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파청산ㆍ당 혁신 험로 예고
비대위원장 흔들기 심해질 듯
민통당 때보다 더 어려운 상황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비대위원장으로 추대된 문희상 의원이 흔들리는 당을 바로잡고 추락한 제1야당의 자존심을 회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된다.
일단 문 위원장은 “내게 복안이 있다”며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실제 그가 비대위원장의 역할을 잘 수행해 낼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는 반응이다.
사실 문 위원장이 ‘구원투수’로 등판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작년 1월에도 그는 대선 패배 후 충격에 빠진 당을 수습하기위해 출범한 비대위의 선장을 맡았다.
당시 그는 중도주의 노선을 보강하고 각종 개혁안을 제시하는 등 의욕을 보였지만, 당권을 둘러싼 계파 간 갈등으로 별다른 성과를 내지는 못한 채 같은 해 5월 전당대회와 함께 비대위원장직을 물러나야만 했다.
그보다 앞서 문 위원장은 고 노무현 대통령이 임기 중 창당한 열린우리당 의장을 맡으며 승승장구했지만 같은 해 10월 재선거 참패의 책임을 지고 취임 반년 여 만에 스스로 물러났다.
사실상 두 번이나 당 대표를 맡았지만, 한 번은 6개월 만에 아무런 성과 없이 물러나야 했고, 또 한 번은 4개월 만에 선거참패 책임을 지고 물러났던 것이다.
이에 따라 여의도정가는 문 위원장 자신감을 반신반의하는 분위기다.
문 의원이 해결해야 할 또 다른 과제인 '계파청산'과 '당 혁신'에 대해서도 쉽지않을 거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계파청산은 새정치연합의 오랜 숙원이다. 특히 지난 7·30 재보궐선거 참패 후 유일하게 남은 선출직 지도부인 박영선 원내대표의 거취 논란으로 계파 갈등이 극에 달해 있는 상황이다.
과거 민주통합당 비대위원장 재임 당시 계파갈등에 막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던 그가 이번만큼은 계파청산을 치료할 수 있는 묘약을 만들어 낼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일단 문 위원장의 의지와는 달리 계파청산은 커녕 오히려 이제부터 계파전쟁이 본격화 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비대위원장이 조직강화특위를 구성하고 이를 통한 지역위원장 인선, 내년 초 전당대회 룰 등을 결정할 수 있는 영향력이 있다”며 “계파별로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식을 따내기 위해 비대위원장 흔들기가 심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그는 “문 위원장은 민주통합당 비대위원장을 역임했을 때도 전대룰을 놓고 계파간 충돌이 심했지만 이를 적절히 제어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었다”며 “이번에는 더욱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당 혁신작업도 어려운 과제다.
문 위원장은 ‘혁신형 비대위’를 구성하겠다는 뜻을 내비치고 있지만, 당내에서는 ‘관리형 비대위’로 보는 분위기가 팽배해 있다.
그저 당이 어수선한 상황이기 때문에 내년 전당대회까지 무사히 당을 끌어가는 것으로 만족하라는 무언의 압력인 셈이다.
비대위원장 흔들기 심해질 듯
민통당 때보다 더 어려운 상황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비대위원장으로 추대된 문희상 의원이 흔들리는 당을 바로잡고 추락한 제1야당의 자존심을 회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된다.
일단 문 위원장은 “내게 복안이 있다”며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실제 그가 비대위원장의 역할을 잘 수행해 낼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는 반응이다.
사실 문 위원장이 ‘구원투수’로 등판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작년 1월에도 그는 대선 패배 후 충격에 빠진 당을 수습하기위해 출범한 비대위의 선장을 맡았다.
당시 그는 중도주의 노선을 보강하고 각종 개혁안을 제시하는 등 의욕을 보였지만, 당권을 둘러싼 계파 간 갈등으로 별다른 성과를 내지는 못한 채 같은 해 5월 전당대회와 함께 비대위원장직을 물러나야만 했다.
그보다 앞서 문 위원장은 고 노무현 대통령이 임기 중 창당한 열린우리당 의장을 맡으며 승승장구했지만 같은 해 10월 재선거 참패의 책임을 지고 취임 반년 여 만에 스스로 물러났다.
사실상 두 번이나 당 대표를 맡았지만, 한 번은 6개월 만에 아무런 성과 없이 물러나야 했고, 또 한 번은 4개월 만에 선거참패 책임을 지고 물러났던 것이다.
이에 따라 여의도정가는 문 위원장 자신감을 반신반의하는 분위기다.
문 의원이 해결해야 할 또 다른 과제인 '계파청산'과 '당 혁신'에 대해서도 쉽지않을 거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계파청산은 새정치연합의 오랜 숙원이다. 특히 지난 7·30 재보궐선거 참패 후 유일하게 남은 선출직 지도부인 박영선 원내대표의 거취 논란으로 계파 갈등이 극에 달해 있는 상황이다.
과거 민주통합당 비대위원장 재임 당시 계파갈등에 막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던 그가 이번만큼은 계파청산을 치료할 수 있는 묘약을 만들어 낼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일단 문 위원장의 의지와는 달리 계파청산은 커녕 오히려 이제부터 계파전쟁이 본격화 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비대위원장이 조직강화특위를 구성하고 이를 통한 지역위원장 인선, 내년 초 전당대회 룰 등을 결정할 수 있는 영향력이 있다”며 “계파별로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식을 따내기 위해 비대위원장 흔들기가 심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그는 “문 위원장은 민주통합당 비대위원장을 역임했을 때도 전대룰을 놓고 계파간 충돌이 심했지만 이를 적절히 제어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었다”며 “이번에는 더욱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당 혁신작업도 어려운 과제다.
문 위원장은 ‘혁신형 비대위’를 구성하겠다는 뜻을 내비치고 있지만, 당내에서는 ‘관리형 비대위’로 보는 분위기가 팽배해 있다.
그저 당이 어수선한 상황이기 때문에 내년 전당대회까지 무사히 당을 끌어가는 것으로 만족하라는 무언의 압력인 셈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