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상 "모바일투표 반대" 급선회··· 일단 진정세
'중도파 외면' 비대위 구성 갈등 현재진행형 여전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비상대책위원회 체제가 ‘모바일 투표’ 등 전당대회 룰과 비대위원 구성 문제 등을 놓고 연일 입방아에 오르고 있다.
문 위원장은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모바일 투표가)문제있는 게 아니다. 개표 확인 작업이 까다로운 점 등을 보완하면 그처럼 명료한 게 어디 있나”고 밝혀 당내 반발을 야기했다.
실제 중도파 중진 김영환 의원은 문희상, 문재인 두 사람의 성씨를 빗댄 '쌍문동 체제'라는 신조어로 ‘연대설’을 제기했고 비대위원인 박지원 의원도 "발언에 조심하라"며 문 위원장 비판에 가세하면서 논란을 키웠다.
‘모바일 투표’ 도입은 전당대회에서 일반국민들의 정치 참여를 보장한다는 취지로 문재인 의원 등 ‘친노계’가 적극 추진했던 방안이다. 그러나 전당대회 룰로 모바일 투표가 도입될 경우 조직동원력이 강한 ‘친노계’ 후보가 유리하다는 분석이어서 비노계 반발이 불가피한 정황이다.
실제 민주통합당 시절 김한길, 이해찬 의원이 당권후보로 나선 전대에서 비노 김한길 후보는 당원 투표에 앞서고도 친노 이해찬 후보에게 모바일 투표에 밀려 패한 바 있다.
문 위원장의 발언으로 촉발된 모바일 투표 논란은 일단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모양새다.
24일 아침 비대위 회의에 참석한 정세균 의원은 “비대위가 전당대회 규칙을 만들려고 해서는 안 된다”며, “특히 비대위원들은 전당대회 관련 발언에 신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박지원 의원도 “혁신은 당의 통합을 강화해야지 당을 분열로 끌고 가면 안 된다”며 “책임을 맡은 사람은 책임 있는 발언을 해야 한다”고 문 위원장을 향해 견제구를 날렸다.
천정배 전 법무부 장관 역시 ‘모바일 투표’에 대해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천 전 장관은 이날 오전 KBS라디오에 출연해 “풀뿌리 권리당원들에게 투표권을 줘야 마땅하다”며 “먼저 당원들한테 선거권을 주고 그 다음으로 일반 국민들의 참여를 결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현재 일부 대의원들에게만 투표권이 주어지는 상황 개선이 모바일 투표 도입보다 먼저”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문 위원장은 '모바일 투표 반대' 입장으로 급선회하는 모습을 보였다.
문 위원장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모바일 투표 논란과 관련, "(전대)룰에 대한 합의가 없는 한, 편파적이라 생각하는 후보나 어떤 사람들이 있는 한 채택하는 것은 어렵다"며 "그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한 적은 있지만 결론은 안 된다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모바일은 현대적 첨단기기라서 투표방식으로는 더 좋은 게 없고, 모바일로 투표할 수 있는 세상이 온 것도 사실이지만 선거는 다르다"며 "비밀선거 위반이고 100% 신뢰할 수 없는 법적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모바일 투표 논란이 제자리를 찾는데 반해 비대위 구성을 둘러싼 갈등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천 전 장관은 계파 수장 위주의 비대위 구성에 대해 “이번 비대위는 계파 실세들로 채워졌다. 당 위기를 불러온 데 가장 큰 책임이 있다고 할 수 있는 계파 기득권의 수장들이 스스로 비대위원이 됐다”고 비판했다.
김성곤, 김동철, 유성엽 의원도 전날 문 위원장과 만나 "당내 중도세력에 3가지 큰 줄기가 있다"며 중도파 대변하는 비대위원 임명을 요청했다.
세 의원이 거론한 3대 중도세력은 안철수계, 손학규계, 중도파 의원 모임인 '민주당의 집권을 위한 모임'(민집모)이다.
하지만 문 위원장은 "당을 추스르고 전대 준비에 매진해야 하는 상황에서 대리인이란 사람이 참여해 이러쿵저러쿵 하면 되는 게 없다"는 현실론을 내세우며, 이른바 '마이너리거' 비대위 참여를 일축하는 분위기다.
또한 추가 비대위원 영입을 두고서도 비대위원들의 ‘텃세’가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문 위원장에게 정동영 상임고문을 비대위원으로 영입해달라는 요청이 들어갔지만, 박지원, 정세균 비대위원의 반대로 무산됐다는 후문이다.
