홍 의원은 비박 후보인 이인제 의원과 함께 'X' 푯말을 들었다.
이에 대해 홍 의원은 "다 하나가 돼야 한다는 뜻에서 '친박', '원박', '돌박' 등을 쓰지 말자는 뜻에서 친박이 아니라고 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당대표 자리를 놓고 경쟁을 벌이는 김무성 의원과 서청원 의원은 대부분의 질문에 ‘△’를 선택하는 등 다소 애매한 태도를 취해 소신없이 지나치게 눈치 보기를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실제 '최근 거듭된 인사실패에 대해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이 사퇴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김무성 의원과 서청원 의원은 '△'푯말을 들었다.
반면 박창달 전 의원, 김영우·김상민·김태호 의원 등 비박계 주자들이 모두 'O'를 들었고, 이인제·김을동·홍문종 의원은 'X'를 들면서 반대의사를 분명히 했다.
이에 대해 이인제 의원은 "(김기춘 실장이) 독자적 지위나 권한을 가진 것이 아니고 대통령의 의지를 전달하는 지위에 불과하다"며 "본인은 자기 책임이 있다고 했지만 책임이 있으면 대통령이 책임을 추궁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정홍원 국무총리의 유임이 잘 한 결정인가' 하는 질문 역시 서청원 의원과 김무성 의원은 '중립'을 표하면서 명확한 답을 피했다.
그러나 이인제·김영우·김상민·김태호 의원은 'X'를, 홍문종 김을동 의원과 박창달 전 의원은 'O' 푯말을 들었다.
이에 대해 홍 의원은 "문창극 전 국무총리 후보 사퇴 이후 국정이 스피드 있게 진행돼야 하고 7명 장관이 바뀌는 상황이었다. (정 총리 유임은) 고육지책"이라며 "문창극 전 후보가 사퇴한 상황에선 정 총리가 유임하는 것이 잘된 일일 수밖에 없지 않느냐"고 밝혔다.
하지만 김상민 의원은 "국민은 정 총리에 대해 유임하지 않았다"며 "국민들로부터 새누리당과 대통령이 멀어지고 불신을 받을까 걱정된다"고 쓴소리를 했다.
'당의 미래를 위해서라면 합종연횡도 기꺼이 고려할 수 있나'는 질문에는 김을동·김무성·홍문종 의원이 'O'를 택했고 박창달 전 의원과 이인제·김영우·김상민·김태호 의원은 'X' 푯말을 들었다. 여기서도 서청원 의원은 '△'푯말을 들었다.
이에 대해 김무성 의원은 "1인 2표다. 뜻이 맞는 후보끼리 서로 협조할 수 있다"며 "지금 현재 그렇게 되고 있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