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오는 2월 2일 치러질 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이 28일 홍문종 의원과 원유철 의원이 정책위의장 후보로 가세하고 나서면서 본격화되고 있다.
홍 의원은 원내대표 후보인 이주영 의원의 러닝메이트 제안을 받아들였고, 원 의원도 유승민 의원의 정책위의장 후보로 선택됐다.
홍 의원과 원의원은 이날 국회 출마 기자회견에서 ‘당청 공동책임론’과 ‘당 중심론’을 각각 제기하는 등 뚜렷한 견해차를 보였다.
먼저 홍 의원은 “저 개인의 안위와 영달을 위해 여의도와 청와대를 잇는 다리를 불사르는 우를 범하지 않을 것"이라며 "가족 간의 손가락질로 저잣거리 웃음을 사는 새누리당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홍 의원은 "우리가 만든 박근혜정부 성공의 치어리더 역할을 자처하겠다"며 "청와대와 여의도가 공동 책임을 지고 하나 돼 지금의 난국을 돌파한다는 심정으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늘의 우리는 경제성장과 발전의 온기를 되살려야 한다. 경제활성화와 구조개혁의 골든타임을 놓쳐서는 안된다"며 "멸사봉공의 정신으로 당과 국가를 받들겠다"고 의지를 보였다.
홍 의원은 정책위의장 제안을 수락한 배경에 대해 “수도권 민심을 전달하기 위해 원내대표에 출마하고 싶었는데 갑자기 선거가 당겨지기도 했고, 이주영 원내대표 후보가 수도권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원내를 이끌겠다고 약속도 해서 전국정당을 만드는 역할을 할 수 있겠다’고 생각돼 장고 끝에 결심했다”고 설명했다.
원내대표 및 정책위의장 경선 구도가 친박-비박 대결구도로 진행되고 있다는 관측에 대해선 “생각처럼 계파 구분이 많지 않다”고 일축했다.
다만 그는 "어떻게 당을 운영하는 게 잘 하는 것이고, 정부와의 의견 조율을 어떻게 하느냐는 방식에 조금의 의견차이가 있을 뿐”이라며 “나라와 당, 박근혜 정부를 위하는 일에는 모두가 최선을 다한다는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총선 필승 전략에 대해 “적재적소에 좋은 인재들을 발탁하기 위해 문호를 활짝 열고 많은 분들에게 다가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개헌문제에 대해선 "경제 블랙홀이 되어서는 안된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원유철 의원은 “(先黨後私), 선공후사(先公後私)의 심정으로 지금의 어려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최종 결심을 했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민심의 바다 한가운데 있는 당이 중심에 서야 한다. 변화와 혁신을 통해 당·정·청 관계의 중심을 잡고 제 역할을 해야 한다”며 ‘당 중심론’을 강조했다.
4선 의원이 3선의 유승민 의원과 파트너가 된 것은 격이 맞지 않다는 지적에는 “지금 선수나 계파 따질 상황이 아니다. 위기 극복 위해서는 모든 것을 함께 하는 게 중요하다”고 반박했다.
그는 정책위의장 출마를 결심하게 된 배경에 대해 “내년 총선에서 수도권 민심을 담아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수도권 원내대표를 만드려고 노력했지만 단일화에 실패했다”며 “그렇다면 정책위장으로 역할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홍 의원은 원내대표 후보인 이주영 의원의 러닝메이트 제안을 받아들였고, 원 의원도 유승민 의원의 정책위의장 후보로 선택됐다.
홍 의원과 원의원은 이날 국회 출마 기자회견에서 ‘당청 공동책임론’과 ‘당 중심론’을 각각 제기하는 등 뚜렷한 견해차를 보였다.
먼저 홍 의원은 “저 개인의 안위와 영달을 위해 여의도와 청와대를 잇는 다리를 불사르는 우를 범하지 않을 것"이라며 "가족 간의 손가락질로 저잣거리 웃음을 사는 새누리당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홍 의원은 "우리가 만든 박근혜정부 성공의 치어리더 역할을 자처하겠다"며 "청와대와 여의도가 공동 책임을 지고 하나 돼 지금의 난국을 돌파한다는 심정으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늘의 우리는 경제성장과 발전의 온기를 되살려야 한다. 경제활성화와 구조개혁의 골든타임을 놓쳐서는 안된다"며 "멸사봉공의 정신으로 당과 국가를 받들겠다"고 의지를 보였다.
홍 의원은 정책위의장 제안을 수락한 배경에 대해 “수도권 민심을 전달하기 위해 원내대표에 출마하고 싶었는데 갑자기 선거가 당겨지기도 했고, 이주영 원내대표 후보가 수도권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원내를 이끌겠다고 약속도 해서 전국정당을 만드는 역할을 할 수 있겠다’고 생각돼 장고 끝에 결심했다”고 설명했다.
원내대표 및 정책위의장 경선 구도가 친박-비박 대결구도로 진행되고 있다는 관측에 대해선 “생각처럼 계파 구분이 많지 않다”고 일축했다.
다만 그는 "어떻게 당을 운영하는 게 잘 하는 것이고, 정부와의 의견 조율을 어떻게 하느냐는 방식에 조금의 의견차이가 있을 뿐”이라며 “나라와 당, 박근혜 정부를 위하는 일에는 모두가 최선을 다한다는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총선 필승 전략에 대해 “적재적소에 좋은 인재들을 발탁하기 위해 문호를 활짝 열고 많은 분들에게 다가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개헌문제에 대해선 "경제 블랙홀이 되어서는 안된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원유철 의원은 “(先黨後私), 선공후사(先公後私)의 심정으로 지금의 어려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최종 결심을 했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민심의 바다 한가운데 있는 당이 중심에 서야 한다. 변화와 혁신을 통해 당·정·청 관계의 중심을 잡고 제 역할을 해야 한다”며 ‘당 중심론’을 강조했다.
4선 의원이 3선의 유승민 의원과 파트너가 된 것은 격이 맞지 않다는 지적에는 “지금 선수나 계파 따질 상황이 아니다. 위기 극복 위해서는 모든 것을 함께 하는 게 중요하다”고 반박했다.
그는 정책위의장 출마를 결심하게 된 배경에 대해 “내년 총선에서 수도권 민심을 담아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수도권 원내대표를 만드려고 노력했지만 단일화에 실패했다”며 “그렇다면 정책위장으로 역할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