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회의 연기··· 여야 힘겨루기 지속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4-09-28 15:26:13
    • 카카오톡 보내기
    정의화 의장 "30일 안건 처리하자" 제안에 與 반발··· 野 "與, 전향적 자세 필요"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야당의 불참 속에 열린 지난 26일 본회의를 9분 만에 산회처리한 정의화 국회의장의 처신이 세월호 특별법을 사이에 둔 여야 기싸움 흐름을 바꾸고 있다는 분석이다.

    30일 다시 본회의를 열어 안건을 처리하겠다는 정 의장의 중재안에도 불구하고 새누리당은 다음 본회의까지 모든 협상을 중단하겠다며 크게 반발하는 모습이다.

    사실상의 중단 상태인 세월호 특별법 협상은 물론 국회 정상화 협상도 30일 본회의가 끝날 때까지는 재개할 필요성을 못 느낀다는 완강한 입장이다.

    30일 본회의에 야당이 조건 없이 들어와 안건 처리에 협조하거나, 야당의 불참시 정 의장이 국정감사 실시 안건과 계류 법안 91건을 상정하고 이를 여당이 단독 처리하는 수순까지 나아가야 다시 협상 테이블에 나서겠다는 압박으로 정국 흐름을 주도한다는 해석도 있다.

    특히 일각에선 정 의장의 행보가 대선을 염두에 둔 것이라며 국회의장을 지낸 정치인은 대통령 후보 자격을 박탈하는 당헌 개정을 추진하겠다는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여당이 전향적인 자세로 특별법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따라 현재로선 여야가 극적 타결을 이루고 본회의에서 안건의 합의 처리에 나설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새정치민주연합 박범계 원내대변인은 "협상을 재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여당에 연락을 취하고 있지만 닿지 않고 있다"면서 "국정 운영을 책임지는 여당이 협상을 거부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특히 여당이 다음 본회의 개최가 예정된 30일까지 야당과 협상하지 않겠다고 단언한 것에 대해 "지금 (야당과 유가족의 협상에서)분명한 상황의 변화가 있다"며 "이 부분에 대해 협상 테이블에 나와 허심탄회하게 얘기를 나눠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정현 부대변인도 이날 논평을 내고 "세월호 특별법이야말로 정기국회에서 최우선으로 처리해야 하는 법안이다. 다른 법안을 먼저 처리한다면 순서가 잘못됐다는 지적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지금은 집권여당답게 정치적 조정능력을 발휘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는 "어제 소속 의원들을 총 동원해서 본회의에 참석했는데 계류법안 처리가 안 돼 기가 막힌다"면서 "새정치연합은 하루 빨리 국회 등원을 할 것인지, 계속 보이콧을 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국회 등원 여부와 세월호법 등에 대한 야당의 입장이 정리가 안 돼 있어서 여야가 마주 앉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면서 "30일 본회의 이후에 야당과 만나든 협의를 하든 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새누리당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국회 파행이 도를 넘는 상황에서 새정치연합은 더 이상 세월호법과 다른 민생법안의 연계처리를 고집해서는 안 된다"고 비판했다.

    또 김현숙 원내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새정치연합은 본회의에 출석도 하지 않으면서 여당에 협상하라고 말할 자격이 있느냐"면서 "본회의 계류 90개 민생법안과 세월호법에 대한 입장이 무엇인지 정정당당히 밝히고 협상의 파트너로서 기본자세를 갖춘 뒤 협상재개를 요구하라"고 말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문희상 새정치연합 비대위원장이 26일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향해 '필요한 대목에서 살살 피하고 이런 비겁한 일이 용납되겠나'라면서 공당의 공식적 대표가 쓰기에는 너무 치졸한 언급을 했다"면서 "문 비대위원장은 이 원내대표에게 점잖지 못한 표현을 한 것에 공식 사과하기 바란다"고 요구했다.

    박대출 대변인은 "어제 계류법안 처리가 무산된 것은 안타깝지만 국회의장이 고뇌의 심정으로 최후통첩을 내린 30일에는 야당이 조건 없이 등원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