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새누리당 보수혁신특별위원회는 17일 전체회의를 열고 2단계 '정당 개혁'에서 다룰 구체적인 의제 선정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이날 혁신위가 다룬 향후 논의 과제로는 정당 개혁과 관련, 원내 정당화·정책 정당화·전자 정당화 문제와 중앙당 및 시도당 구조 개편, 인재 영입 및 검증 문제 등이다.
앞서 혁신위는 정당 개혁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 ▲가치정책소위 ▲정당개혁소위 ▲국회개혁소위 ▲선거공천제 개혁소위 등 4개 소위를 구성해 금주부터 본격 가동하기로 했다.
하지만 당내 ‘김무성 친위대’로 불리는 김성태, 박민식 의원 등의 반발로 혁신안이 탄력을 받을지 의문이다. 일각에서는 소리만 요란한 빈 수레가 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실제 김무성 대표마저 혁신위의 '특권 내려놓기' 관련 9개 혁신안에 대해 의원들의 추가 의견 수렴을 위해 이번주 의총을 개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1단계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혁신안이 대폭 후퇴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배경이다.
박민식 의원은 이날 오전 '박경수의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혁신위에 대해 "돌격 앞으로! 나를 따라와라! 하는 식은 옳지 않다"면서 “혁신위에서 만든 안은 초안일 뿐”이라고 평가절하했다.
국회의원 세비 동결, 불체포 특권 포기 등 혁신위 안들에 대해서도 "흘러간 옛 노래처럼 다 논의됐던 쟁점들"이라며 "새누리당이 국민들로부터 진정으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당의 구조나 정치의 구조, 근간, 골격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 결기 있는 혁신을 이뤄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특히 출판기념회 금지안에 관해 "이는 표현의 자유 영역에 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출판기념회를 완전 금지하지는 말고, 다만 이것이 불법정치자금의 통로로 악용됐다는 지적이 있으니 그것만 막을 수 있으면 된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최근 김문수 보수혁신위원장이 '앞으로는 대통령에 출마할 사람은 주요 당직을 맡으면 안 된다'고 말한 데 대해서는 "상당히 생뚱맞은 말씀"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앞으로 대선이 3년이나 남았고 당 지도부가 출범한 지는 얼마 안 됐다. 김 위원장이 어떤 뜻을 가지고 발언했는지 모르겠다"며 "당권 대권 분리 문제는 이미 제도화돼있다"고 말했다.
앞서 김성태 의원도 혁신안에 대해 “철학과 방향성에 대한 치열한 고민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인기영합 정책들만 백화점식으로 나열했다”고 비판한 바 있다.
이날 혁신위가 다룬 향후 논의 과제로는 정당 개혁과 관련, 원내 정당화·정책 정당화·전자 정당화 문제와 중앙당 및 시도당 구조 개편, 인재 영입 및 검증 문제 등이다.
앞서 혁신위는 정당 개혁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 ▲가치정책소위 ▲정당개혁소위 ▲국회개혁소위 ▲선거공천제 개혁소위 등 4개 소위를 구성해 금주부터 본격 가동하기로 했다.
하지만 당내 ‘김무성 친위대’로 불리는 김성태, 박민식 의원 등의 반발로 혁신안이 탄력을 받을지 의문이다. 일각에서는 소리만 요란한 빈 수레가 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실제 김무성 대표마저 혁신위의 '특권 내려놓기' 관련 9개 혁신안에 대해 의원들의 추가 의견 수렴을 위해 이번주 의총을 개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1단계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혁신안이 대폭 후퇴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배경이다.
박민식 의원은 이날 오전 '박경수의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혁신위에 대해 "돌격 앞으로! 나를 따라와라! 하는 식은 옳지 않다"면서 “혁신위에서 만든 안은 초안일 뿐”이라고 평가절하했다.
국회의원 세비 동결, 불체포 특권 포기 등 혁신위 안들에 대해서도 "흘러간 옛 노래처럼 다 논의됐던 쟁점들"이라며 "새누리당이 국민들로부터 진정으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당의 구조나 정치의 구조, 근간, 골격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 결기 있는 혁신을 이뤄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특히 출판기념회 금지안에 관해 "이는 표현의 자유 영역에 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출판기념회를 완전 금지하지는 말고, 다만 이것이 불법정치자금의 통로로 악용됐다는 지적이 있으니 그것만 막을 수 있으면 된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최근 김문수 보수혁신위원장이 '앞으로는 대통령에 출마할 사람은 주요 당직을 맡으면 안 된다'고 말한 데 대해서는 "상당히 생뚱맞은 말씀"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앞으로 대선이 3년이나 남았고 당 지도부가 출범한 지는 얼마 안 됐다. 김 위원장이 어떤 뜻을 가지고 발언했는지 모르겠다"며 "당권 대권 분리 문제는 이미 제도화돼있다"고 말했다.
앞서 김성태 의원도 혁신안에 대해 “철학과 방향성에 대한 치열한 고민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인기영합 정책들만 백화점식으로 나열했다”고 비판한 바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