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法에 유가족의견 반영이 여론"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26일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율과 관련, ‘20% 초반대의 견고한 천장에 부딪혀 있는 상태’라고 진단했다.
배 본부장은 이날 PBC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서 “세월호 특별법 관련하여 문재인 의원의 유가족 동행행보와 원로자문기구의, 박영선 공감혁신위원장에 대한 향후 거취 언급 등으로 지도력이 흔들리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실제 리서치앤리서치의 지난 21일 전국 1000명(유무선RDD전화조사 95% 신뢰수준±3.1%p)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 새누리당은 43.3%, 새정치민주연합은 20.9%로 나타났다
배 본부장은 세월호 특별법 관련, “대체적인 여론은 유가족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야 하고 여야는 재협상안 통과를 위해 유가족을 설득하고 이해시켜야 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리얼미터의 지난 21일 전국 500명(유무선 전화면접 및 자동응답 전화조사 표본오차95% 신뢰수준±4.4%p,)을 대상으로 세월호 특별법 추가 협상 필요성에 대한 조사결과, ‘재협상안대로 세월호 특별법을 통과시켜야 한다’가 45.8%, ‘유가족 뜻에 따라 재재협상을 다시 해야 한다’가 38.2%로 나타났다.
배 본부장은 “재협상에 대한 긍정의견이 높지만 유가족을 뜻을 반영해야 한다는 응답 역시 10명 중 4명에 가깝다”며 “또다시 협상하는 것 자체에 대한 거부감이 묻어난 것이지만 유가족 뜻을 반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은 점과 질문의 성격이 세월호 특별법의 추가 협상 필요성에 방점을 찍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협상이 거듭되는 시간적인 피로감은 감지되지만 유가족의 뜻을 반영하는 특별법이 되어야 한다는 여론은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새정치민주연합 민주정책연구원이 지난 21일 전국 1000명(전화면접 표본오차95%신뢰수준±3.1%P)을 대상으로 ‘세월호 특별법의 처리 방향’에 대해 질문한 결과 ‘유족들의 의견을 반영해 처리해야 한다’가 47.3%, ‘여야 합의대로 처리해야 한다’ 43.1%로 나타났다.
배 본부장은 “결과적으로 재협상이든 재재협상이든 유가족들의 뜻이 반영되어야 하고 사법제도와 3권분립의 원칙 등 현실적 문제가 있을 경우 여야가 모두 유가족들을 이해하고 설득하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협상안대로 진행할 경우 충분한 진상규명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불신의 벽’에 가로막혀 있다”며 “세월호와 관련한 검찰과 경찰의 수사 발표를 믿지 못하겠다는 게 여론”이라고 밝혔다.
실제 한국갤럽의 지난 7월29~31일 전국 1016명을 대상으로 휴대폰 조사(표본오차95% 신뢰수준±3.1%ㅔ)를 실시한 결과, 세월호 사고의 원인과 책임에 대해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다’는 의견이 64%인 데 반해 ‘밝혀졌다’는 응답은 절반정도인 31%에 그쳤다.
특히 ‘검찰과 경찰의 발표에 신뢰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66%였고, ‘신뢰한다’는 의견은 절반도 되지 못하는 28%에 머물렀다.
그러나 배 본부장은 “경제 활성화에 대한 시급함과 정치적 대결구도에 따른 국민 피로감이 증대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경제적 이유로 경기침체 장기화에 따른 실망감 또는 좌절감이 세월호 사고를 바라보는 부정적 시각으로 나타난다”고 지적했다.
또한 “정치적 이유로 세월호 특별법이 장기화되면서 유가족 개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부각되는 부정적 파생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며 “소셜 메트릭스 인사이트 빅데이터 분석을 보면, 지난 8월 22일 시점에 ‘세월호 특별법’ 키워드에 대한 부정 버즈가 긍정 버즈의 2배이상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26일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율과 관련, ‘20% 초반대의 견고한 천장에 부딪혀 있는 상태’라고 진단했다.
배 본부장은 이날 PBC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서 “세월호 특별법 관련하여 문재인 의원의 유가족 동행행보와 원로자문기구의, 박영선 공감혁신위원장에 대한 향후 거취 언급 등으로 지도력이 흔들리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실제 리서치앤리서치의 지난 21일 전국 1000명(유무선RDD전화조사 95% 신뢰수준±3.1%p)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 새누리당은 43.3%, 새정치민주연합은 20.9%로 나타났다
배 본부장은 세월호 특별법 관련, “대체적인 여론은 유가족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야 하고 여야는 재협상안 통과를 위해 유가족을 설득하고 이해시켜야 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리얼미터의 지난 21일 전국 500명(유무선 전화면접 및 자동응답 전화조사 표본오차95% 신뢰수준±4.4%p,)을 대상으로 세월호 특별법 추가 협상 필요성에 대한 조사결과, ‘재협상안대로 세월호 특별법을 통과시켜야 한다’가 45.8%, ‘유가족 뜻에 따라 재재협상을 다시 해야 한다’가 38.2%로 나타났다.
배 본부장은 “재협상에 대한 긍정의견이 높지만 유가족을 뜻을 반영해야 한다는 응답 역시 10명 중 4명에 가깝다”며 “또다시 협상하는 것 자체에 대한 거부감이 묻어난 것이지만 유가족 뜻을 반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은 점과 질문의 성격이 세월호 특별법의 추가 협상 필요성에 방점을 찍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협상이 거듭되는 시간적인 피로감은 감지되지만 유가족의 뜻을 반영하는 특별법이 되어야 한다는 여론은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새정치민주연합 민주정책연구원이 지난 21일 전국 1000명(전화면접 표본오차95%신뢰수준±3.1%P)을 대상으로 ‘세월호 특별법의 처리 방향’에 대해 질문한 결과 ‘유족들의 의견을 반영해 처리해야 한다’가 47.3%, ‘여야 합의대로 처리해야 한다’ 43.1%로 나타났다.
배 본부장은 “결과적으로 재협상이든 재재협상이든 유가족들의 뜻이 반영되어야 하고 사법제도와 3권분립의 원칙 등 현실적 문제가 있을 경우 여야가 모두 유가족들을 이해하고 설득하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협상안대로 진행할 경우 충분한 진상규명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불신의 벽’에 가로막혀 있다”며 “세월호와 관련한 검찰과 경찰의 수사 발표를 믿지 못하겠다는 게 여론”이라고 밝혔다.
실제 한국갤럽의 지난 7월29~31일 전국 1016명을 대상으로 휴대폰 조사(표본오차95% 신뢰수준±3.1%ㅔ)를 실시한 결과, 세월호 사고의 원인과 책임에 대해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다’는 의견이 64%인 데 반해 ‘밝혀졌다’는 응답은 절반정도인 31%에 그쳤다.
특히 ‘검찰과 경찰의 발표에 신뢰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66%였고, ‘신뢰한다’는 의견은 절반도 되지 못하는 28%에 머물렀다.
그러나 배 본부장은 “경제 활성화에 대한 시급함과 정치적 대결구도에 따른 국민 피로감이 증대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경제적 이유로 경기침체 장기화에 따른 실망감 또는 좌절감이 세월호 사고를 바라보는 부정적 시각으로 나타난다”고 지적했다.
또한 “정치적 이유로 세월호 특별법이 장기화되면서 유가족 개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부각되는 부정적 파생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며 “소셜 메트릭스 인사이트 빅데이터 분석을 보면, 지난 8월 22일 시점에 ‘세월호 특별법’ 키워드에 대한 부정 버즈가 긍정 버즈의 2배이상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