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세월호 특별법 바로 세워야 안전공화국 시작"
정의당 "철저한 진상 조사·처벌 가능한 특별법 필요"
[시민일보=이대우 기자]새정치민주연합은 20일 판교 야외공연장 환풍구 붕괴 추락 사고를 고리로 박근혜 정부의 안전불감증에 대한 비판공세를 강화했다. 정의당도 ‘세월호가 보내는 경고’라며 가세했다.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비상대책위원회의를 열고 "판교 밸리에서 안전참사가 또 발생했다. 세월호 참사 6개월간 뭐했나. 개발도상국에서 일어날 사고"라며 "'새로운 대한민국 안전위원회' 산하에 안전사회추진단을 꾸려서 불안 해소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문 위원장은 "어처구니없어 할 말이 없고 국민 볼 낮이 없다"며 "진상규명을 해야하고 언제 또 일어날 사고를 막기 위해 정부가 전국적으로 시설물 점검을 신속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윤근 원내대표는 "당정청이 세월호 참사 이후 50회 이상 안전관련 대책회의를 했지만 여전히 후진성을 보여줬다"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우 원내대표는 "세월호 참사의 눈물이 마르지도 않았는데 또 안전사고가 발생해 가슴이 먹먹하다"며 "국감이 끝나고 대한민국 안전위원회 산하에 재난과 생활 안전 등 안전분야 상임위와 외부 전문가를 모시고 안전사회추진단을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문재인 비대위원은 "6개월 만에 또다시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며 "박근혜 정부 들어 인명사고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그럴때마다 정부는 안전을 약속했지만 여전히 사고가 반복되고 희생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문 비대위원은 "안전을 위한 진정성 있는 노력이 없어서 그렇다"며 "정부의 존재 이유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이다. 세월호특별법 부터 제대로 만들어 안전에 대한 진정성을 보여줄 것 여당에 촉구한다"고 압박했다.
인재근 비대위원도 "안전불감증이 참사를 만들었다. 6개월만에 우리 안 세월호가 또다시 침몰했다. 국가개조 기회를 살리지 못하고 이런 사태가 발생했다"며 "참사 계속되고 있다. 대한민국은 참사 공화국이 됐다. 지체할 수 없다. 안전공화국으로 가는길을 열어야 한다. 임시방편으로는 안된다. 세월호특별법을 바로 세워야 안전공화국이 시작된다"고 강조했다.
정의당 천호선 대표도 이날 오전 국회에서 상무위원회를 열고 "이번 사건은 지난 6개월간 대한민국이 변화를 시작하지도 못했다는 증거"라며 "위험천만한 사회가 세월호를 잊으려 하는 우리에게 다시 한 번 보내는 경고"라고 지적했다.
천 대표는 "사람이 충분히 올라갈 수 있는 환풍구는 어떠한 안전 조치도 없었고 또 기준조차 마련되지 않았다. 행사기획서에는 엄연히 안전요원이 적혀 있었지만 행사장에는 한사람의 안전 요원도 배치되지 않았다"며 "세월호 사고와 마찬가지로 예고된 사고였고 우리 모두가 세월호를 기억하며 경각심을 가지고 임했다면 막을 수 있는 사고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세월호의 교훈을 헛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그 자체의 철저한 진상규명과 처벌이 기본"이라며 "그래서 철저한 진상조사와 처벌이 가능한 특단의 특별법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핵심적인 장치가 바로 유가족의 참여인 것이다. 정부와 새누리당은 책임지고 제대로 된 세월호특별법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의당 "철저한 진상 조사·처벌 가능한 특별법 필요"
[시민일보=이대우 기자]새정치민주연합은 20일 판교 야외공연장 환풍구 붕괴 추락 사고를 고리로 박근혜 정부의 안전불감증에 대한 비판공세를 강화했다. 정의당도 ‘세월호가 보내는 경고’라며 가세했다.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비상대책위원회의를 열고 "판교 밸리에서 안전참사가 또 발생했다. 세월호 참사 6개월간 뭐했나. 개발도상국에서 일어날 사고"라며 "'새로운 대한민국 안전위원회' 산하에 안전사회추진단을 꾸려서 불안 해소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문 위원장은 "어처구니없어 할 말이 없고 국민 볼 낮이 없다"며 "진상규명을 해야하고 언제 또 일어날 사고를 막기 위해 정부가 전국적으로 시설물 점검을 신속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윤근 원내대표는 "당정청이 세월호 참사 이후 50회 이상 안전관련 대책회의를 했지만 여전히 후진성을 보여줬다"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우 원내대표는 "세월호 참사의 눈물이 마르지도 않았는데 또 안전사고가 발생해 가슴이 먹먹하다"며 "국감이 끝나고 대한민국 안전위원회 산하에 재난과 생활 안전 등 안전분야 상임위와 외부 전문가를 모시고 안전사회추진단을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문재인 비대위원은 "6개월 만에 또다시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며 "박근혜 정부 들어 인명사고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그럴때마다 정부는 안전을 약속했지만 여전히 사고가 반복되고 희생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문 비대위원은 "안전을 위한 진정성 있는 노력이 없어서 그렇다"며 "정부의 존재 이유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이다. 세월호특별법 부터 제대로 만들어 안전에 대한 진정성을 보여줄 것 여당에 촉구한다"고 압박했다.
인재근 비대위원도 "안전불감증이 참사를 만들었다. 6개월만에 우리 안 세월호가 또다시 침몰했다. 국가개조 기회를 살리지 못하고 이런 사태가 발생했다"며 "참사 계속되고 있다. 대한민국은 참사 공화국이 됐다. 지체할 수 없다. 안전공화국으로 가는길을 열어야 한다. 임시방편으로는 안된다. 세월호특별법을 바로 세워야 안전공화국이 시작된다"고 강조했다.
정의당 천호선 대표도 이날 오전 국회에서 상무위원회를 열고 "이번 사건은 지난 6개월간 대한민국이 변화를 시작하지도 못했다는 증거"라며 "위험천만한 사회가 세월호를 잊으려 하는 우리에게 다시 한 번 보내는 경고"라고 지적했다.
천 대표는 "사람이 충분히 올라갈 수 있는 환풍구는 어떠한 안전 조치도 없었고 또 기준조차 마련되지 않았다. 행사기획서에는 엄연히 안전요원이 적혀 있었지만 행사장에는 한사람의 안전 요원도 배치되지 않았다"며 "세월호 사고와 마찬가지로 예고된 사고였고 우리 모두가 세월호를 기억하며 경각심을 가지고 임했다면 막을 수 있는 사고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세월호의 교훈을 헛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그 자체의 철저한 진상규명과 처벌이 기본"이라며 "그래서 철저한 진상조사와 처벌이 가능한 특단의 특별법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핵심적인 장치가 바로 유가족의 참여인 것이다. 정부와 새누리당은 책임지고 제대로 된 세월호특별법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