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형민 기자]새정치민주연합 원혜영 정치혁신실천위원회 위원장은 21일 국회의원이나 지역위원장 등의 전당대회 특정 캠프 참여 금지와 관련, "당내 선거도 공영제로 해서 깨끗하게 투명하게 하자는 취지"라며 "다 협조해주실 것"이라고 말했다.
원혜영 위원장은 이날 PBC <열린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와의 전화인터뷰에서 "계파 간에 싸우는 전당대회가 아니라 통합하고 혁신하는 전당대회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꼭 필요한 조치"라며 이같이 말했다.
원 위원장은 "후보자들이 대의원들을 만나서 얘기하다 보면 식사 대접도 해야 되고 조직관리 책임자를 파견해서 활동하려면 비용이 다 든다"며 "이렇게 개별적인 접촉을 하지 말고 국회의원들이 나서서 그런 행동대 역할을 하지 말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대권-당권 분리론에 대해 "누구는 된다, 누구는 안 된다 이렇게 사람 중심으로 이번 전당대회를 논의하는 것은 좋지 않다"며 "(국민 불신을) 회복하기 위해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이 뭐냐, 이런 정책과 정당 운영의 큰 원칙, 방향을 갖고 얘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원 위원장은 선거구 획정 문제와 관련, "공정한 인사들로 독립적인 기구를 만들어서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국회가 그걸 받아들여 법제화해야 된다"며 "선거제도의 혁신이 필요하다. 소선구제 제도 같은 경우에는 강한 정당, 큰 정당이 더 이익을 본다"고 새누리당의 소선거구제 주장에 반대했다.
그러면서 "제일 바람직한 게 독일식 정당명부제"라며 "30% 득표율을 기록한 정당이 의석을 30% 갖는 것, 정말 당연한 일 아닌가. 그것이 어렵다면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통해서 지역주의 극복이나 소수 세력의 의정 참여 기회를 줘야 된다"고 주장했다.
특히 "수도권과 대도시는 3명 이상 대선거구제로 뽑고 농촌이나 중소도시는 현재처럼 소선구제로 뽑으면 지역 대표성도 보장하면서 수도권 중심의 대도시들의 과대 대표성, 그쪽으로 의석이 몰리는 것을 줄일 수 있다"며 "도농 복합형 선거구제를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것도 (좋다)"고 말했다.
국회 남북관계 및 교류협력 발전 특별위원회 위원장도 겸임하고 있는 원 위원장은 북한인권법 문제와 관련, "인권법의 목표가 북한을 고립시키고 압박시키는 게 아니라 인권 상황을 개선하는 데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당의 법안 중에는 지금 삐라 살포하는 단체들 규정이 들어가 있다. 정말 진정성 있는 북한의 인권 상황 개선이 목표가 아니라 북한을 압박하고 고립시키는데 의도가 있을 수 있다"며 "(우리는) 경제개발과 사회안정을 지원하면서 북한의 인권 상황을 개선하려는 작업을 꾸준히 해왔다"고 말했다.
원혜영 위원장은 이날 PBC <열린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와의 전화인터뷰에서 "계파 간에 싸우는 전당대회가 아니라 통합하고 혁신하는 전당대회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꼭 필요한 조치"라며 이같이 말했다.
원 위원장은 "후보자들이 대의원들을 만나서 얘기하다 보면 식사 대접도 해야 되고 조직관리 책임자를 파견해서 활동하려면 비용이 다 든다"며 "이렇게 개별적인 접촉을 하지 말고 국회의원들이 나서서 그런 행동대 역할을 하지 말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대권-당권 분리론에 대해 "누구는 된다, 누구는 안 된다 이렇게 사람 중심으로 이번 전당대회를 논의하는 것은 좋지 않다"며 "(국민 불신을) 회복하기 위해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이 뭐냐, 이런 정책과 정당 운영의 큰 원칙, 방향을 갖고 얘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원 위원장은 선거구 획정 문제와 관련, "공정한 인사들로 독립적인 기구를 만들어서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국회가 그걸 받아들여 법제화해야 된다"며 "선거제도의 혁신이 필요하다. 소선구제 제도 같은 경우에는 강한 정당, 큰 정당이 더 이익을 본다"고 새누리당의 소선거구제 주장에 반대했다.
그러면서 "제일 바람직한 게 독일식 정당명부제"라며 "30% 득표율을 기록한 정당이 의석을 30% 갖는 것, 정말 당연한 일 아닌가. 그것이 어렵다면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통해서 지역주의 극복이나 소수 세력의 의정 참여 기회를 줘야 된다"고 주장했다.
특히 "수도권과 대도시는 3명 이상 대선거구제로 뽑고 농촌이나 중소도시는 현재처럼 소선구제로 뽑으면 지역 대표성도 보장하면서 수도권 중심의 대도시들의 과대 대표성, 그쪽으로 의석이 몰리는 것을 줄일 수 있다"며 "도농 복합형 선거구제를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것도 (좋다)"고 말했다.
국회 남북관계 및 교류협력 발전 특별위원회 위원장도 겸임하고 있는 원 위원장은 북한인권법 문제와 관련, "인권법의 목표가 북한을 고립시키고 압박시키는 게 아니라 인권 상황을 개선하는 데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당의 법안 중에는 지금 삐라 살포하는 단체들 규정이 들어가 있다. 정말 진정성 있는 북한의 인권 상황 개선이 목표가 아니라 북한을 압박하고 고립시키는데 의도가 있을 수 있다"며 "(우리는) 경제개발과 사회안정을 지원하면서 북한의 인권 상황을 개선하려는 작업을 꾸준히 해왔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