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념 같을 때 힘 합쳐야, 민주주의 역사의 중요 부분"
[시민일보=이영란 기자]7.30 재·보선을 앞두고 전통적으로 새누리당 강세지역인 영남과 새정치민주연합 텃밭인 호남을 제외한 대부분이 격전지로 꼽히고 있는 가운데 야권이 ‘야권연대’ 딜레마에 빠져있는 모습이다.
수도권과 충청권 등에서 새누리당 후보들이 약진한다는 판세 분석 때문이다.
실제 중앙일보 조사연구팀과 여론조사기관인 엠브레인이 지난 10~15일 해당지역 유권자 800명씩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수도권과 충청권 등 이른바 중립지대 9곳 가운데 7곳이 새누리당 후보들에게 밀리는 반면 새정치연합 우세 지역은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가 출마한 수원병과 정장선 전 의원이 후보로 나선 평택을 등 2곳은 여야 후보 간 접전이 팽팽했다.
특히 기동민(새정치연합)·노회찬(정의당) 후보가 경합 중인 동작을이나 박광온(새정치연합)·천호선(정의당) 후보가 출마한 수원정(영통)은 정의당 출신 후보들의 대중적 인지도가 높았다. 이들 지역에 대해 야권연대 논의가 대두되고 있는 배경이다.
야권연대와 관련, 새정치연합과 정의당은 일단은 선을 긋고 있다.
새정치연합 김영록 원내수석부대표는 지난 15일 “야권연대에 대해 국민이 바라보는 시각이 곱지만은 않다”며 “당의 대체적인 생각은 (선거에서) 이길 수 있다고 보고, 승패를 떠나서도 야권연대를 극복해야 되는 것 아닌가”라고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했다.
당초 야권연대에 대해 당대당 논의를 제안했던 정의당도 김한길·안철수 새정치연합 공동대표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자 이를 거둬들였다.
실제 정의당 박원석 대변인은 “이번 재·보선에서 야권연대는 없다고 보면 된다”며 “새정치연합은 새누리당과 다를 바 없거나 그보다도 못한 행태를 보였고 이는 심판의 대상”이라고 지적했다.
그러자 새정치연합 비주류 측에서 야권연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차기 유력한 비주류 대권주자로 꼽히는 손학규 후보는 16일 야권연대에 '지혜로운 대처'를 주문했다.
손 후보는 이날 KBS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과의 인터뷰에서 “야권 표 분산 얘기만 나오면 소수당은 전혀 출마하지 말아야 된다는 것이냐, 소수당은 소수당대로 자기 당의 정책과 이념을 내놓고 선거를 통해 발전의 계기로 삼는 게 권리”라면서도 “정책과 이념이 같고 정치적인 목표가 같을 때 서로 힘을 합치는 것, 그것도 정치의 순리다. 연대라는 것은 민주주의 역사의 중요한 한 부분이고 요소”라고 강조했다.
이는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 등 당 지도부가 야권연대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보이는 것과 다른 견해여서 주목된다.
다만 손 후보는 “원칙 없이 당장 선거에 이기기 위해서 산술적이고 공학적인 계산에 의해 이뤄지는 것도 국민들이 보기 좋아하지 않는 정치불신의 한 근거가 된다”고 지적했다.
486세대에서는 보다 강한 목소리가 나왔다.
새정치연합 우원식 최고위원은 지난 14일 "기본적으로 야권연대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우상호 의원도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방식으로 야권연대를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이들은 투표용지가 인쇄되는 오는 21일 이전에 후보 단일화를 끝내야 지방선거 때처럼 사퇴한 후보에게 투표해 무효표가 양산되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며 단일화를 재촉하고 있다.
심지어 486 세대에서는 이번 재·보궐 선거에서 정의당과의 부분적 야권연대가 성사되면 내년 3월로 예정된 새정치연합 전당대회에서 정의당과의 합당(合黨) 문제를 본격적 의제(議題)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정치연합 김재윤 전략홍보본부장은 “원칙적으로 야권연대는 없다”면서도 “지역별로 논의를 할 순 있다. 그건 후보 간의 문제로 당 차원의 입장과는 무관하다”고 말해 후보별 연대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7.30 재·보선을 앞두고 전통적으로 새누리당 강세지역인 영남과 새정치민주연합 텃밭인 호남을 제외한 대부분이 격전지로 꼽히고 있는 가운데 야권이 ‘야권연대’ 딜레마에 빠져있는 모습이다.
