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이 '이주영·홍문종' 대(對) '유승민·원유철' 구도로 확정된 가운데 후보들은 30일 등록을 마치고 본격적인 선거운동에 돌입했다.
특히 이주영 원내대표 후보의 러닝메이트로 정책위의장 후보로 나선 홍문종 의원과 유승민 원내대표 후보의 러닝메이트인 원유철 의원은 ‘당청관계’ 등을 놓고 팽팽한 장외 신경전을 벌였다.
홍문종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 출연, ‘수도권 원내대표론’을 제기하면서 원내대표 출마 의지를 갖고 있다가 정책위의장으로 선회한 이유에 대해 “원내대표나 정책위의장이나 올라운드 플레이어가 필요하다는 의원 여러분들의 주문도 있었고, 내년 총선은 당원 모두가 총력전을 해야 하는 굉장히 중요한 선거인데다가 대통령 집권 3년차에 여러 가지 해야 될 일들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어려울 때 중요한 일을 마다하면 좋은 당원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어서 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주영 의원이 원유철 의원에게도 함께하자고 했다는데 기분 나쁘지 않았느냐’는 사회자 질문에 “그런 (제안을 한)적은 없다”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파트너인 이 의원에 대해서는 “차분하면서도 부드러운 카리스마가 굉장히 중요한 덕목 중에 하나”라며 “남의 목소리를 소중하게 생각하고 끝까지 인내 있게 경청하고, 또 그분들 목소리 속에서 답을 찾아가는 모습들이 이주영 의원에게 있어서 굉장히 큰 장점”이라고 긍정평가했다.
당 사무총장과 경기도당위원장을 지낸 홍 의원은 지도부에 입성하면 ‘쓴 소리’대신 ‘되는 소리’를 하겠다고 밝혀 눈길을 끌기도 했다.
그는 “쓴 소리 하는 사람은 당에 많다. 김무성 대표께서도 쓴 소리 하시겠다는 말씀을 하셨다. 하지만 지금은 쓴 소리보다는 되는 소리를 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쓴 소리 하는 충신(忠臣)과 되는소리를 하는 양신(良臣)을 비교하면서 “충신은 자기만 훌륭한 신하여서 임금도 안 되고 나라도 안 되지만, 양신은 나라와 당이 같이 잘 된다"며 "지금이야말로 양신의 역할이 필요할 때다. 당이 잘 되자고 또 국민에게 잠깐 동안 박수를 받자고 우리가 청와대와 여의도를 잇는 다리를 불사르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번 경선을 친박 대 비박 구도로 평가하는 시선에 대해서는 “언론의 표현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구태여 표현을 하자면 저희는 당정청이 함께 가자는 데에 방점이 있고, 저 쪽은 당이 우위에 서야 된다고 말씀하시는 뉘앙스에 차이가 있을 뿐”이라고 덧붙였다.
원유철 의원은 전날 같은 방송에서 원내대표 출마를 검토하다가 정책위의장으로 선회한 것에 대해 “수도권 출신 중진 의원들이 내년 총선에 수도권 민심을 담아내는 게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을 같이 하고 수도권 원내대표를 단독으로 단일화하자는 논의를 했지만 사실상 실패로 끝났다”면서 “경제를 살리고 정책을 총괄하는 집권여당의 정책위의장으로서의 역할도 원내대표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판단을 하고 정책위의장으로 나서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유승민 의원과 손잡은 것에 대해 “민생경제를 살려내고 산적한 현안을 힘 있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유승민 의원같이 소신과 강력한 추진력을 가진 분과 함께 하는 것이 지금은 적합하다는 판단이 들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서울·경기·인천의 수도권이 대한민국 인구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고, 또 20대 총선에서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서 수도권의 의석이 늘어 의석수가 과반을 넘게 돼있다. 따라서 수도권 주민들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민심을 담아내는 당의 지도부 구성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 차원에서 수도권 출신의 중진의원이 당의 정책을 총괄하는 정책위의장 자리에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친박 대 비박 대결 구도라는 평가에 대해 “그런 구도는 의미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 “양측 정책위의장은 모두 수도권 출신이고, 원내대표는 다 영남출신으로 채워지지 않았느냐”며 “어느 후보가 더 경쟁력이 있는지, 지금의 위기를 누가 더 잘 돌파할 수 있는지를 의원들이 판단하실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주영 원내대표 후보의 러닝메이트로 정책위의장 후보로 나선 홍문종 의원과 유승민 원내대표 후보의 러닝메이트인 원유철 의원은 ‘당청관계’ 등을 놓고 팽팽한 장외 신경전을 벌였다.
