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최고위원직 사퇴선언과 관련, “번복은 없다”던 새누리당 김태호 최고위원이 하루만에 “고민하겠다”는 입장으로 선회, 잇단 돌출언행으로 구설을 자초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 최고위원은 25일 한 언론과의 통화에서 사퇴를 철회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 “솔직히 고민이 좀 더 깊어졌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개헌과 관련해 김무성 대표와 내가 가야 할 길이 다르지 않다”며 “나의 요구(개헌)를 (지도부) 안에서 하는 게 더 좋지 않으냐는 요구가 강하다”고 강조했다.
‘개헌 불가피론’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사퇴 번복이 불가피하다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당초 “대통령께 염장을 뿌렸다”고 김무성 대표의 개헌발언을 강하게 질타하던 때와 마찬가지로 김태호 최고위원의 좌충우돌에 대부분 진정성을 부여하지 않는 분위기다.
친박계는 김 최고위원의 이런 태도에 “존재감 부각을 위한 조급증”이라고 평가절하했다.
홍문종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본인이 당 최고위원이고, 개헌론도 본인이 먼저 말했는데 김 대표에 가려서 본인의 목소리를 못 내고 정치적으로 너무 소외돼 있다 보니 조급증이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주변의 말이 있다”고 말했다.
친박 맏형 격인 서청원 최고위원도 “왜 그랬는지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비박(비박근혜)계 역시 비판적이다.
조해진 의원은 “최고위원은 당과 청와대가 소통하는 데 있어서 전면에서 역할을 해야 하는 당직자다. 청와대와 당이 오해가 있다면 풀고 이견을 조정하는 역할을 했더라면 (당청 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았겠느냐”고 지적했다.
특히 박찬종 변호사는 한 방송에 출연 김태호 최고위원의 이런 태도를 “유치하다”고 꼬집었다.
앞서 23일 김태호 최고위원은 최고위원직 사퇴를 선언하면서 "대통령께서도 기회가 있을 때마다 국회를 향해 '경제활성화 법안만 제발 좀 통과시켜 달라, 시기가 있다, 지금이 바로 골든타임이다'라고 애절하게 말씀해오셨다"며 "그런데 국회에서 어떻게 부응했는지 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거기에 '개헌이 골든타임이다'라며 대통령에게 염장을 뿌렸다. 아마 많이 가슴 아프실 것"이라며 "오죽했으면 '국회 의무를 다 하지 못하면 세비를 반납해야한다'는 대통령께서 해서는 안 될 말씀까지 하셨다"고 질타한 바 있다.
당시 김 최고위원의 '대통령 염장' 발언을 두고 김무성 대표를 겨냥했다는 관측이 무성했다.
김 최고위원은 25일 한 언론과의 통화에서 사퇴를 철회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 “솔직히 고민이 좀 더 깊어졌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개헌과 관련해 김무성 대표와 내가 가야 할 길이 다르지 않다”며 “나의 요구(개헌)를 (지도부) 안에서 하는 게 더 좋지 않으냐는 요구가 강하다”고 강조했다.
‘개헌 불가피론’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사퇴 번복이 불가피하다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당초 “대통령께 염장을 뿌렸다”고 김무성 대표의 개헌발언을 강하게 질타하던 때와 마찬가지로 김태호 최고위원의 좌충우돌에 대부분 진정성을 부여하지 않는 분위기다.
친박계는 김 최고위원의 이런 태도에 “존재감 부각을 위한 조급증”이라고 평가절하했다.
홍문종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본인이 당 최고위원이고, 개헌론도 본인이 먼저 말했는데 김 대표에 가려서 본인의 목소리를 못 내고 정치적으로 너무 소외돼 있다 보니 조급증이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주변의 말이 있다”고 말했다.
친박 맏형 격인 서청원 최고위원도 “왜 그랬는지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비박(비박근혜)계 역시 비판적이다.
조해진 의원은 “최고위원은 당과 청와대가 소통하는 데 있어서 전면에서 역할을 해야 하는 당직자다. 청와대와 당이 오해가 있다면 풀고 이견을 조정하는 역할을 했더라면 (당청 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았겠느냐”고 지적했다.
특히 박찬종 변호사는 한 방송에 출연 김태호 최고위원의 이런 태도를 “유치하다”고 꼬집었다.
앞서 23일 김태호 최고위원은 최고위원직 사퇴를 선언하면서 "대통령께서도 기회가 있을 때마다 국회를 향해 '경제활성화 법안만 제발 좀 통과시켜 달라, 시기가 있다, 지금이 바로 골든타임이다'라고 애절하게 말씀해오셨다"며 "그런데 국회에서 어떻게 부응했는지 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거기에 '개헌이 골든타임이다'라며 대통령에게 염장을 뿌렸다. 아마 많이 가슴 아프실 것"이라며 "오죽했으면 '국회 의무를 다 하지 못하면 세비를 반납해야한다'는 대통령께서 해서는 안 될 말씀까지 하셨다"고 질타한 바 있다.
당시 김 최고위원의 '대통령 염장' 발언을 두고 김무성 대표를 겨냥했다는 관측이 무성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