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지난해 공무원 연금 수급자 100명 중 18명은 60세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조원진 의원은 28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공무원연금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공무원연금 수급자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연금수급자 중 60세 미만은 전체 수급자 36만3017명 중 18.5%를 차지하는 6만7330명인 것으로 드러났다.
40세 미만이 148명이었고, 40대가 9611명(2.6%), 50대가 5만7571명(15.9%)이었다.
또한 공무원연금 수급자 중 가장 많은 연령대는 60대로 16만8797명(46.5%)이었고, 다음은 70대(10만4696명(28.8%)으로 조사됐다.
특히 80세 이상은 2만2194명(6.1%)로 2012년에 비해 0.9%p 상승했다.
공무원연금 수급자가 연금 이외에 소득으로 연금지급이 정지된 인원은 지난해 총 1만4529명, 지급정지액은 1518억원에 달했다.
이밖에 공무원 연금 주요 직종별 월 평균액은 정무직이 315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연구직 284만원, 교육직 282만원 순이었고, 기능직이 159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정무직과 기능직의 월 평균 연금액 차이는 무려 156만원이었다.
조 의원은 “최근 공무원 연금수급자 증가, 국민 부담 가중 등으로 공무원 연금개혁 논의가 진행 중”이라며 “공무원 연금개혁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과 함께 공무원,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합리적인 개혁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조원진 의원은 28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공무원연금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공무원연금 수급자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연금수급자 중 60세 미만은 전체 수급자 36만3017명 중 18.5%를 차지하는 6만7330명인 것으로 드러났다.
40세 미만이 148명이었고, 40대가 9611명(2.6%), 50대가 5만7571명(15.9%)이었다.
또한 공무원연금 수급자 중 가장 많은 연령대는 60대로 16만8797명(46.5%)이었고, 다음은 70대(10만4696명(28.8%)으로 조사됐다.
특히 80세 이상은 2만2194명(6.1%)로 2012년에 비해 0.9%p 상승했다.
공무원연금 수급자가 연금 이외에 소득으로 연금지급이 정지된 인원은 지난해 총 1만4529명, 지급정지액은 1518억원에 달했다.
이밖에 공무원 연금 주요 직종별 월 평균액은 정무직이 315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연구직 284만원, 교육직 282만원 순이었고, 기능직이 159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정무직과 기능직의 월 평균 연금액 차이는 무려 156만원이었다.
조 의원은 “최근 공무원 연금수급자 증가, 국민 부담 가중 등으로 공무원 연금개혁 논의가 진행 중”이라며 “공무원 연금개혁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과 함께 공무원,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합리적인 개혁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