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새정치민주연합이 정윤회 국정개입 의혹사건을 고리로 개헌 카드를 다시 꺼내들자 새누리당 친이계 일부가 이에 가세하는 모습이다.
새정치연합 지도부는 10일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가 드러난 것이라며 빠른 개헌특위 구성을 강조했다.
문희상 비대위원장은 이날 열린 비상대책회의에서 “오늘 열리는 여야 대표·원내대표 회동에서 개헌특위 구성 등 해결해야 할 현안이 산더미”라며 ‘개헌특위’ 구성의지를 드러냈다.
우윤근 원내대표는 "개헌 논의는 늦출 수 없는 절체절명의 과제다. 대통령의 제왕적 통제 폐해를 극복해야 한다"며 "어제 개헌추진 국민연대가 출범한 만큼 대통령, 여야, 정치권, 시민사회단체가 머리를 맞대고 장래를 위한 개헌을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세균 비대위원도 “여야 의원 다수가 개헌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며 “대통령이 (개헌 블랙홀 발언으로) 막고 정윤회 게이트가 개헌 발목을 잡고 있지만 국회는 국회대로 중심을 잡고 개헌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가세했다.
이어 "모든 일에는 때가 있다. 개헌도 할 수 있는 때가 있다"며 "어제 개헌추진국민연대가 출범했고 다수가 공감하고 있다. 뜻이 그래도 내년 상반기를 넘기면 현실적으로 개헌 논의는 끝날 가능성이 높다"고 ‘지금이 개헌논의의 적기’라는 점을 강조했다.
새정치연합은 오는 15일부터 시작하는 임시국회에서 헌법개정특별위원회를 구성해 본격적으로 개헌을 논의하겠다는 입장이다.
새누리당 친이계도 거들고 나섰다.
친이 좌장격인 이재오 의원은 전날 국회에서 열린 '개헌추진 국민연대' 출범식에 참석해 "지금 문고리 3인방, 정윤회가 실세라고 해서 전부 몰려들었다"며 "대통령제 하에서는 여당이 대통령 눈치를 볼 수밖에 없고 이게 대통령제의 폐해"라며 개헌 필요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새누리당이 개헌특위 구성에 부정적인 입장이라 논의가 진전될 것인지는 불투명하다. 특히 개헌론자들이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는 정윤회 문건내용이 허위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개헌이 탄력을 받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새정치연합 지도부는 10일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가 드러난 것이라며 빠른 개헌특위 구성을 강조했다.
문희상 비대위원장은 이날 열린 비상대책회의에서 “오늘 열리는 여야 대표·원내대표 회동에서 개헌특위 구성 등 해결해야 할 현안이 산더미”라며 ‘개헌특위’ 구성의지를 드러냈다.
우윤근 원내대표는 "개헌 논의는 늦출 수 없는 절체절명의 과제다. 대통령의 제왕적 통제 폐해를 극복해야 한다"며 "어제 개헌추진 국민연대가 출범한 만큼 대통령, 여야, 정치권, 시민사회단체가 머리를 맞대고 장래를 위한 개헌을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세균 비대위원도 “여야 의원 다수가 개헌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며 “대통령이 (개헌 블랙홀 발언으로) 막고 정윤회 게이트가 개헌 발목을 잡고 있지만 국회는 국회대로 중심을 잡고 개헌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가세했다.
이어 "모든 일에는 때가 있다. 개헌도 할 수 있는 때가 있다"며 "어제 개헌추진국민연대가 출범했고 다수가 공감하고 있다. 뜻이 그래도 내년 상반기를 넘기면 현실적으로 개헌 논의는 끝날 가능성이 높다"고 ‘지금이 개헌논의의 적기’라는 점을 강조했다.
새정치연합은 오는 15일부터 시작하는 임시국회에서 헌법개정특별위원회를 구성해 본격적으로 개헌을 논의하겠다는 입장이다.
새누리당 친이계도 거들고 나섰다.
친이 좌장격인 이재오 의원은 전날 국회에서 열린 '개헌추진 국민연대' 출범식에 참석해 "지금 문고리 3인방, 정윤회가 실세라고 해서 전부 몰려들었다"며 "대통령제 하에서는 여당이 대통령 눈치를 볼 수밖에 없고 이게 대통령제의 폐해"라며 개헌 필요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새누리당이 개헌특위 구성에 부정적인 입장이라 논의가 진전될 것인지는 불투명하다. 특히 개헌론자들이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는 정윤회 문건내용이 허위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개헌이 탄력을 받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