親李 이군현 "당헌당규엔 당협위원장 매년 선출 의무화"
親朴 홍문종 "인위적 끌어내리기·교체 큰 저항 있을 것"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새누리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조강특위) 활동범위를 놓고 친박계와 비박계가 장외에서 공방을 벌였다.
친박계 핵심 인사로 사무총장을 지낸 홍문종 의원은 "조강특위는 비어 있는 당협위원장을 모시는 자리"라고 선을 그은 반면, 대표적 친이계 인사인 이군현 사무총장은 15일 "당헌당규에 따라 당협위원장은 매년 선출하도록 의무화돼 있다"며 원외 당협위원장들 중 일부교체의사를 분명히 했다.
조강특위 위원장을 맡은 이 사무총장은 이날 오전 YTN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서 "1년 반 정도 남은 총선까지 큰 선거가 없기 때문에 활성화되지 않은 조직은 정비하는 것이 맞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조강특위 활동 과정에서 계파 갈등이 불거질 수 있다는 관측에 대해 "지금은 아무도 친박(親박근혜), 친이(親이명박) 구분을 하지 않는다"면서 “친박과 친이 상관 없이 누가 사무총장에 있더라도 해야 할 일로 만약 지금(당협위원장 교체를)하지 않는다면 사무총장의 직무유기"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최대한 객관적인 지표를 만들 수 있는데까지 만들어 객관적으로 하겠다"고 강조했다.
조직 정비의 기준에 대해선 "가장 중요한 것은 당선 가능성"이라며 "당협위원장 교체 여부는 위원장을 맡아 얼마나 당을 활성화시켰는지 볼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홍 의원은 전날 한 방송에 출연 "인위적으로 위원장을 끌어내린다든지 교체한다든지 하면 큰 저항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홍 의원은 "교체를 한다고 말하는 것은 '당협위원장=공천'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우리 계파, 가까운 사람들을 거기에 많이 심어야 되겠다는 생각이다.
이는 오픈 프라이머리 정신에도 어긋나는 것"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한편 새누리당 내에서는 원외 당협위원장에 대한 당무 감사가 끝난 뒤 원내 인사까지 확대할 것이란 소문이 무성하다.
김무성 대표 체제에서 실시될 원내 인사에 대한 당무감사 성적표가 20대 총선 '물갈이' 기준으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당무감사 성적표가 사실상 '친박 살생부'가 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군현 사무총장이 "원내 당무감사는 계획이 없다"고 발표했지만, 친박계 의원들은 이를 곧이곧대로 믿는 분위기가 아니다.
실제로 이명박 전 대통령 재임시절에 총선을 앞두고 조직정비와 공천을 위한 기초자료로 원외당협회의를 시작으로 현역 의원 지역까지 당무감사를 실시해왔으며, 그를 근거로 친박계 인사들을 배제시킨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親朴 홍문종 "인위적 끌어내리기·교체 큰 저항 있을 것"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새누리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조강특위) 활동범위를 놓고 친박계와 비박계가 장외에서 공방을 벌였다.
친박계 핵심 인사로 사무총장을 지낸 홍문종 의원은 "조강특위는 비어 있는 당협위원장을 모시는 자리"라고 선을 그은 반면, 대표적 친이계 인사인 이군현 사무총장은 15일 "당헌당규에 따라 당협위원장은 매년 선출하도록 의무화돼 있다"며 원외 당협위원장들 중 일부교체의사를 분명히 했다.
조강특위 위원장을 맡은 이 사무총장은 이날 오전 YTN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서 "1년 반 정도 남은 총선까지 큰 선거가 없기 때문에 활성화되지 않은 조직은 정비하는 것이 맞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조강특위 활동 과정에서 계파 갈등이 불거질 수 있다는 관측에 대해 "지금은 아무도 친박(親박근혜), 친이(親이명박) 구분을 하지 않는다"면서 “친박과 친이 상관 없이 누가 사무총장에 있더라도 해야 할 일로 만약 지금(당협위원장 교체를)하지 않는다면 사무총장의 직무유기"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최대한 객관적인 지표를 만들 수 있는데까지 만들어 객관적으로 하겠다"고 강조했다.
조직 정비의 기준에 대해선 "가장 중요한 것은 당선 가능성"이라며 "당협위원장 교체 여부는 위원장을 맡아 얼마나 당을 활성화시켰는지 볼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홍 의원은 전날 한 방송에 출연 "인위적으로 위원장을 끌어내린다든지 교체한다든지 하면 큰 저항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홍 의원은 "교체를 한다고 말하는 것은 '당협위원장=공천'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우리 계파, 가까운 사람들을 거기에 많이 심어야 되겠다는 생각이다.
이는 오픈 프라이머리 정신에도 어긋나는 것"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한편 새누리당 내에서는 원외 당협위원장에 대한 당무 감사가 끝난 뒤 원내 인사까지 확대할 것이란 소문이 무성하다.
김무성 대표 체제에서 실시될 원내 인사에 대한 당무감사 성적표가 20대 총선 '물갈이' 기준으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당무감사 성적표가 사실상 '친박 살생부'가 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군현 사무총장이 "원내 당무감사는 계획이 없다"고 발표했지만, 친박계 의원들은 이를 곧이곧대로 믿는 분위기가 아니다.
실제로 이명박 전 대통령 재임시절에 총선을 앞두고 조직정비와 공천을 위한 기초자료로 원외당협회의를 시작으로 현역 의원 지역까지 당무감사를 실시해왔으며, 그를 근거로 친박계 인사들을 배제시킨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