수도권과 충청권 등에서 새누리당 후보들이 약진한다는 판세 분석 때문이다.
실제 중앙일보 조사연구팀과 여론조사기관인 엠브레인이 지난 10~15일 해당지역 유권자 800명씩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수도권과 충청권 등 이른바 중립지대 9곳 가운데 7곳이 새누리당 후보들에게 밀리는 반면 새정치연합 우세 지역은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가 출마한 수원병과 정장선 전 의원이 후보로 나선 평택을 등 2곳은 여야 후보 간 접전이 팽팽했다.
특히 기동민(새정치연합)·노회찬(정의당) 후보가 경합 중인 동작을이나 박광온(새정치연합)·천호선(정의당) 후보가 출마한 수원정(영통)은 정의당 출신 후보들의 대중적 인지도가 높았다. 이들 지역에 대해 야권연대 논의가 대두되고 있는 배경이다.
야권연대와 관련, 새정치연합과 정의당은 일단은 선을 긋고 있다.
새정치연합 김영록 원내수석부대표는 지난 15일 “야권연대에 대해 국민이 바라보는 시각이 곱지만은 않다”며 “당의 대체적인 생각은 (선거에서) 이길 수 있다고 보고, 승패를 떠나서도 야권연대를 극복해야 되는 것 아닌가”라고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했다.
당초 야권연대에 대해 당대당 논의를 제안했던 정의당도 김한길·안철수 새정치연합 공동대표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자 이를 거둬들였다.
실제 정의당 박원석 대변인은 “이번 재·보선에서 야권연대는 없다고 보면 된다”며 “새정치연합은 새누리당과 다를 바 없거나 그보다도 못한 행태를 보였고 이는 심판의 대상”이라고 지적했다.
그러자 새정치연합 비주류 측에서 야권연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차기 유력한 비주류 대권주자로 꼽히는 손학규 후보는 16일 야권연대에 '지혜로운 대처'를 주문했다.
손 후보는 이날 KBS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과의 인터뷰에서 “야권 표 분산 얘기만 나오면 소수당은 전혀 출마하지 말아야 된다는 것이냐, 소수당은 소수당대로 자기 당의 정책과 이념을 내놓고 선거를 통해 발전의 계기로 삼는 게 권리”라면서도 “정책과 이념이 같고 정치적인 목표가 같을 때 서로 힘을 합치는 것, 그것도 정치의 순리다. 연대라는 것은 민주주의 역사의 중요한 한 부분이고 요소”라고 강조했다.
이는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 등 당 지도부가 야권연대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보이는 것과 다른 견해여서 주목된다.
다만 손 후보는 “원칙 없이 당장 선거에 이기기 위해서 산술적이고 공학적인 계산에 의해 이뤄지는 것도 국민들이 보기 좋아하지 않는 정치불신의 한 근거가 된다”고 지적했다.
486세대에서는 보다 강한 목소리가 나왔다.
새정치연합 우원식 최고위원은 지난 14일 "기본적으로 야권연대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우상호 의원도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방식으로 야권연대를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이들은 투표용지가 인쇄되는 오는 21일 이전에 후보 단일화를 끝내야 지방선거 때처럼 사퇴한 후보에게 투표해 무효표가 양산되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며 단일화를 재촉하고 있다.
심지어 486 세대에서는 이번 재·보궐 선거에서 정의당과의 부분적 야권연대가 성사되면 내년 3월로 예정된 새정치연합 전당대회에서 정의당과의 합당(合黨) 문제를 본격적 의제(議題)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정치연합 김재윤 전략홍보본부장은 “원칙적으로 야권연대는 없다”면서도 “지역별로 논의를 할 순 있다. 그건 후보 간의 문제로 당 차원의 입장과는 무관하다”고 말해 후보별 연대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