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당권 놓고 계파갈등 예고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4-11-06 17:04:05
    • 카카오톡 보내기
    비노, 문재인 겨냥 “대권주자-비대위원 불출마해야”
    친노,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거’ 선호...전대 룰 갈등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새정치민주연합 전당대회 일정이 2015년 2월8일로 잠정결정된 가운데 계파갈등이 표면화 되고 있다. 특히 친노측과 비노측 기 싸움 양상이 심상치 않다는 관측마저 나오고 있다.

    실제 당권주자로 거론되는 박지원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6일 "당권과 대권은 분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차기 당내 잠재적 대권주자인 문재인 의원에게 사실상 전대 불출마를 요구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석현 국회부의장도 전날 전당대회 출마 자격을 놓고 논란의 불씨를 지폈다.

    비노측 인사인 이 부의장은 “이번 (차기)전당대회에 비상대책위원을 비롯한 계파 수장들이 당 대표에 출마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차기 지도부가 총선 공천권을 행사해 계파 갈등이 더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는 점, 후진들에게 길을 열어주는 미덕이 바람직하다는 점 때문”이라며 “정기국회가 끝나는 대로 (전대 출마자는)전국 선거운동을 다녀야 하는데 비대위원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부의장이 비대위원 전부로 뭉뚱거렸지만 이 역시 문재인 의원을 겨냥했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권노갑·정대철 상임고문 등 옛 민주계 장외 원로들도 문재인 의원 등장에 비판적이라는 분석이다.
    이들이 최근 야권 대선후보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언급한 것도 문 의원 견제용 아니냐는 견해가 많다.

    하지만 문 의원은 최근 ‘계파주의 극복과 당 혁신 방안’ 토론회에서 ‘비대위원들이 전대 불출마 협약을 주도해야 한다’는 주장을 일축하는 등 출마 의지를 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르면 다음주 초쯤 지역위원장 선정 작업 결과가 나오면 차기 당권과 맞물려 파장이 적지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특히 전대룰을 둘러싼 각 계파 신경전도 만만치 않다.

    3선 의원이 주축이 된 ‘혁신모임’은 전날 오전 회의를 열어 ‘당대표·최고위원 통합선거’를 반대하기로 했다.

    1위 득표자가 당대표를 하고 나머지 득표순대로 최고위원을 맡는 방식의 ‘통합선거’를 치르면 지도부 안에서 계파간 ‘지분 나누기’가 진행될 공산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대해선 친노 진영이 크게 반기는 분위기다.

    당내 최대 계파인 친노 진영으로서는 문재인 의원이 나서면 1위가 확실시 된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최고위원들의 견제를 받는 통합선거 보다는 당대표의 확고한 지위를 보장받는 당대표-최고위원 분리 선거가 낫다는 것이다.

    친노 진영 핵심 관계자는 "집단지도체제는 1위가 망하면 2위가 승계하는 구조라서 협력 체제가 잘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 발생한다"며 “분리선거를 실시하는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반면 비노계는 분리 선거를 하게 되면 단일 후보를 내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특히 20대 총선에서 계파를 챙겨야 하는 비노계 수장들은 당대표를 못하더라도 최고위원이 되는 통합선거를 지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비노계의 한 의원은 "분리선거는 당대표에 낙선하게 되면 최고위원도 될 수 없기 때문에 비노계 수장들은 섣불리 도전 못할 것"이라며 “분리선거는 사실상 ‘문재인 추대’를 위한 선거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