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선거구획정 ‘문무갈등’ 깊어지나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4-11-04 15:24:10
    • 카카오톡 보내기
    野, 김문수 先선관위안에 대체로 수긍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누리당 보수혁신특별위원회(김문수 위원장)가 선거구 획정문제와 관련해 '선(先) 중앙선관위 획정 후(後) 국회 정개특위 수정 방안'을 마련했으나, 이를 둘러싼 ‘문무(김무성-김문수)’ 갈등으로 인해 난항이 예상된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혁신위에서 나오는 모든 게 안이지 결정이 될 수 없다"고 잘라 말해 사실상 김문수 위원장의 '방안'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김 대표는 "개인적으로 선관위에서 (선거구 획정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면서도 "그러나 그것은 당 의원들의 의견도 물어봐야할 중요한 문제다. 모든 것이 어느 방향으로 갈 것인가 결정을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에서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혁신위에서 안을 내서 그렇게 당에 건의를 하면, 당이 건의를 받아 의원총회 등에서 당의 안으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라며 “당 보수혁신위원회에서 추진하고 있는 혁신안에 대해서는 의총을 열어 논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김 대표 측근인 김성태 의원은 김문수 위원장에 대해 "섣부른 발언은 자제돼야 한다"고 노골적으로 공세를 취했다.

    김 의원은 이날 오전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본인 개인의 입장을 가지고 (발표하면) 이런 중차대한 문제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김 의원은 또 "김문수 위원장은 현역 의원도 아니고, 더군다나 새정치민주연합과 새누리당이 공동으로 만든 기구의 위원장도 아니다"라며 "김문수 위원장보다는 당에서 결정한 당론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문수 위원장의 입장이 당론을 뒤집어엎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당론의 입장이 정해졌다면 더 이상 혼선을 가져올 수 있는 이야기는 자제돼야 한다"고 거듭 자제를 주문했다.

    한편 김문수 위원장의 안에 대해서는 야당도 대체로 수긍하는 분위기다.

    새정치민주연합은 당초 선거구획정위를 외부 독립기구로 만들어야 한다는 방침을 견지해왔다. 국회를 벗어나 선관위 산하에 놓더라도 선관위원들의 입김이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실제 새정치연합은 지난달 30일 헌법재판소의 불합치 판결 직후 '선거구 획정위원회를 국회에서 독립시켜 정치적 이해관계로부터 자유로운 외부인사로 구성해야 한다'고 공식적으로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최근 당 내부에서는 '선관위에 둬도 독립적인 지위만 부여하면 된다'는 견해가 힘을 얻는 양상이다.

    특히 새정치연합 박기춘 의원은 지난 2012년 선거구획정위를 선관위 산하에 두는 내용의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발의한 바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