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채종수 기자]경기도가 국립근대문학관 유치를 위해 발 빠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위원회 소속 김도헌 의원(새정치민주연합·군포)은 16일 열린 제292회 정례회 제5차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경기도 군포시 이외에 전남 장흥군, 서울시, 인천시도 국립근대문학관을 유치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근대문학이 도입된 지 100년이 지났음에도 유명 문인들의 소장품 등 문화재급 자료들이 소실되는 것에 반해 전국적으로 개인문학관 30여개 외에 문학자료를 수집, 조사, 연구, 보존할 수 있는 종합문학관 시설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반해 일본은 1967년 근대문학관을 개관해 107만여점의 자료를 확보, 디지털로 공개하며 중국도 1985년 국립 현대문학관을 개관해 박물관·도서관·기록보존소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따라 김 의원은 "경기도의 등록된 근대문화유산은 2012년 말 기준 41개로 전국에서 5번째로 많다"며 "이들 근대문학 유산을 체계적으로 수집·관리하기 위해서 경기도에 국립근대문학관이 반드시 유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군포시에 아직 개발되지 않은 근린공원 4곳이 있고, 국립과학관 후보대상지였던 경기도 군포시 둔대동 산 21번지 일대도 활용이 가능하다"며 "이들 부지를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의원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국립근대문학관 조성 타당성 조사 연구’의 설문조사 결과를 언급하며 "입지 선정조건에 대해 ‘교통 등 접근성이 뛰어난 곳(35.0%)’이 가장 많았으며, 군포시가 입지 선정조건에서 가장 우수한 지역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그는 "사통팔달 교통의 요충지인 군포에 국립근대문학관이 건립된다면 문인들의 자료 전시·보관 및 문학인들에게 활동 공간 제공 등 문학발전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며 "경기도는 조속한 시일내 국립근대문학관이 반드시 경기도에 유치될 수 있도록 정치권 및 관계자들과 공조 체계를 구축하는 등 관련 대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여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