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사실상 '미니 총선'으로 불리던 7·30 재보선이 여당의 압승으로 끝나면서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안철수 체제가 좌초위기에 직면했다. 특히 우원식 최고위원은 김한길 안철수 공동대표는 물론 최고위원들까지 총 사퇴 가능성을 언급해 눈길을 끌고 있다.
실제 선거에 나선 새정치연합 후보들은 15곳 선거구 중 민심의 바로미터인 수도권과 충청권에서 경기 수원 정 단 한곳을 제외하고는 모두 패배했다. 텃밭인 전남 순천곡성에서 친박 이정현 후보에게 완패하는 수모를 겪기까지 했다.
선거 초반만 해도 낙관적이었던 선거 판세가 급락하게 된 배경에는당 지도부의 무분별한 공천 행각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특히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을 광주 광산을에 전략공천하고, 이 곳에 신청했던 기동민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을 서울 동작을로 끌어올리면서 자중지란에 빠졌다는 지적이다.
실제 석사논문 표절과 남편의 재산축소·탈세 의혹 등 권후보를 겨냥한 새누리당의 집중공세에 밀리면서 새정치연합이 수세에 몰리게 됐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당장 새정치연합 내부에서는 안철수·김한길 공동대표에 대한 책임론이 거세게 제기되는 분위기다.
우원식 최고위원은 31일 안철수·김한길 공동대표의 ‘돌려막기 공천’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우 최고위원은 이날 '신율의 출발새아침’에 출연, “가장 중요했던 동작 을은 광주에 있던 사람을 빼오고, 광주에는 이번에 공천하면 좀 곤란하다 싶었던 권은희 당선자(공천했다). 다음쯤에 해도 되고, 대한민국의 딸을 광주의 딸로 만드는 게 맞느냐는 문제도 있는데(공천했다)”며 “그것이 상당히 계파적인 공천으로 보였다”고 비판했다.
특히 그는 전남 순천-곡성에 새누리당 이정현 당선자의 승리에 대해 “혁신 없는 당에겐 더 이상 표를 주지 않겠다고 하는 호남민심의 큰 분노의 표현”이라며 “단지 순천·곡성 만의 문제가아니라 광주 광산 을에서의 아주 낮은 투표율. 이것이 순천·곡성의 패배와 연결돼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대한민국에서의 혁신은 박근혜정부만의 문제가 아니라 새정치민주연합 자신도 예외가 될 수 없다는 민심을 우리가 읽지 못했다는 것이어서 호남에서의 심판이 수도권보다 저희로서는 더 큰 충격”이라고 평가했다.
김한길 안철수 공동대표의 책임론에 대해선 “웬만큼 졌으면 저도 그런 얘길 할 텐데, 너무 많이 져서 저도 할 말이 없다. 하여튼 당에서 오늘 내일 거치면서 당 안에서 여러 가지 목소리가 나올 텐데”라며 “당 대표들을 바꾸는 차원을 훨씬 넘어서서 새정치민주연합이 어떤 방향으로 혁신해야 할지에 대한 해답을 내놔야 할 때라고 생각하고, 거기에 걸 맞는 책임을 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도 “당초 이번 재보선은 세월호 정국과 인사 문제 속에서 야권이 유리할 것으로 평가됐으나 안철수·김한길 공동대표가 오락가락하는 전략공천으로 유리한 정세를 불리한 구도로 몰아간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전남 순천·곡성 패배로 '철옹성'과도 같았던 텃밭마저 허무하게 무너지며 당 전체에 충격파를 안겼다. 안철수 공동대표가 5곳 현상유지만 해도 잘 하는 선거라고 마지노선을 제시했는데, 그 '최저 방어선'마저 붕괴된 것”이라며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가 선거 패배 책임론의 한가운데 있다. 조만간 조기전당대회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봇물처럼 터져나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조기전대 주장이 확산될 수밖에 없는 지경”이라고 말했다.
특히 안철수 대표에 대해 " 정치생명에 큰 생채기를 입었다”면서 “당내 입지가 급속도로 위축되는 차원을 넘어 대권가도에도 '빨간불'이 켜졌다”고 전망했다.
실제 당내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친노(친노무현)·486·정세균계 등 '변방'으로 그룹들이 두 대표의 퇴진을 요구하며 '비대위 체제 전환 후 조기전대론' 카드를 꺼내들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당장 구주류 강경파 의원 모임인 '혁신모임'과 정세균계 등은 이날 각각 회동, 향후 대책을 논의키로 하는 등 계파별로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편 새누리당은 15개 재·보선 선거구 가운데 순천·곡성은 물론 서울 동작을 등 11곳에서 승리했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텃밭인 호남 3석과 수도권의 경기 수원정 등 4곳밖에 건지지 못했다. 이로써 새누리당은 158석으로 과반 의석(151석)을 재확보, 여대야소 ‘의회권력’을 유지하게 됐다.
