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박기성 기자]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전국 연안에 바다숲 3만5000ha를 조성한다.
해양수산부는 갯녹음으로 황폐해진 해양환경을 되살리기 위해 올해 357억원을 투입해 역대 최대인 3078ha를 복원할 계획이라며 8일 이같이 밝혔다.
해수부에 따르면 바다사막화로 불리는 갯녹음은 우리 연안에 2008년 1만5000헥타르(ha) 발생했고 지금도 연간 1200ha씩 확산되고 있다.
이에 해수부는 지난 2009년부터 6년간 약 5710ha의 해양환경을 복원한 바 있다.
특히 해수부는 그동안 조성한 바다숲·바다목장·인공어초 등을 연계,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해 ‘수산자원 플랫폼’ 구축사업을 개시키로 했다.
수산자원 플랫폼은 물고기 등 수산자원이 지속적인 생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산란장·서식장을 인위적으로 조성해 만든 거점단지를 말한다.
해수부는 올해 예산 40억원(50% 지방비 포함)을 투입해 2019년까지 해역별 자원 특성에 맞는 산란장·서식장 3곳을 조성하는 한편, 바다목장·종묘방류 등과 다양한 수산자원조성사업을 체계적이고 복합적으로 추진해 현재 860만톤 수준인 연근해 수산자원량을 2030년까지 1100만톤 수준으로 회복할 예정이다.
해양수산부는 갯녹음으로 황폐해진 해양환경을 되살리기 위해 올해 357억원을 투입해 역대 최대인 3078ha를 복원할 계획이라며 8일 이같이 밝혔다.
해수부에 따르면 바다사막화로 불리는 갯녹음은 우리 연안에 2008년 1만5000헥타르(ha) 발생했고 지금도 연간 1200ha씩 확산되고 있다.
이에 해수부는 지난 2009년부터 6년간 약 5710ha의 해양환경을 복원한 바 있다.
특히 해수부는 그동안 조성한 바다숲·바다목장·인공어초 등을 연계,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해 ‘수산자원 플랫폼’ 구축사업을 개시키로 했다.
수산자원 플랫폼은 물고기 등 수산자원이 지속적인 생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산란장·서식장을 인위적으로 조성해 만든 거점단지를 말한다.
해수부는 올해 예산 40억원(50% 지방비 포함)을 투입해 2019년까지 해역별 자원 특성에 맞는 산란장·서식장 3곳을 조성하는 한편, 바다목장·종묘방류 등과 다양한 수산자원조성사업을 체계적이고 복합적으로 추진해 현재 860만톤 수준인 연근해 수산자원량을 2030년까지 1100만톤 수준으로 회복할 예정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