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고수현 기자]박근혜 대통령이 9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 동아시아정상회의(EAS),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등 잇단 다자회의 참석을 위해 순방길에 올랐다.
박 대통령은 이날부터 8박9일간 중국 베이징, 미얀마 네피도, 호주 브리즈번을 잇따라 방문해 이 같은 일정에 참석한다.
박 대통령은 우선 오는 12일까지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아·태 동반자 관계를 통한 미래구축'을 주제로 열리는 제22차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박 대통령은 11일 오전 첫 정상회의 세션(Retreat 1)에서 '지역경제통합 진전'을 주제로 관련 토의를 하고 이어지는 업무오찬에 참석해 '포괄적 연계성 및 인프라 개발강화'를 논의한다.
또 같은 날 오후 두 번째 정상회의 세션(Retreat 2)에 참석해 세계적인 고실업과 저성장 추세에 대응한 '혁신적 발전, 경제개혁 및 성장 촉진'에 대해 논의를 진행한다.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10일에는 'APEC 기업인자문위원회(ABAC)'에 참석해 다른 3개 참가국 정상들과 함께 경제혁신, 규제개혁 등 기업친화정책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이어 12∼13일에는 미얀마 네피도를 방문해 제9차 EAS와 제17차 아세안+3 정상회의 일정에 참석한다.
EAS에서는 최근 국제사회가 에볼라 바이러스, 이라크·레반트 이슬람국가(ISIL) 등 국제 현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며 이어 아세안+3에서는 한·중·일 조정국 정상으로서 아세안 의장국인 미얀마와 공동으로 회의를 주재하게 된다.
박 대통령은 또 14~16일에는 호주 브리즈번을 방문해 G20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이번 G20 정상회의를 통해 15일 '성장과 일자리 창출', '무역' 등을 주제로 열리는 회의와 업무만찬 등에 참석하게 되며 이어 16일 '세계경제 회복력'과 '에너지', '미래도전' 등을 논의하는 회의 및 업무오찬 등에 참석한다.
박 대통령은 이번 G20 회의를 통해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의 성장전략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은 이번 순방을 계기로 여러 참석국 정상들과 별도의 양자회담을 갖는다.
우선 베이징에서는 APEC 주최국인 중국의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와 한반도 정세,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등 주요 현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박 대통령이 시 주석과 별도로 정상회담을 갖는 것은 취임 이후 다섯 번째로 가장 많이 만남을 갖는 상대국이기도 하다.
아울러 사우디아라비아의 살만 빈 압둘 아지즈 왕세제와도 이번 순방기간에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간 투자촉진, 건설·인프라분야 진출 확대방안 등에 대해 논의한다.
이 밖에도 이번 순방을 계기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질지 여부도 주목된다. 앞서 양국은 이번 순방기간 내에 정상회담을 갖는 방안을 협의한 것으로 알려져 회담이 성사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미·중 양국이 동아시아를 둘러싼 패권을 놓고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가운데 각각 회담이 이뤄질 경우 3개국 정상이 서로 연쇄회담을 갖게 되는 꼴이어서 상당한 관심을 끈다. 아울러 해빙모드에서 다시금 급랭모드로 접어든 대북문제와 관련한 논의 내용도 관심사다.
이번 순방 일정에 참여하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어떤 만남이 이뤄질 것인지도 관심을 끄는 부분이다.
아베 총리는 앞서 이번 다자회의 일정을 계기로 박 대통령과 회담을 희망한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전제한 일본의 태도변화가 없는 만큼 정상회담은 무산되는 분위기여서 양 정상이 어떤 표정으로 마주치게 될지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이날부터 8박9일간 중국 베이징, 미얀마 네피도, 호주 브리즈번을 잇따라 방문해 이 같은 일정에 참석한다.
박 대통령은 우선 오는 12일까지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아·태 동반자 관계를 통한 미래구축'을 주제로 열리는 제22차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박 대통령은 11일 오전 첫 정상회의 세션(Retreat 1)에서 '지역경제통합 진전'을 주제로 관련 토의를 하고 이어지는 업무오찬에 참석해 '포괄적 연계성 및 인프라 개발강화'를 논의한다.
또 같은 날 오후 두 번째 정상회의 세션(Retreat 2)에 참석해 세계적인 고실업과 저성장 추세에 대응한 '혁신적 발전, 경제개혁 및 성장 촉진'에 대해 논의를 진행한다.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10일에는 'APEC 기업인자문위원회(ABAC)'에 참석해 다른 3개 참가국 정상들과 함께 경제혁신, 규제개혁 등 기업친화정책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이어 12∼13일에는 미얀마 네피도를 방문해 제9차 EAS와 제17차 아세안+3 정상회의 일정에 참석한다.
EAS에서는 최근 국제사회가 에볼라 바이러스, 이라크·레반트 이슬람국가(ISIL) 등 국제 현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며 이어 아세안+3에서는 한·중·일 조정국 정상으로서 아세안 의장국인 미얀마와 공동으로 회의를 주재하게 된다.
박 대통령은 또 14~16일에는 호주 브리즈번을 방문해 G20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이번 G20 정상회의를 통해 15일 '성장과 일자리 창출', '무역' 등을 주제로 열리는 회의와 업무만찬 등에 참석하게 되며 이어 16일 '세계경제 회복력'과 '에너지', '미래도전' 등을 논의하는 회의 및 업무오찬 등에 참석한다.
박 대통령은 이번 G20 회의를 통해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의 성장전략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은 이번 순방을 계기로 여러 참석국 정상들과 별도의 양자회담을 갖는다.
우선 베이징에서는 APEC 주최국인 중국의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와 한반도 정세,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등 주요 현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박 대통령이 시 주석과 별도로 정상회담을 갖는 것은 취임 이후 다섯 번째로 가장 많이 만남을 갖는 상대국이기도 하다.
아울러 사우디아라비아의 살만 빈 압둘 아지즈 왕세제와도 이번 순방기간에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간 투자촉진, 건설·인프라분야 진출 확대방안 등에 대해 논의한다.
이 밖에도 이번 순방을 계기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질지 여부도 주목된다. 앞서 양국은 이번 순방기간 내에 정상회담을 갖는 방안을 협의한 것으로 알려져 회담이 성사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미·중 양국이 동아시아를 둘러싼 패권을 놓고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가운데 각각 회담이 이뤄질 경우 3개국 정상이 서로 연쇄회담을 갖게 되는 꼴이어서 상당한 관심을 끈다. 아울러 해빙모드에서 다시금 급랭모드로 접어든 대북문제와 관련한 논의 내용도 관심사다.
이번 순방 일정에 참여하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어떤 만남이 이뤄질 것인지도 관심을 끄는 부분이다.
아베 총리는 앞서 이번 다자회의 일정을 계기로 박 대통령과 회담을 희망한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전제한 일본의 태도변화가 없는 만큼 정상회담은 무산되는 분위기여서 양 정상이 어떤 표정으로 마주치게 될지 주목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