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박원순 정조준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4-10-14 14:09:06
    • 카카오톡 보내기
    "시공사-감리사의 지반보강공법 수정 건의 묵살··· 석촌 싱크홀 서울시 책임"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누리당 의원들이 14일 서울 석촌 지하차도 일대에서 나타난 싱크홀(땅 꺼짐) 현상에 대해 서울시 책임론을 전개하며 사실상 박원순 서울시장을 정조준하고 나섰다.

    실제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국정감사 중반 대책회의에서 서울시가 시공사와 감리사의 지반보강공법 수정 건의를 묵살해 석촌지하차도 싱크홀이 발생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조원진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열린 자문회의에서 시공사와 감리사가 서울시에 수직보강 공법을 건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서울시는 수직보강 공법으로 공사를 진행할 경우 석촌지하차도의 차량통행에 방해가 된다는 이유를 들어 수평보강을 했다.

    뿐만 아니라 지하철 터널공사 전에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사전시추조사 역시 석촌지하차도 차량통행 문제 등으로 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지반상태를 확인해 지반보강 여부와 설계에 반영할 공법 선택에 대한 기초적인 판단 기회를 놓쳐 싱크홀 발생을 자초했다는 것이다.

    또 싱크홀 발생 확인을 위한 계측에서는 터널공사 깊이인 지하 13m까지 계측하는 방식이 있는데도 지하 1.5m 정도가 한계인 지표면레이더탐사(GPR)방식을 사용했다는 점도 문제로 지목되고 있다.

    조 의원은 "박원순 시장의 싱크홀에 대한 처음부터 끝까지의 거짓말 전모가 드러났다"며 "시공 이후에 기본적인 13미터 뒤에 동공이 있는데, 1.5미터 밖에 안 되는 겉핥기식 거짓 점검을 했다"고 박 시장을 비난했다.

    그는 "시공회사 책임자가 양심고백을 했다. 석촌호수에 사전 시추검사를 서울시에 요청했는데 서울시가 거부했다"며 "공사중단 이후에 보강작업을 하는데 수직공법을 써야만 안전하게 보강할 수 있다고 제안했는데 서울시가 거부하고 우리나라에서 처음 하는 수평공법을 써서 지금 이 사태가 벌어졌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관련자에 대한 법적 책임을 반드시 물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강기윤 의원도 "수직공법으로 해야 싱크홀이 안생긴다는 서울시 회의 내용이 있었는데도 박원순 시장은 시민의 안전보다는 인기에 영합해 결정된 수평공법을 사용했다"며 "수직공법은 지상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공사과정에서 교통불편이 초래될 소지가 있기 때문"이라고 가세했다.

    이어 강 의원은 "이는 '눈가리고 아웅'식의 안전불감증 현상이 야기될 수 있는 문제"라며 "서울시 국감에서 집중적으로 잘잘못을 따져 국민 안전에 이상이 없도록 만전을 기하고자 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KBS <뉴스9>는 전날 밤 "KBS가 단독 입수한 회의록을 보면 자문위원 대다수가 수직 공법을 제안했다. 석촌동 같은 연약지반에서는 수평 공법 보다 안전하기 때문이다. 회의에는 서울시 관계자도 참석했다. 하지만 서울시는 수직 공법은 도로를 통제해야 하고 지하차도 구조물에 부담된다며 수평 공법을 강행했다"고 보도했다.

    KBS는 이어 "서울시는 또 이 구간의 위험성을 알면서도 시공사가 사전 시추 조사를 해보겠다는 의견을 교통 통제를 이유로 묵살한 사실도 드러났다. 시추 조사도 없이 국내서 경험이 전혀 없던 수평 공법을 썼던 구간에서 결국 싱크홀과 동공 6개가 잇따라 발견됐다"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