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제69차 유엔총회에 참석한 박근혜 대통령의 대북 메시지에 어떤 내용이 담길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가운데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언급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이 나오고 있다.
국정원 1차장을 역임한 바 있는 전옥현 서울대 교수는 16일 오전 PBC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박 대통령의 대북 메시지의)내용과 수위는 지난 8.15경축사에서 밝히신 통일이라든가 북핵문제 정책수위의 연장선상에 있을 것이지만 특히 이번에는 북한 인권문제를 거론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며 “북한 인권에 대해서도 국제사회가 우려하는 수준의 언급은 반드시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 유엔총회에서 처음으로 북한 인권문제만을 주 [대상]으로 하는 고위급 회의가 열리는데 이건 유엔 창설사상 처음”이라며 “그 정도로 북한인권문제가 굉장히 심각하고, 국제사회에서도 특히 유엔에서도 그냥 과거처럼 유엔의 인권인사에서만 다뤄서는 안 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기 때문에 앞으로 상당히 중요한 이슈로 자리 잡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그는 “북한 핵문제가 단골메뉴였는데 앞으로는 여기에 더해 북한 인권문제가 중요한 토의주제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최근 북한이 인권보고서를 발표한 부분에 대해서는 “(북한이)과거에는 인권문제를 말도 못 꺼내게 했었는데 유엔에서 원칙적으로 북한 인권문제를 시스템적으로 다루는 것이 만만치 않아 보이니까 국제사회와 대화를 하겠다고 정책을 바꾼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이 얘기하는 대화는 일방적인 인권정책의 당위성, 자신들은 문제가 없다는 어부지리 심리전을 쓰겠다는 것인데 국제사회에 이것이 받아들여지겠는가, 이건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것”이라며 “이와 관련해 우리가 관심 있게 추진해야 할 것은 북한인권문제가 7~8년째 사장돼 있기 때문에 북한인권법을 국회가 빨리 살려 제정해서 낙오자가 되지 않도록 본격적으로 채비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정원 1차장을 역임한 바 있는 전옥현 서울대 교수는 16일 오전 PBC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박 대통령의 대북 메시지의)내용과 수위는 지난 8.15경축사에서 밝히신 통일이라든가 북핵문제 정책수위의 연장선상에 있을 것이지만 특히 이번에는 북한 인권문제를 거론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며 “북한 인권에 대해서도 국제사회가 우려하는 수준의 언급은 반드시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 유엔총회에서 처음으로 북한 인권문제만을 주 [대상]으로 하는 고위급 회의가 열리는데 이건 유엔 창설사상 처음”이라며 “그 정도로 북한인권문제가 굉장히 심각하고, 국제사회에서도 특히 유엔에서도 그냥 과거처럼 유엔의 인권인사에서만 다뤄서는 안 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기 때문에 앞으로 상당히 중요한 이슈로 자리 잡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그는 “북한 핵문제가 단골메뉴였는데 앞으로는 여기에 더해 북한 인권문제가 중요한 토의주제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최근 북한이 인권보고서를 발표한 부분에 대해서는 “(북한이)과거에는 인권문제를 말도 못 꺼내게 했었는데 유엔에서 원칙적으로 북한 인권문제를 시스템적으로 다루는 것이 만만치 않아 보이니까 국제사회와 대화를 하겠다고 정책을 바꾼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이 얘기하는 대화는 일방적인 인권정책의 당위성, 자신들은 문제가 없다는 어부지리 심리전을 쓰겠다는 것인데 국제사회에 이것이 받아들여지겠는가, 이건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것”이라며 “이와 관련해 우리가 관심 있게 추진해야 할 것은 북한인권문제가 7~8년째 사장돼 있기 때문에 북한인권법을 국회가 빨리 살려 제정해서 낙오자가 되지 않도록 본격적으로 채비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