'중도파 외면' 비대위 구성 갈등 현재진행형 여전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비상대책위원회 체제가 ‘모바일 투표’ 등 전당대회 룰과 비대위원 구성 문제 등을 놓고 연일 입방아에 오르고 있다.
문 위원장은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모바일 투표가)문제있는 게 아니다. 개표 확인 작업이 까다로운 점 등을 보완하면 그처럼 명료한 게 어디 있나”고 밝혀 당내 반발을 야기했다.
실제 중도파 중진 김영환 의원은 문희상, 문재인 두 사람의 성씨를 빗댄 '쌍문동 체제'라는 신조어로 ‘연대설’을 제기했고 비대위원인 박지원 의원도 "발언에 조심하라"며 문 위원장 비판에 가세하면서 논란을 키웠다.
‘모바일 투표’ 도입은 전당대회에서 일반국민들의 정치 참여를 보장한다는 취지로 문재인 의원 등 ‘친노계’가 적극 추진했던 방안이다. 그러나 전당대회 룰로 모바일 투표가 도입될 경우 조직동원력이 강한 ‘친노계’ 후보가 유리하다는 분석이어서 비노계 반발이 불가피한 정황이다.
실제 민주통합당 시절 김한길, 이해찬 의원이 당권후보로 나선 전대에서 비노 김한길 후보는 당원 투표에 앞서고도 친노 이해찬 후보에게 모바일 투표에 밀려 패한 바 있다.
문 위원장의 발언으로 촉발된 모바일 투표 논란은 일단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모양새다.
24일 아침 비대위 회의에 참석한 정세균 의원은 “비대위가 전당대회 규칙을 만들려고 해서는 안 된다”며, “특히 비대위원들은 전당대회 관련 발언에 신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박지원 의원도 “혁신은 당의 통합을 강화해야지 당을 분열로 끌고 가면 안 된다”며 “책임을 맡은 사람은 책임 있는 발언을 해야 한다”고 문 위원장을 향해 견제구를 날렸다.
천정배 전 법무부 장관 역시 ‘모바일 투표’에 대해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천 전 장관은 이날 오전 KBS라디오에 출연해 “풀뿌리 권리당원들에게 투표권을 줘야 마땅하다”며 “먼저 당원들한테 선거권을 주고 그 다음으로 일반 국민들의 참여를 결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현재 일부 대의원들에게만 투표권이 주어지는 상황 개선이 모바일 투표 도입보다 먼저”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문 위원장은 '모바일 투표 반대' 입장으로 급선회하는 모습을 보였다.
문 위원장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모바일 투표 논란과 관련, "(전대)룰에 대한 합의가 없는 한, 편파적이라 생각하는 후보나 어떤 사람들이 있는 한 채택하는 것은 어렵다"며 "그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한 적은 있지만 결론은 안 된다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모바일은 현대적 첨단기기라서 투표방식으로는 더 좋은 게 없고, 모바일로 투표할 수 있는 세상이 온 것도 사실이지만 선거는 다르다"며 "비밀선거 위반이고 100% 신뢰할 수 없는 법적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모바일 투표 논란이 제자리를 찾는데 반해 비대위 구성을 둘러싼 갈등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천 전 장관은 계파 수장 위주의 비대위 구성에 대해 “이번 비대위는 계파 실세들로 채워졌다. 당 위기를 불러온 데 가장 큰 책임이 있다고 할 수 있는 계파 기득권의 수장들이 스스로 비대위원이 됐다”고 비판했다.
김성곤, 김동철, 유성엽 의원도 전날 문 위원장과 만나 "당내 중도세력에 3가지 큰 줄기가 있다"며 중도파 대변하는 비대위원 임명을 요청했다.
세 의원이 거론한 3대 중도세력은 안철수계, 손학규계, 중도파 의원 모임인 '민주당의 집권을 위한 모임'(민집모)이다.
하지만 문 위원장은 "당을 추스르고 전대 준비에 매진해야 하는 상황에서 대리인이란 사람이 참여해 이러쿵저러쿵 하면 되는 게 없다"는 현실론을 내세우며, 이른바 '마이너리거' 비대위 참여를 일축하는 분위기다.
또한 추가 비대위원 영입을 두고서도 비대위원들의 ‘텃세’가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문 위원장에게 정동영 상임고문을 비대위원으로 영입해달라는 요청이 들어갔지만, 박지원, 정세균 비대위원의 반대로 무산됐다는 후문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