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이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내년 2월초 개최하기로 가닥을 잡았으나, 전당대회 룰에 대해선 여전히 시끄러운 분위기다.
집단지도체제로의 환원 문제는 일단 현 체제를 유지하는 쪽으로 힘이 실리고 있다. 이에따라 일각에서 요구한 당 대표와 최고위원 통합선거는 없던 일이 되고 ‘투트랙 경선’으로 치러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도 13일 별도 경선을 통해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뽑는 현행 분리방식에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
문 비대위원장은 이날 당내 중도ㆍ온건파 의원 모임인 '무신불립'이 주최한 '2015 전당대회의 목표와 과제'라는 세미나에 참석해 "큰 하자가 없는 한 현 당헌ㆍ당규대로 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아달라"며 "대체로 한 번 만들어진 룰은 고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이어 "당헌ㆍ당규를 손대지 말고 안정감 있게 예측 가능한 정치를 할 수 있게 해달라"고 당부했다.
김성곤 전대준비위원장도 "당헌은 수시로 바꾸지 않는 게 원칙"이라며 “분명한 개정 사유가 없으면 당대표 중심의 현행 단일 지도체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대준비부위원장인 최규성 의원도 “당내 다수 의견이 분리선거, 단일성 체제”라면서 “지도체제가 순수 집단지도체제로 갔다가 지난 총선과 대선에서 패하고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왔는데 다시 순수 집단지도체제로 갈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했다.
특히, 이에 대해서는 당권-대권 분리 문제로 신경전을 펼치고 있는 박지원 의원과 문재인 의원 측에서도 별다른 이견이 없어 보인다.
박 의원은 전날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 “특별하게 어떤 제도를 바라고 있지 않다”면서 “지금은 (당 대표와 최고위원)분리 선거다. 자꾸 규정을 바꾸는 것보다는 현재의 규정을 그대로 고수하는 것이 좋다는 이야기도 있다”고 밝혔다.
문 의원 대변인격인 윤호중 의원 역시 같은 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당내 일각의 통합선거 주장에 대해 “당이 보다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주장이 아니라 특정 후보군의 유불리라는 문제로 제기되는 것이면 고려의 가치가 없다”고 일축했다.
하지만 당권-대권 분리요구에 대해선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김 준비위원장은 이날 당권ㆍ대권 분리론에 대해 "당헌 개정 문제라기보다 정치적 결단의 문제"라며 부정적 입장을 분명히 했다.
문 비대위원장도 최근 민주정당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일축한 바 있다.
그러나 박지원 의원은 최근 SBS <한수진의 SBS 전망대>와 인터뷰에서 “대선 후보는 일반적인 당무보다 대권 준비를 본격적으로 착실하게 해 나가는 소위, ‘당권·대권 분리’가 필요하다”며 “대선 후보가 당권을 장악하면 상처가 난다”고 대권후보의 전당대회 출마 불가론을 제기했다. 사실상 문재인 의원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전날에도 MBC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거듭 당권-대권 분리론을 강조했다. 박 의원은 “당권과 대권은 분리하는 것이 좋다는 생각”이라며 “정부를 견제 감시하고 협상과 양보를 하는 과정에서 당 대표가 상처를 입을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안철수 전 공동대표의 사례를 기억할 수 있다. 안 전 공동대표도 가장 높은 차기 대권후보의 지지도를 유지하고 있었지만, 약 4개월의 대표를 하면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며 “대권 후보는 역시 국민 속으로 들어가서 정책 개발을 하는 모습을 취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486그룹의 우상호 의원도 "당권과 대권의 분리에 동의한다. 대선 후보는 전대에 출마하지 않는 것이 불필요한 갈등을 유발하지 않고, 대표 선출 이후에 다른 계파의 오해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며 "안철수 같은 분이 대표가 된 후 단수 지지율이 된 것을 보면서 보호해야 하는데 (대권 주자를) 대표로 만들어 지지율을 떨어트리는 악순환을 하느냐 하는 생각이 든다"고 가세했다.
이에 대해 윤호중 의원은 강하게 반박하고 나섰다.