홍문종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 출연, ‘수도권 원내대표론’을 제기하면서 원내대표 출마 의지를 갖고 있다가 정책위의장으로 선회한 이유에 대해 “원내대표나 정책위의장이나 올라운드 플레이어가 필요하다는 의원 여러분들의 주문도 있었고, 내년 총선은 당원 모두가 총력전을 해야 하는 굉장히 중요한 선거인데다가 대통령 집권 3년차에 여러 가지 해야 될 일들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어려울 때 중요한 일을 마다하면 좋은 당원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어서 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주영 의원이 원유철 의원에게도 함께하자고 했다는데 기분 나쁘지 않았느냐’는 사회자 질문에 “그런 (제안을 한)적은 없다”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파트너인 이 의원에 대해서는 “차분하면서도 부드러운 카리스마가 굉장히 중요한 덕목 중에 하나”라며 “남의 목소리를 소중하게 생각하고 끝까지 인내 있게 경청하고, 또 그분들 목소리 속에서 답을 찾아가는 모습들이 이주영 의원에게 있어서 굉장히 큰 장점”이라고 긍정평가했다.
당 사무총장과 경기도당위원장을 지낸 홍 의원은 지도부에 입성하면 ‘쓴 소리’대신 ‘되는 소리’를 하겠다고 밝혀 눈길을 끌기도 했다.
그는 “쓴 소리 하는 사람은 당에 많다. 김무성 대표께서도 쓴 소리 하시겠다는 말씀을 하셨다. 하지만 지금은 쓴 소리보다는 되는 소리를 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쓴 소리 하는 충신(忠臣)과 되는소리를 하는 양신(良臣)을 비교하면서 “충신은 자기만 훌륭한 신하여서 임금도 안 되고 나라도 안 되지만, 양신은 나라와 당이 같이 잘 된다"며 "지금이야말로 양신의 역할이 필요할 때다. 당이 잘 되자고 또 국민에게 잠깐 동안 박수를 받자고 우리가 청와대와 여의도를 잇는 다리를 불사르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번 경선을 친박 대 비박 구도로 평가하는 시선에 대해서는 “언론의 표현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구태여 표현을 하자면 저희는 당정청이 함께 가자는 데에 방점이 있고, 저 쪽은 당이 우위에 서야 된다고 말씀하시는 뉘앙스에 차이가 있을 뿐”이라고 덧붙였다.
원유철 의원은 전날 같은 방송에서 원내대표 출마를 검토하다가 정책위의장으로 선회한 것에 대해 “수도권 출신 중진 의원들이 내년 총선에 수도권 민심을 담아내는 게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을 같이 하고 수도권 원내대표를 단독으로 단일화하자는 논의를 했지만 사실상 실패로 끝났다”면서 “경제를 살리고 정책을 총괄하는 집권여당의 정책위의장으로서의 역할도 원내대표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판단을 하고 정책위의장으로 나서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유승민 의원과 손잡은 것에 대해 “민생경제를 살려내고 산적한 현안을 힘 있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유승민 의원같이 소신과 강력한 추진력을 가진 분과 함께 하는 것이 지금은 적합하다는 판단이 들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서울·경기·인천의 수도권이 대한민국 인구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고, 또 20대 총선에서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서 수도권의 의석이 늘어 의석수가 과반을 넘게 돼있다. 따라서 수도권 주민들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민심을 담아내는 당의 지도부 구성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 차원에서 수도권 출신의 중진의원이 당의 정책을 총괄하는 정책위의장 자리에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친박 대 비박 대결 구도라는 평가에 대해 “그런 구도는 의미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 “양측 정책위의장은 모두 수도권 출신이고, 원내대표는 다 영남출신으로 채워지지 않았느냐”며 “어느 후보가 더 경쟁력이 있는지, 지금의 위기를 누가 더 잘 돌파할 수 있는지를 의원들이 판단하실 것”이라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