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여야 각 정당 뚜렷한 '다크호스'가 부각되지 않은 가운데 대권을 향한 ‘도토리’ 주자들의 각계약진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새누리당내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김무성 대표가 다른 주자들과의 경쟁에서 차별성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오히려 김대표의 뒤를 바짝 쫓고 있는 김문수 보수혁신위원장이 반사이익을 얻는 모양새다.
이에 따라 언론도 김 위원장을 향해 관심을 돌리는 추세다.
김대표와 김위원장 외에도 정몽준 전 의원, 오세훈 전 서울시장, 김태호 최고위원, 홍준표 경남도지사 등이 자천타천 여권의 대선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지만 고만고만한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실제 서울신문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에이스리서치와 지난해 12월 26~28일 전국 성인남녀 1010명을 대상으로 벌인 여론조사에서 김무성 대표(8.7%), 김문수 위원장 (7.9%),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4.4%), 홍준표 경남지사(4.0%) 등으로 집계됐다.
이 조사는 전화면접조사(CATI)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조사(SAPS)를 병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됐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8%P다.
하지만 최대 변수는 역시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이다.
여의도 풍문으로만 떠돌던 반기문 대선출마설은 지난해 10월 친박계 모임을 통해 수면 위로 떠올랐고 야당에서도 맞불을 놓으면서 반 총장 출마설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됐다.
2016년 말까지인 반총장 임기를 염두에 두면 이듬해 12월에 치러지는 대선과 시기상으로도 맞아 떨어지기 때문이다.
논란이 계속 확산되자 반 총장은 자신을 둘러싼 대선 출마설에 대해 "아는 바 없고, 사실과도 다르다"고 해명에 나섰다.
하지만 정작 대선출마 여부 자체에 대해선 분명한 입장을 밝히지 않아 출마에 여지를 남긴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 때문에 반총장의 대선 출마설 이슈는 현재 진행형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실제 각종 여론조사를 통해서도 반 총장의 인기는 상종가를 치고 있다.
에이스리서치 여론조사에서 2017년 대선후보 선호도에서 반 사무총장은 38.7%를 기록, 압도적 지지를 얻었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의원(9.8%), 박원순 서울시장 (7.4%), 새누리당 김문수 보수혁신특별위원장 (4.2%)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4.0%), 새정치연합 안철수 전 공동대표 (3.8%) 등이 뒤를 이었지만 반 사무총장과는 큰 격차를 보였다.
또 경향신문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27~28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에서도 반기문 사무총장이 24.4%로 역시 1위에 올랐다. 이어 박원순 시장(12.0%), 문재인 의원(10.6%), 김문수 위원장(5.7%), 안철수 전 공동대표(5.3%), 김무성 대표(4.4%), 정몽준 전 대표(3.5%), 안희정 지사(3.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새누리당의 한 인사는 "여론조사에서 반기문 총장을 대선후보군으로 집어넣을 경우 김대표보다 김 위원장 지지율이 더 높게 나오고 있다"며 “그러나 김 위원장도 반기문 총장의 변수를 뛰어 넘는 ‘다크호스’가 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결국 여권의 대선주자는 반 총장의 출마여부에 달려 있다는 의미다.
특히 새누리당내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김무성 대표가 다른 주자들과의 경쟁에서 차별성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오히려 김대표의 뒤를 바짝 쫓고 있는 김문수 보수혁신위원장이 반사이익을 얻는 모양새다.
이에 따라 언론도 김 위원장을 향해 관심을 돌리는 추세다.
김대표와 김위원장 외에도 정몽준 전 의원, 오세훈 전 서울시장, 김태호 최고위원, 홍준표 경남도지사 등이 자천타천 여권의 대선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지만 고만고만한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실제 서울신문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에이스리서치와 지난해 12월 26~28일 전국 성인남녀 1010명을 대상으로 벌인 여론조사에서 김무성 대표(8.7%), 김문수 위원장 (7.9%),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4.4%), 홍준표 경남지사(4.0%) 등으로 집계됐다.
이 조사는 전화면접조사(CATI)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조사(SAPS)를 병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됐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8%P다.
하지만 최대 변수는 역시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이다.
여의도 풍문으로만 떠돌던 반기문 대선출마설은 지난해 10월 친박계 모임을 통해 수면 위로 떠올랐고 야당에서도 맞불을 놓으면서 반 총장 출마설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됐다.
2016년 말까지인 반총장 임기를 염두에 두면 이듬해 12월에 치러지는 대선과 시기상으로도 맞아 떨어지기 때문이다.
논란이 계속 확산되자 반 총장은 자신을 둘러싼 대선 출마설에 대해 "아는 바 없고, 사실과도 다르다"고 해명에 나섰다.
하지만 정작 대선출마 여부 자체에 대해선 분명한 입장을 밝히지 않아 출마에 여지를 남긴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 때문에 반총장의 대선 출마설 이슈는 현재 진행형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실제 각종 여론조사를 통해서도 반 총장의 인기는 상종가를 치고 있다.
에이스리서치 여론조사에서 2017년 대선후보 선호도에서 반 사무총장은 38.7%를 기록, 압도적 지지를 얻었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의원(9.8%), 박원순 서울시장 (7.4%), 새누리당 김문수 보수혁신특별위원장 (4.2%)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4.0%), 새정치연합 안철수 전 공동대표 (3.8%) 등이 뒤를 이었지만 반 사무총장과는 큰 격차를 보였다.
또 경향신문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27~28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에서도 반기문 사무총장이 24.4%로 역시 1위에 올랐다. 이어 박원순 시장(12.0%), 문재인 의원(10.6%), 김문수 위원장(5.7%), 안철수 전 공동대표(5.3%), 김무성 대표(4.4%), 정몽준 전 대표(3.5%), 안희정 지사(3.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새누리당의 한 인사는 "여론조사에서 반기문 총장을 대선후보군으로 집어넣을 경우 김대표보다 김 위원장 지지율이 더 높게 나오고 있다"며 “그러나 김 위원장도 반기문 총장의 변수를 뛰어 넘는 ‘다크호스’가 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결국 여권의 대선주자는 반 총장의 출마여부에 달려 있다는 의미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