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야당으로부터 이른바 ‘만만회(박지만, 이재만, 정윤회)’의 한 사람으로 지목받는 정윤회 씨가 대통령에게 자료를 주거나 인물을 추천한다는 세간의 소문을 전면 부인했다.
중앙일보 김진 논설위원은 9일자 <중앙시평> 칼럼에서 정윤회 씨와의 대화를 직접 인용하며 그의 입장을 전했다.
1997년부터 10년간 정치인 박근혜의 비서실장을 지낸 정씨는 2007년 자신이 최태민 목사의 사위라는 게 불거지자 비서실장을 그만뒀다. 하지만 그가 비서실장 시절 발탁한 보좌진들이 ‘청와대 3인방’으로 불리며 여전히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인물이다.
그러나 그는 ‘청와대 3인방과 접촉하느냐’는 질문에 “접촉 없다”며 “인간적인 정의(情誼)로 보면 이들이 나에게 연락하는 게 도리인데 섭섭하다”고 말했다.
그런데도 새정치민주연합 등 야당에서 ‘만만회’를 거론하며 ‘그림자 실세’라고 지적하는 것에 대해 “소설이다. 실체가 없다는 걸 그들도 알고 있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어 정씨는 “이름을 그렇게 붙이면 사람들이 쉽게 입에 올릴 거라는 점을 노리고 그렇게 한다. 대통령이나 당사자들이 입을 억울한 피해는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면서 “경박하고 무책임하다. 야당의 수준이 이러하니 나라가 심히 걱정된다”고 지적했다.
정씨는 근거 없는 정치공세에 대해 강경대응 방침을 분명히 했다.
그는 “비서실장 시절 ‘정치인 박근혜’를 모시고 나라를 위해 일을 한다는 게 커다란 즐거움이었다. 대통령으로도 모시고 싶었다. 그 꿈이 지금은 멀어졌다. 안타깝다”며 “이제는 잘못된 소문을 불식시키는 게 대통령과 정권을 돕는 길”이라고 밝혔다.
이어 “신설되는 특별감찰관이든 청와대 민정수석실이든 정부가 공식적으로 조사해 달라. ‘박근혜 비서실장’ 시절부터 지금까지 나의 모든 걸 조사해도 좋다. 재산, 이권 개입, 박지만 미행 의혹, 비선 활동, 모든 걸 조사하라. 대통령 동생 이름에다 총리 후보자 추천설까지 나왔으니 정부가 조사할 필요가 생겼다”면서 “비서실장 때나 그 이후나 잘못이 있으면 감옥에 가겠다. 하지만 내가 결백하면 헛소문으로 나를 공격하는 이들이 책임을 져야 한다. 지금 세상은 이상하고 나는 억울하다”고 호소했다.
그는 또 지난 3월 <시사저널>이 정씨가 사람을 시켜 대통령의 동생 박지만 회장을 미행했다고 보도한 것에 대해 “그저 평범한 시민인데 왜 그런 일을 하겠는가”라며 “미행이 있었는지, 있었다면 누가 한 건지 나는 모른다”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김진 논설위원은 “‘정윤회 소문’은 사회의 성숙도를 재는 중요한 사례다. 성숙한 사회라면 공격하는 이들이 근거를 대야 한다. ‘카더라 통신’이나 지어낸 말로만 하면 싸구려 사회다. 특히 근거도 없이 세인의 혀끝에 달라붙는 조어를 만들어 세상에 퍼뜨리는 건 얄팍한 술책”이라며 “조사 결과 정씨가 옳으면 ‘싸구려 공세’를 벌인 이들은 책임을 져야 한다. 반대로 그가 거짓말을 하면 박근혜 정권은 큰 상처를 입을 것”이라고 평했다.
중앙일보 김진 논설위원은 9일자 <중앙시평> 칼럼에서 정윤회 씨와의 대화를 직접 인용하며 그의 입장을 전했다.
1997년부터 10년간 정치인 박근혜의 비서실장을 지낸 정씨는 2007년 자신이 최태민 목사의 사위라는 게 불거지자 비서실장을 그만뒀다. 하지만 그가 비서실장 시절 발탁한 보좌진들이 ‘청와대 3인방’으로 불리며 여전히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인물이다.
그러나 그는 ‘청와대 3인방과 접촉하느냐’는 질문에 “접촉 없다”며 “인간적인 정의(情誼)로 보면 이들이 나에게 연락하는 게 도리인데 섭섭하다”고 말했다.
그런데도 새정치민주연합 등 야당에서 ‘만만회’를 거론하며 ‘그림자 실세’라고 지적하는 것에 대해 “소설이다. 실체가 없다는 걸 그들도 알고 있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어 정씨는 “이름을 그렇게 붙이면 사람들이 쉽게 입에 올릴 거라는 점을 노리고 그렇게 한다. 대통령이나 당사자들이 입을 억울한 피해는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면서 “경박하고 무책임하다. 야당의 수준이 이러하니 나라가 심히 걱정된다”고 지적했다.
정씨는 근거 없는 정치공세에 대해 강경대응 방침을 분명히 했다.
그는 “비서실장 시절 ‘정치인 박근혜’를 모시고 나라를 위해 일을 한다는 게 커다란 즐거움이었다. 대통령으로도 모시고 싶었다. 그 꿈이 지금은 멀어졌다. 안타깝다”며 “이제는 잘못된 소문을 불식시키는 게 대통령과 정권을 돕는 길”이라고 밝혔다.
이어 “신설되는 특별감찰관이든 청와대 민정수석실이든 정부가 공식적으로 조사해 달라. ‘박근혜 비서실장’ 시절부터 지금까지 나의 모든 걸 조사해도 좋다. 재산, 이권 개입, 박지만 미행 의혹, 비선 활동, 모든 걸 조사하라. 대통령 동생 이름에다 총리 후보자 추천설까지 나왔으니 정부가 조사할 필요가 생겼다”면서 “비서실장 때나 그 이후나 잘못이 있으면 감옥에 가겠다. 하지만 내가 결백하면 헛소문으로 나를 공격하는 이들이 책임을 져야 한다. 지금 세상은 이상하고 나는 억울하다”고 호소했다.
그는 또 지난 3월 <시사저널>이 정씨가 사람을 시켜 대통령의 동생 박지만 회장을 미행했다고 보도한 것에 대해 “그저 평범한 시민인데 왜 그런 일을 하겠는가”라며 “미행이 있었는지, 있었다면 누가 한 건지 나는 모른다”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김진 논설위원은 “‘정윤회 소문’은 사회의 성숙도를 재는 중요한 사례다. 성숙한 사회라면 공격하는 이들이 근거를 대야 한다. ‘카더라 통신’이나 지어낸 말로만 하면 싸구려 사회다. 특히 근거도 없이 세인의 혀끝에 달라붙는 조어를 만들어 세상에 퍼뜨리는 건 얄팍한 술책”이라며 “조사 결과 정씨가 옳으면 ‘싸구려 공세’를 벌인 이들은 책임을 져야 한다. 반대로 그가 거짓말을 하면 박근혜 정권은 큰 상처를 입을 것”이라고 평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