윤 의원은 같은 날 KBS 라디오에 출연, “이제 누구는 되고 누구는 안 된다는 식의 이야기는 민주주의 기본원칙에 부합하는 주장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에 따라 당권-대권분리론을 둘러싼 계파갈등이 새정치연합 분열에 뇌관으로 작용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집단지도체제로의 환원 문제는 일단 현 체제를 유지하는 쪽으로 힘이 실리고 있다. 이에따라 일각에서 요구한 당 대표와 최고위원 통합선거는 없던 일이 되고 ‘투트랙 경선’으로 치러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도 13일 별도 경선을 통해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뽑는 현행 분리방식에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
문 비대위원장은 이날 당내 중도ㆍ온건파 의원 모임인 '무신불립'이 주최한 '2015 전당대회의 목표와 과제'라는 세미나에 참석해 "큰 하자가 없는 한 현 당헌ㆍ당규대로 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아달라"며 "대체로 한 번 만들어진 룰은 고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이어 "당헌ㆍ당규를 손대지 말고 안정감 있게 예측 가능한 정치를 할 수 있게 해달라"고 당부했다.
김성곤 전대준비위원장도 "당헌은 수시로 바꾸지 않는 게 원칙"이라며 “분명한 개정 사유가 없으면 당대표 중심의 현행 단일 지도체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대준비부위원장인 최규성 의원도 “당내 다수 의견이 분리선거, 단일성 체제”라면서 “지도체제가 순수 집단지도체제로 갔다가 지난 총선과 대선에서 패하고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왔는데 다시 순수 집단지도체제로 갈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했다.
특히, 이에 대해서는 당권-대권 분리 문제로 신경전을 펼치고 있는 박지원 의원과 문재인 의원 측에서도 별다른 이견이 없어 보인다.
박 의원은 전날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 “특별하게 어떤 제도를 바라고 있지 않다”면서 “지금은 (당 대표와 최고위원)분리 선거다. 자꾸 규정을 바꾸는 것보다는 현재의 규정을 그대로 고수하는 것이 좋다는 이야기도 있다”고 밝혔다.
문 의원 대변인격인 윤호중 의원 역시 같은 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당내 일각의 통합선거 주장에 대해 “당이 보다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주장이 아니라 특정 후보군의 유불리라는 문제로 제기되는 것이면 고려의 가치가 없다”고 일축했다.
하지만 당권-대권 분리요구에 대해선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김 준비위원장은 이날 당권ㆍ대권 분리론에 대해 "당헌 개정 문제라기보다 정치적 결단의 문제"라며 부정적 입장을 분명히 했다.
문 비대위원장도 최근 민주정당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일축한 바 있다.
그러나 박지원 의원은 최근 SBS <한수진의 SBS 전망대>와 인터뷰에서 “대선 후보는 일반적인 당무보다 대권 준비를 본격적으로 착실하게 해 나가는 소위, ‘당권·대권 분리’가 필요하다”며 “대선 후보가 당권을 장악하면 상처가 난다”고 대권후보의 전당대회 출마 불가론을 제기했다. 사실상 문재인 의원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전날에도 MBC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거듭 당권-대권 분리론을 강조했다. 박 의원은 “당권과 대권은 분리하는 것이 좋다는 생각”이라며 “정부를 견제 감시하고 협상과 양보를 하는 과정에서 당 대표가 상처를 입을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안철수 전 공동대표의 사례를 기억할 수 있다. 안 전 공동대표도 가장 높은 차기 대권후보의 지지도를 유지하고 있었지만, 약 4개월의 대표를 하면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며 “대권 후보는 역시 국민 속으로 들어가서 정책 개발을 하는 모습을 취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486그룹의 우상호 의원도 "당권과 대권의 분리에 동의한다. 대선 후보는 전대에 출마하지 않는 것이 불필요한 갈등을 유발하지 않고, 대표 선출 이후에 다른 계파의 오해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며 "안철수 같은 분이 대표가 된 후 단수 지지율이 된 것을 보면서 보호해야 하는데 (대권 주자를) 대표로 만들어 지지율을 떨어트리는 악순환을 하느냐 하는 생각이 든다"고 가세했다.
이에 대해 윤호중 의원은 강하게 반박하고 나섰다.
윤 의원은 같은 날 KBS 라디오에 출연, “이제 누구는 되고 누구는 안 된다는 식의 이야기는 민주주의 기본원칙에 부합하는 주장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에 따라 당권-대권분리론을 둘러싼 계파갈등이 새정치연합 분열에 뇌관으로 작용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