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대리기사 폭행' 김현 의원 타깃··· 野"세월호 진상규명 우선"
[시민일보=이영란 기자]국회 파행의 원인이 됐던 세월호 정국이 일단락되면서 여야는 이번 주 국정감사에 본격 돌입한다.
여야는 이번 국감을 통해 향후 정국 주도권을 쥐기 위한 싸움을 치열하게 전개할 것으로 보인다.
세월호 정국을 거치며 야당은 여당에 사실상 완패를 당한만큼 이번 국감을 상당히 벼르고 있다.
반면 여당은 야당의 파상적인 대여공세를 방어하며 정책ㆍ민생국감에 주력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번 국감은 7일부터 27일까지 실시된다. 대상기관은 672곳이다. 지난해보다 42곳이 늘어났다.
이에 따라 여야는 서둘러 종합상황실을 개설하는 등 국감대전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새정치 칼끝= 반격의 기회를 잡은 새정치연합은 주말에 모든 당력을 동원해 철저한 국감 대비책을 세우는 등 칼끝을 매섭게 겨누고 있다.
특히 박근혜정부의 실정을 파헤치고 견제하는 역할에 주력하겠다는 방침이다.
우윤근 정책위의장은 지난 2일 정책위의장단 국감 대책회의를 열고 국감 전략을 논의했다.
정책위의장단은 이 자리에서 ▲세월호 사건 진상규명 및 안전한 대한민국 만들기 ▲박근혜정부의 반서민적 정책 저지 ▲권력기관의 헌정질서 문란행위 추궁 ▲이명박ㆍ박근혜정부의 실정 규명 등 4대 기조를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우 정책위의장은 "최우선으로 세월호 참사의 진상규명을 위한 철저한 국감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부자감세 철회없는 서민증세 문제, 국가부채, 가계부채, 최경환노믹스에 의한 무분별한 규제완화를 검증하고 4대강 폐해, 무분별한 낙하산 인사, 의료민영화 정책을 비롯한 민영화 전반에 관한 문제점 등을 철저히 검증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국감의 최대 쟁점 포인트는 '세월호 침몰사고'다.
세월호 특별법 합의안에 대한 유가족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는 상황에서 야당은 이 문제를 집중 부각시켜 박근혜정부 비판과 멀어진 유가족의 마음을 되찾아 오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야당은 세월호 사고가 왜 참사로까지 이어졌는지 부각시켜 세월호 이슈를 다시 환기시키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청와대를 상대로 세월호 사고 발생 직후 박근혜 대통령의 7시간 행적을 캐내겠다고 벼르고 있고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 체포 과정에서 드러난 경찰과 검찰의 수사 허점에 대해 집중 추궁할 계획이다.
해양경찰청 폐지, 국민안전처 신설 등 세월호 사고 후속 조치 성격의 정부조직법 개정안에 대해서도 문제점을 강조할 계획이다.
◇새누리 방패=새누리당은 야당의 파상공세를 막아내며 생산적인 국감을 만들겠다는 전략을 내놨다.
야당을 향해 정쟁국감이 아닌 정책국감에 동참할 것을 압박하기도 했다.
김태호 최고위원은 지난 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늘 되풀이되고 있지만 폭로성 국감, 민생과 동떨어져 있는 정치싸움이 절대 되풀이 돼선 안 된다"며 "매년 과거의 퇴행과 구태들이 되풀이된다면 국민들은 곧 폭발할 것이다. 이번 국감은 시간이 짧지만 민생국감, 정책국감이란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영석 원내대변인도 브리핑에서 "책임 있는 여당으로서 정부의 정책집행에 봐주기식 국감이 아니라 행정부 비판과 감시라는 본래의 기능에 충실한 정책국감을 수행할 것"이라며 "터무니없는 정치공세로 국정의 혼란만 가중시키고 정쟁에 매몰되어서는 안 된다"고 맞받아쳤다.
권은희 대변인 역시 "국정감사는 국민의 권한을 위임받은 국회가 행정부와 사법부의 지난 1년 성과를 감시하고 평가하며 잘못된 것은 시정하고 대책을 세우라는 국민의 명령으로, 정기국회의 꽃"이라며 "새누리당은 민생국감, 정책국감을 지향하며 이번 국정감사의 부실함이 없도록 한치의 소홀함이 없이 감사를 실시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특히 새누리당은 이번 국감 최대 핵심 포인트인 세월호 침몰사고와 관련해 새정치연합 김현 의원의 대리기사 폭행 의혹 등을 부각시켜 방어태세를 공고히 하겠다는 입장이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국회 파행의 원인이 됐던 세월호 정국이 일단락되면서 여야는 이번 주 국정감사에 본격 돌입한다.
