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금 제1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의 상황은 최악이다.
윤희웅 민(MIN) 컨설팅 여론분석센터장은 “DJ(김대중 전 대통령)가 살아 돌아와도 수습 불가능한 당”이라고 진단했고, 공희준 시사평론가는 “DJ가 아닌 이순신 장군이 들어와도 안 된다”고 단언했다.
현재 새정치연합의 지지율은 새누리당 지지율의 ‘반 토막’ 수준에도 미치지 못할 만큼 초라하기 그지없다. 새정치연합 지지율이 창당 7개월 만에 바닥을 찍은 것이다.
실제 한국갤럽이 지난 16~18일 사흘간 전국 성인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은 16%)에 따르면, 정당지지율은 새누리당 43%, 새정치민주연합 20%로 양당 간 격차가 무려 23% 포인트에 달했다. 심지어 새정치연합 지지율이 10%대에 불과한 여론조사 결과도 있었다.
이대로 가다가는 야권 전체가 궤멸 당할지도 모른다. 특단의 대책이 절실한 상황이다.
그 특단의 대책이란 바로 ‘제3 정당’의 출현이다.
야권 일각에서도 차라리 갈라서는 게 효과적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박영선 원내대표가 칩거에 돌입한 3일간 야권 안에서는 갖가지 분당 시나리오가 나돌기도 했었다.
전문가들 역시 제3 정당의 필요성에 대해선 대부분 공감하고 있다.
승자 독식의 양당제로 인한 적대정치의 일상화가 정당 마비의 원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양당제의 극심한 갈등정치를 해소하기 위해선 중도 세력을 기반으로 하는 제3의 대안정당이 활성화 돼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리 녹록치 않다.
무엇보다도 제3의 신당이 성공하기 위해선 당에 합류할 인물이 있어야 하는데 그게 쉽지 않다.
안철수 전 새정치연합 공동대표가 신당을 창당하려다가 포기하고 민주당과 통합을 결정 한 이유 역시 '안철수 신당'으로 이끌 사람을 모으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게 중론이다.
한때 박영선 새정치연합 원내대표의 ‘탈당’ 발언으로 ‘분당론’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결국 그가 당 잔류를 선택한 것 역시 같은 맥락일 것이다.
그래서 정치 전문가들은 새정치연합이 당장 쪼개질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한다.
당내 중도‧온건 성향 의원으로 구성된 ‘민주당 집권을 위한 모임(민집모)’가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을 만나 자신들의 입장을 대변할 수 있는 비대위원의 추가 인선을 요구했으나 받아들일 것 같지는 않다. 한마디로 불만이 있어 나갈 테면 나가보라는 식이다.
강경파가 그렇게 완강한 태도를 보일 수 있는 것은 그들의 탈당 자체가 위협이 되지 못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한 때 ‘안철수 현상’으로 전국적인 돌풍을 일으켰던 안철수 의원도 못했던 ‘제3 신당’ 창당을 누가 할 수 있겠느냐는 판단이 바탕에 갈려 있는 것이다.
실제 제3세력화가 성공하려면 총선이 대선 등 큰 선거를 앞두고 있어야 하고, 탈당을 주도하는 인물이 대중적 기반을 가져야 하는데, 지금은 이 두 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되지 않았다.
그렇다면 야권은 세월호와 함께 침몰해가는 새정치연합과 운명을 같이해야만 하는가.
그것은 아니다. 어렵더라도 누군가는 총대를 메고 나서야 하는 것이다.
영호남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양당제의 폐쇄적 구도를 깨뜨리기 위해서는 누군가가 나서서 가시밭길을 걸어야 한다. 즉 새로운 정치 세력의 결성을 추진해야 한다는 말이다.
아직 총선이 먼 시점이어서 당장 신당을 창당하는 일이 어렵다면, 일단 뜻있는 중도 성향의 사람들이 모여 포럼 형태의 모임을 만드는 것도 고려할만 하다.
정기적인 모임을 통해 ‘새정치’를 세상에 화두로 던지고, 그 실천방안을 하나씩 제시해 나간다면 그 모임이 국민의 관심과 사랑을 받게 될 것은 자명한 일이다. 기존의 정당이 실패한 ‘의원 특권 내려놓기’를 구체화하거나 영호남 패권주의를 무너뜨리는 제도를 만들어 내는 등 새로운 정치 세력이 해야 할 일들이 얼마나 많은가.
그리고 차후 국민의 의견을 묻고, 국민의 동의하에 포럼을 정당으로 발전시켜 나간다면, 제3의 대안 정당으로 확실하게 자리매김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어쩌면 대한민국의 대통령보다도 양당제의 폐해를 끝장내는 ‘제3 대안정당’을 만드는 사람이 더 많은 국민의 사랑과 존경을 받게 될지도 모른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