실제 선거에 나선 새정치연합 후보들은 15곳 선거구 중 민심의 바로미터인 수도권과 충청권에서 경기 수원 정 단 한곳을 제외하고는 모두 패배했다. 텃밭인 전남 순천곡성에서 친박 이정현 후보에게 완패하는 수모를 겪기까지 했다.
선거 초반만 해도 낙관적이었던 선거 판세가 급락하게 된 배경에는당 지도부의 무분별한 공천 행각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특히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을 광주 광산을에 전략공천하고, 이 곳에 신청했던 기동민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을 서울 동작을로 끌어올리면서 자중지란에 빠졌다는 지적이다.
실제 석사논문 표절과 남편의 재산축소·탈세 의혹 등 권후보를 겨냥한 새누리당의 집중공세에 밀리면서 새정치연합이 수세에 몰리게 됐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당장 새정치연합 내부에서는 안철수·김한길 공동대표에 대한 책임론이 거세게 제기되는 분위기다.
우원식 최고위원은 31일 안철수·김한길 공동대표의 ‘돌려막기 공천’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우 최고위원은 이날 '신율의 출발새아침’에 출연, “가장 중요했던 동작 을은 광주에 있던 사람을 빼오고, 광주에는 이번에 공천하면 좀 곤란하다 싶었던 권은희 당선자(공천했다). 다음쯤에 해도 되고, 대한민국의 딸을 광주의 딸로 만드는 게 맞느냐는 문제도 있는데(공천했다)”며 “그것이 상당히 계파적인 공천으로 보였다”고 비판했다.
특히 그는 전남 순천-곡성에 새누리당 이정현 당선자의 승리에 대해 “혁신 없는 당에겐 더 이상 표를 주지 않겠다고 하는 호남민심의 큰 분노의 표현”이라며 “단지 순천·곡성 만의 문제가아니라 광주 광산 을에서의 아주 낮은 투표율. 이것이 순천·곡성의 패배와 연결돼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대한민국에서의 혁신은 박근혜정부만의 문제가 아니라 새정치민주연합 자신도 예외가 될 수 없다는 민심을 우리가 읽지 못했다는 것이어서 호남에서의 심판이 수도권보다 저희로서는 더 큰 충격”이라고 평가했다.
김한길 안철수 공동대표의 책임론에 대해선 “웬만큼 졌으면 저도 그런 얘길 할 텐데, 너무 많이 져서 저도 할 말이 없다. 하여튼 당에서 오늘 내일 거치면서 당 안에서 여러 가지 목소리가 나올 텐데”라며 “당 대표들을 바꾸는 차원을 훨씬 넘어서서 새정치민주연합이 어떤 방향으로 혁신해야 할지에 대한 해답을 내놔야 할 때라고 생각하고, 거기에 걸 맞는 책임을 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도 “당초 이번 재보선은 세월호 정국과 인사 문제 속에서 야권이 유리할 것으로 평가됐으나 안철수·김한길 공동대표가 오락가락하는 전략공천으로 유리한 정세를 불리한 구도로 몰아간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전남 순천·곡성 패배로 '철옹성'과도 같았던 텃밭마저 허무하게 무너지며 당 전체에 충격파를 안겼다. 안철수 공동대표가 5곳 현상유지만 해도 잘 하는 선거라고 마지노선을 제시했는데, 그 '최저 방어선'마저 붕괴된 것”이라며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가 선거 패배 책임론의 한가운데 있다. 조만간 조기전당대회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봇물처럼 터져나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조기전대 주장이 확산될 수밖에 없는 지경”이라고 말했다.
특히 안철수 대표에 대해 " 정치생명에 큰 생채기를 입었다”면서 “당내 입지가 급속도로 위축되는 차원을 넘어 대권가도에도 '빨간불'이 켜졌다”고 전망했다.
실제 당내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친노(친노무현)·486·정세균계 등 '변방'으로 그룹들이 두 대표의 퇴진을 요구하며 '비대위 체제 전환 후 조기전대론' 카드를 꺼내들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당장 구주류 강경파 의원 모임인 '혁신모임'과 정세균계 등은 이날 각각 회동, 향후 대책을 논의키로 하는 등 계파별로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편 새누리당은 15개 재·보선 선거구 가운데 순천·곡성은 물론 서울 동작을 등 11곳에서 승리했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텃밭인 호남 3석과 수도권의 경기 수원정 등 4곳밖에 건지지 못했다. 이로써 새누리당은 158석으로 과반 의석(151석)을 재확보, 여대야소 ‘의회권력’을 유지하게 됐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