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위원들도 물러나기로, 조기전대 가능성 높아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사실상 '미니 총선'으로 불리던 7·30 재보선이 여당의 압승으로 끝나면서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안철수 체제가 결국 좌초했다.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는 31일 오전 국회에서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지도부 구성원들에게 선거 결과에 책임을 지고 사퇴하겠다는 의중을 밝힌데 이어 국회 정론관에서 이를 공식화했다.
두 공동대표와 함께 최고위원들도 모두 물러나기로 뜻을 모았다. 안철수 공동대표는 "평당원으로 돌아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써 지난 3월26일 야권 통합으로 출범한 제1야당 새정치연합의 '김·안 투톱 체제'는 내년 3월까지인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불과 4개월여만에 막을 내렸다.
이와 함께 박영선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한 뒤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준비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선거에서 새정치연합 후보들은 15곳 선거구 중 민심의 바로미터인 수도권과 충청권에서 경기 수원 정 단 한곳을 제외하고는 모두 패배했다. 텃밭인 전남 순천곡성에서 친박 이정현 후보에게 완패하는 수모를 겪기까지 했다.
선거 초반만 해도 낙관적이었던 선거 판세가 급락하게 된 배경에는 당 지도부의 무분별한 공천 행각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특히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을 광주 광산을에 전략공천하고, 이 곳에 신청했던 기동민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을 서울 동작을로 끌어올리면서 자중지란에 빠졌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새정치연합 내부에서 이날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의 책임론이 불거졌고, 결국 두 공동대표가 이날 동반사의를 표명하게 됐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사실상 '미니 총선'으로 불리던 7·30 재보선이 여당의 압승으로 끝나면서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안철수 체제가 결국 좌초했다.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는 31일 오전 국회에서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지도부 구성원들에게 선거 결과에 책임을 지고 사퇴하겠다는 의중을 밝힌데 이어 국회 정론관에서 이를 공식화했다.
두 공동대표와 함께 최고위원들도 모두 물러나기로 뜻을 모았다. 안철수 공동대표는 "평당원으로 돌아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써 지난 3월26일 야권 통합으로 출범한 제1야당 새정치연합의 '김·안 투톱 체제'는 내년 3월까지인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불과 4개월여만에 막을 내렸다.
이와 함께 박영선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한 뒤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준비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선거에서 새정치연합 후보들은 15곳 선거구 중 민심의 바로미터인 수도권과 충청권에서 경기 수원 정 단 한곳을 제외하고는 모두 패배했다. 텃밭인 전남 순천곡성에서 친박 이정현 후보에게 완패하는 수모를 겪기까지 했다.
선거 초반만 해도 낙관적이었던 선거 판세가 급락하게 된 배경에는 당 지도부의 무분별한 공천 행각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특히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을 광주 광산을에 전략공천하고, 이 곳에 신청했던 기동민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을 서울 동작을로 끌어올리면서 자중지란에 빠졌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새정치연합 내부에서 이날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의 책임론이 불거졌고, 결국 두 공동대표가 이날 동반사의를 표명하게 됐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