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0 재보선서 사실상 불신임
박영선 비대위 체제도 '흔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제1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이 세월호특별법 재합의안 파기와 방탄국회 논란으로 신뢰도가 급격히 추락하면서 최악의 위기상황에 놓였다.
이에 따라 박영선 체제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21일 “정치권 전반에 대한 불신을 새정치민주연합이 앞장서 조장하는 구태를 보이고 있다”며 “7·30 재보궐선거의 참패로 싸늘한 민심을 확인한 새정치연합이 당 혁신과 재건을 위해 국민공감혁신위원회까지 출범시켰지만 세월호 정국 속에서 허우적대다 무리하게 '방탄국회'까지 소집하는 등 제1야당으로서의 책임있는 모습을 전혀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의 정치력 부재도 한 몫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새정치연합을 향한 비난여론이 거세다. 특히 여당을 겨냥해 '수구 보수'집단으로 비판하면서 항상 '개혁'과 '국민공감'을 외쳐왔던 새정치연합이 스스로 구태를 자행하는 모순적이고 우스꽝스런 모습이라는 지적이다.
무엇보다도 박위원장이 두차례나 합의안을 도출해 내고도 세월호 유가족 반발에 막혀 백지화 시킨 건 사실상의 야당 불신임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여기에 비리혐의를 받고 있는 의원들을 위해 단독으로 방탄국회를 소집하고 나선 것도 새정치연합에 대한 국민 불신을 가중시키고 있다. 실제 새정치연합은 지난 19일 자정을 넘기기 1분 전 전격적으로 임시국회 소집을 요구, 22일부터 열리는 8월 임시국회가 9월 정기국회에 연결돼 사실상 연말까지 국회가 끊이지 않고 열리게 됐다.
야당은 "세월호 특별법 처리를 위한 것"이라고 했지만 입법로비 청탁과 함께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신계륜·신학용·김재윤 의원을 보호하려는 의도가 분명하게 담겨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지난 19일 밤 세월호특별법 재합의안 추인 여부를 놓고 격론을 벌이던 새정치연합 의원총회장은 자정이 가까워져 오면서 세월호법보다는 국회 소집 문제가 더 쟁점으로 부각됐다는 후문이다.
박영선 비대위 체제도 '흔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제1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이 세월호특별법 재합의안 파기와 방탄국회 논란으로 신뢰도가 급격히 추락하면서 최악의 위기상황에 놓였다.
이에 따라 박영선 체제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21일 “정치권 전반에 대한 불신을 새정치민주연합이 앞장서 조장하는 구태를 보이고 있다”며 “7·30 재보궐선거의 참패로 싸늘한 민심을 확인한 새정치연합이 당 혁신과 재건을 위해 국민공감혁신위원회까지 출범시켰지만 세월호 정국 속에서 허우적대다 무리하게 '방탄국회'까지 소집하는 등 제1야당으로서의 책임있는 모습을 전혀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의 정치력 부재도 한 몫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새정치연합을 향한 비난여론이 거세다. 특히 여당을 겨냥해 '수구 보수'집단으로 비판하면서 항상 '개혁'과 '국민공감'을 외쳐왔던 새정치연합이 스스로 구태를 자행하는 모순적이고 우스꽝스런 모습이라는 지적이다.
무엇보다도 박위원장이 두차례나 합의안을 도출해 내고도 세월호 유가족 반발에 막혀 백지화 시킨 건 사실상의 야당 불신임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여기에 비리혐의를 받고 있는 의원들을 위해 단독으로 방탄국회를 소집하고 나선 것도 새정치연합에 대한 국민 불신을 가중시키고 있다. 실제 새정치연합은 지난 19일 자정을 넘기기 1분 전 전격적으로 임시국회 소집을 요구, 22일부터 열리는 8월 임시국회가 9월 정기국회에 연결돼 사실상 연말까지 국회가 끊이지 않고 열리게 됐다.
야당은 "세월호 특별법 처리를 위한 것"이라고 했지만 입법로비 청탁과 함께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신계륜·신학용·김재윤 의원을 보호하려는 의도가 분명하게 담겨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지난 19일 밤 세월호특별법 재합의안 추인 여부를 놓고 격론을 벌이던 새정치연합 의원총회장은 자정이 가까워져 오면서 세월호법보다는 국회 소집 문제가 더 쟁점으로 부각됐다는 후문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