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국회 입법권 영역··· 대통령 나설 사안 아니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누리당 친이계 의원들이 27일 박근혜 대통령에게 세월호 유족들과의 만남을 한목소리로 촉구하고 나섰다.
친이계 이재오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이 지금 세월호 유가족을 못만날 이유가 없다"며 가족 요구 수용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박 대통령이 지난 5월19일 대국민담화 때 ‘사고 책임은 대통령인 저에게 있다. 살릴 수 있었던 학생을 살리지 못했다’고 언급한 사실을 거론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 의원은 "최상의 방안은 여당과 야당, 유가족이 같이 합의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여당과 유가족이 합의하는 것이고, 세 번째는 야당과 유가족이 합의한 것을 여당이 따르는 것"이라며 "이 세가지 경우의 수는 선택의 문제이지 지도부가 달리 방법이 있지 않다"고 했다.
특히 이 의원은 "새누리당 의원들도 지도부의 노력을 믿기 때문에 지켜보고 있지만 만약 추석까지 이 상태로 간다면 꼭 지켜보고만 있어야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도 제기될 것"이라고 지도부를 압박했다.
같은 친이계인 김용태 의원도 세월호 유가족들의 박근혜 대통령 면담 요청과 관련해 “필요하다면 만나는 노력을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오전 PBC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대통령이 국정의 수반이지만 정치지도자이기도 한 만큼 유가족들의 아픔을 어루만지는 과정도 중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편 청와대는 박 대통령과 유가족 간 추가 면담을 추진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지난 4월 세월호 침몰 사고 발생 직후 팽목항 현장에 찾았고 세월호 유족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위로하는 등 이미 유족들을 수 차례 만난 바 있다.
청와대는 특히 유족들이 민간인으로 구성된 세월호진상조사위원회에 수사권ㆍ기소권을 달라는 요구를 굽히지 않는 한 만날 수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도 최근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세월호’라는 단어를 한 번도 입에 올리지 않는 대신 각종 민생 법안을 8월 임시국회에서 처리할 것을 요구했다. 이는 ‘세월호 특별법 갈등은 여야가 합의해서 풀어야 할 입법권의 영역으로 청와대가 나설 사안이 아니다’라는 청와대의 공식 입장에서 조금도 물러서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누리당 친이계 의원들이 27일 박근혜 대통령에게 세월호 유족들과의 만남을 한목소리로 촉구하고 나섰다.
친이계 이재오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이 지금 세월호 유가족을 못만날 이유가 없다"며 가족 요구 수용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박 대통령이 지난 5월19일 대국민담화 때 ‘사고 책임은 대통령인 저에게 있다. 살릴 수 있었던 학생을 살리지 못했다’고 언급한 사실을 거론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 의원은 "최상의 방안은 여당과 야당, 유가족이 같이 합의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여당과 유가족이 합의하는 것이고, 세 번째는 야당과 유가족이 합의한 것을 여당이 따르는 것"이라며 "이 세가지 경우의 수는 선택의 문제이지 지도부가 달리 방법이 있지 않다"고 했다.
특히 이 의원은 "새누리당 의원들도 지도부의 노력을 믿기 때문에 지켜보고 있지만 만약 추석까지 이 상태로 간다면 꼭 지켜보고만 있어야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도 제기될 것"이라고 지도부를 압박했다.
같은 친이계인 김용태 의원도 세월호 유가족들의 박근혜 대통령 면담 요청과 관련해 “필요하다면 만나는 노력을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오전 PBC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대통령이 국정의 수반이지만 정치지도자이기도 한 만큼 유가족들의 아픔을 어루만지는 과정도 중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편 청와대는 박 대통령과 유가족 간 추가 면담을 추진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지난 4월 세월호 침몰 사고 발생 직후 팽목항 현장에 찾았고 세월호 유족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위로하는 등 이미 유족들을 수 차례 만난 바 있다.
청와대는 특히 유족들이 민간인으로 구성된 세월호진상조사위원회에 수사권ㆍ기소권을 달라는 요구를 굽히지 않는 한 만날 수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도 최근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세월호’라는 단어를 한 번도 입에 올리지 않는 대신 각종 민생 법안을 8월 임시국회에서 처리할 것을 요구했다. 이는 ‘세월호 특별법 갈등은 여야가 합의해서 풀어야 할 입법권의 영역으로 청와대가 나설 사안이 아니다’라는 청와대의 공식 입장에서 조금도 물러서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