여야는 이번 국감을 통해 향후 정국 주도권을 쥐기 위한 싸움을 치열하게 전개할 것으로 보인다.
세월호 정국을 거치며 야당은 여당에 사실상 완패를 당한만큼 이번 국감을 상당히 벼르고 있다.
반면 여당은 야당의 파상적인 대여공세를 방어하며 정책ㆍ민생국감에 주력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번 국감은 7일부터 27일까지 실시된다. 대상기관은 672곳이다. 지난해보다 42곳이 늘어났다.
이에 따라 여야는 서둘러 종합상황실을 개설하는 등 국감대전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새정치 칼끝= 반격의 기회를 잡은 새정치연합은 주말에 모든 당력을 동원해 철저한 국감 대비책을 세우는 등 칼끝을 매섭게 겨누고 있다.
특히 박근혜정부의 실정을 파헤치고 견제하는 역할에 주력하겠다는 방침이다.
우윤근 정책위의장은 지난 2일 정책위의장단 국감 대책회의를 열고 국감 전략을 논의했다.
정책위의장단은 이 자리에서 ▲세월호 사건 진상규명 및 안전한 대한민국 만들기 ▲박근혜정부의 반서민적 정책 저지 ▲권력기관의 헌정질서 문란행위 추궁 ▲이명박ㆍ박근혜정부의 실정 규명 등 4대 기조를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우 정책위의장은 "최우선으로 세월호 참사의 진상규명을 위한 철저한 국감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부자감세 철회없는 서민증세 문제, 국가부채, 가계부채, 최경환노믹스에 의한 무분별한 규제완화를 검증하고 4대강 폐해, 무분별한 낙하산 인사, 의료민영화 정책을 비롯한 민영화 전반에 관한 문제점 등을 철저히 검증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국감의 최대 쟁점 포인트는 '세월호 침몰사고'다.
세월호 특별법 합의안에 대한 유가족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는 상황에서 야당은 이 문제를 집중 부각시켜 박근혜정부 비판과 멀어진 유가족의 마음을 되찾아 오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야당은 세월호 사고가 왜 참사로까지 이어졌는지 부각시켜 세월호 이슈를 다시 환기시키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청와대를 상대로 세월호 사고 발생 직후 박근혜 대통령의 7시간 행적을 캐내겠다고 벼르고 있고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 체포 과정에서 드러난 경찰과 검찰의 수사 허점에 대해 집중 추궁할 계획이다.
해양경찰청 폐지, 국민안전처 신설 등 세월호 사고 후속 조치 성격의 정부조직법 개정안에 대해서도 문제점을 강조할 계획이다.
◇새누리 방패=새누리당은 야당의 파상공세를 막아내며 생산적인 국감을 만들겠다는 전략을 내놨다.
야당을 향해 정쟁국감이 아닌 정책국감에 동참할 것을 압박하기도 했다.
김태호 최고위원은 지난 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늘 되풀이되고 있지만 폭로성 국감, 민생과 동떨어져 있는 정치싸움이 절대 되풀이 돼선 안 된다"며 "매년 과거의 퇴행과 구태들이 되풀이된다면 국민들은 곧 폭발할 것이다. 이번 국감은 시간이 짧지만 민생국감, 정책국감이란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영석 원내대변인도 브리핑에서 "책임 있는 여당으로서 정부의 정책집행에 봐주기식 국감이 아니라 행정부 비판과 감시라는 본래의 기능에 충실한 정책국감을 수행할 것"이라며 "터무니없는 정치공세로 국정의 혼란만 가중시키고 정쟁에 매몰되어서는 안 된다"고 맞받아쳤다.
권은희 대변인 역시 "국정감사는 국민의 권한을 위임받은 국회가 행정부와 사법부의 지난 1년 성과를 감시하고 평가하며 잘못된 것은 시정하고 대책을 세우라는 국민의 명령으로, 정기국회의 꽃"이라며 "새누리당은 민생국감, 정책국감을 지향하며 이번 국정감사의 부실함이 없도록 한치의 소홀함이 없이 감사를 실시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특히 새누리당은 이번 국감 최대 핵심 포인트인 세월호 침몰사고와 관련해 새정치연합 김현 의원의 대리기사 폭행 의혹 등을 부각시켜 방어태세를 공고히 하겠다는 입장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