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시·군·구 중 아파트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광주 광산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가 10월 4주차 시세 기준 전국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총 645만2273가구의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60.29%보다 6.22%p 늘어난 66.51%로 집계됐다.
시·도별로 보면 광주가 79.18%로 가장 높았고 대구 75.76%, 충남 74.65%, 전북 74.34%, 경북 73.31%, 충북 71.71%, 울산 71.68%, 전남 71.58%, 대전 70.19% 순으로 9개 시·도가 전세가 비율 70%를 넘었다.
수도권에서는 경기 화성시가 77.42%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경기 군포시 76.26%, 경기 의왕시 73.91%, 경기 안양시 71.93% 등이 뒤를 이었다.
부동산써브는 이들 지역은 주변에 대규모 산업단지가 있어 근로자 유입이 많은 곳으로 지역 내 신도시가 위치하고 있거나 신도시와 접해 있는 등 기반시설도 좋아 젊은층을 중심으로 수요가 몰리면서 전세가 비율이 높게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은 성북구가 71.85%로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중구(71.14%), 동대문구(71.11%), 서대문구(70.87%), 관악구(70.07%) 등이 70%를 넘었다. 성북구는 길음뉴타운 개발로 2005년~2010년 사이 입주한 새 아파트 전세가가 올라 전세가 비율을 높인 것으로 분석된다.
인천은 서울 접근성이 좋은 부평구가 69.49%로 가장 높았고 남동구 67.54%, 계양구 67.28%, 남구 65.50% 등이 뒤를 이었다.
지방에서는 광주 광산구가 81.02%로 전국에서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충남 계룡시 79.25%, 광주 남구 79.23%, 대구 달서구 79.18%, 광구 북구 79.17% 순이었다.
광주는 5개 모든 구에서 전세가 비율이 70%를 넘었다. 광주는 평동산업단지, 광주하남산업단지, 기아자동차광주공장 등 대규모 산업단지로 근로자 유입이 꾸준히 이어지면서 전세가가 높게 형성됐다. 대구 역시 대구성서1,2,3,4차 산업단지가 집중된 달서구의 전세가가 높았다.
이번 조사에서 전세가 비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45.06%인 인천 중구로 집계됐다. 경기 과천시 45.54%, 충북 단양군 47.28%, 서울 강남구 47.83% 등도 전세가 비율이 50%를 넘지 못했다.
부동산써브는 “당분간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더 높아질 전망”이라며 “몇 년간 이어진 전세난으로 전세물건이 부족한 상황에서 저금리로 인한 전세물건의 월세 전환이 늘고 있어 전세물건이 더욱 귀해졌다. 강남 재건축 단지 이주수요도 점차 늘어날 예정으로 연말에도 전세가 강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28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가 10월 4주차 시세 기준 전국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총 645만2273가구의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60.29%보다 6.22%p 늘어난 66.51%로 집계됐다.
시·도별로 보면 광주가 79.18%로 가장 높았고 대구 75.76%, 충남 74.65%, 전북 74.34%, 경북 73.31%, 충북 71.71%, 울산 71.68%, 전남 71.58%, 대전 70.19% 순으로 9개 시·도가 전세가 비율 70%를 넘었다.
수도권에서는 경기 화성시가 77.42%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경기 군포시 76.26%, 경기 의왕시 73.91%, 경기 안양시 71.93% 등이 뒤를 이었다.
부동산써브는 이들 지역은 주변에 대규모 산업단지가 있어 근로자 유입이 많은 곳으로 지역 내 신도시가 위치하고 있거나 신도시와 접해 있는 등 기반시설도 좋아 젊은층을 중심으로 수요가 몰리면서 전세가 비율이 높게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은 성북구가 71.85%로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중구(71.14%), 동대문구(71.11%), 서대문구(70.87%), 관악구(70.07%) 등이 70%를 넘었다. 성북구는 길음뉴타운 개발로 2005년~2010년 사이 입주한 새 아파트 전세가가 올라 전세가 비율을 높인 것으로 분석된다.
인천은 서울 접근성이 좋은 부평구가 69.49%로 가장 높았고 남동구 67.54%, 계양구 67.28%, 남구 65.50% 등이 뒤를 이었다.
지방에서는 광주 광산구가 81.02%로 전국에서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충남 계룡시 79.25%, 광주 남구 79.23%, 대구 달서구 79.18%, 광구 북구 79.17% 순이었다.
광주는 5개 모든 구에서 전세가 비율이 70%를 넘었다. 광주는 평동산업단지, 광주하남산업단지, 기아자동차광주공장 등 대규모 산업단지로 근로자 유입이 꾸준히 이어지면서 전세가가 높게 형성됐다. 대구 역시 대구성서1,2,3,4차 산업단지가 집중된 달서구의 전세가가 높았다.
이번 조사에서 전세가 비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45.06%인 인천 중구로 집계됐다. 경기 과천시 45.54%, 충북 단양군 47.28%, 서울 강남구 47.83% 등도 전세가 비율이 50%를 넘지 못했다.
부동산써브는 “당분간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더 높아질 전망”이라며 “몇 년간 이어진 전세난으로 전세물건이 부족한 상황에서 저금리로 인한 전세물건의 월세 전환이 늘고 있어 전세물건이 더욱 귀해졌다. 강남 재건축 단지 이주수요도 점차 늘어날 예정으로 연말에도 전세가 강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