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형민 기자]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이 6일 "비정규직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하면 80% 정도가 2년은 너무 짧아 기간을 (4년으로)연장해달라는 것이 비정규직들의 의견"라고 말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여당 간사인 권성동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정부가 추진하는 비정규직 근로자 사용기간 연장 방안과 관련해 이같이 말했다.
환노위 간사의 발언이란 점에서 무게가 실리면서 새누리당도 정부와 보조를 맞춰 '비정규직 4년' 추진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권성동 의원은 "기업이 비정규직을 쓰는 이유는 노동유연성 확보와 저임금 근로자 사용 두 가지 목적 때문인데 근로자 1800만명 중 600만명이 비정규직"이라며 "그대로 방치했다간 비정규직은 그야말로 빈곤의 나락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정부가 저임금 때문에 비정규직을 쓰는 것은 막아야 겠다고 해서 방법을 찾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 방법에 대해서는 노사 의견이 달라서 노사정위원회에 회부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권성동 의원은 호봉제 중심의 임금 체계를 개편해야 한다는 주장도 폈다.
그는 "임금체계가 호봉제로 돼 있어 1년 단위로 호봉이 올라가고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임금을 인상하는 시스템이다 보니까 기업에서 정규직을 안 쓰려고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외국에는 전부 호봉제가 아니라 직무급제로 돼 있다"며 "난이도와 기여도에 따라 보수를 정한다. 우리나라도 빨리 호봉제에서 직무급으로 전환해야 기업도 사람 쓰는데 부담을 느끼지 않고 정규직화를 하는게 쉽다"고 말했다.
권성동 의원은 비정규직 설문조사와 관련한 발언이 논란이 되자 보도자료를 보내 입장을 정리했다.
권 의원은 "비정규직 사용기간 연장 및 설문조사결과와 관련한 발언은 고용노동부가 비정규직 대책을 추진하게 된 배경을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며 "현재 비정규직 대책과 관련해 새누리당의 입장이 정리되거나 확정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여당 간사인 권성동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정부가 추진하는 비정규직 근로자 사용기간 연장 방안과 관련해 이같이 말했다.
환노위 간사의 발언이란 점에서 무게가 실리면서 새누리당도 정부와 보조를 맞춰 '비정규직 4년' 추진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권성동 의원은 "기업이 비정규직을 쓰는 이유는 노동유연성 확보와 저임금 근로자 사용 두 가지 목적 때문인데 근로자 1800만명 중 600만명이 비정규직"이라며 "그대로 방치했다간 비정규직은 그야말로 빈곤의 나락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정부가 저임금 때문에 비정규직을 쓰는 것은 막아야 겠다고 해서 방법을 찾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 방법에 대해서는 노사 의견이 달라서 노사정위원회에 회부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권성동 의원은 호봉제 중심의 임금 체계를 개편해야 한다는 주장도 폈다.
그는 "임금체계가 호봉제로 돼 있어 1년 단위로 호봉이 올라가고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임금을 인상하는 시스템이다 보니까 기업에서 정규직을 안 쓰려고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외국에는 전부 호봉제가 아니라 직무급제로 돼 있다"며 "난이도와 기여도에 따라 보수를 정한다. 우리나라도 빨리 호봉제에서 직무급으로 전환해야 기업도 사람 쓰는데 부담을 느끼지 않고 정규직화를 하는게 쉽다"고 말했다.
권성동 의원은 비정규직 설문조사와 관련한 발언이 논란이 되자 보도자료를 보내 입장을 정리했다.
권 의원은 "비정규직 사용기간 연장 및 설문조사결과와 관련한 발언은 고용노동부가 비정규직 대책을 추진하게 된 배경을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며 "현재 비정규직 대책과 관련해 새누리당의 입장이 정리되거나 확정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