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분양물량의 절반 차지… 규제 완화 누적효과
올해 서울 재개발 아파트 일반분양 물량이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부산, 대구 등 지방 대도시에 이어 올해 서울에서도 재개발 분양물량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11일 부동산 포털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이달 이후 연내 서울 재개발 아파트 일반분양물량은 31곳, 8658가구로 조사됐다. 이는 연내 서울 분양물량 1만7091가구(58곳)의 50%에 달하는 것이다.
권역별로 보면 ▲도심권 20곳 5280가구 ▲강북권 9곳 3095가구 ▲강서권 2곳 283가구 등이다.
도심권에선 삼성물산이 광진구 자양동 자양4구역에서 래미안 프리미어팰리스를 3월에 분양한다. 전용면적 59~102㎡ 264가구의 주상복합 아파트 중 129가구를 일반분양한다.
대림산업은 성동구 옥수동 옥수13구역에서 e편한세상 옥수를 5월에 분양할 예정이다. 총 1976가구 가운데 114가구를 일반 분양한다.
현대건설·SK건설·포스코건설 컨소시엄은 성동구 하왕십리동 왕십리뉴타운 3구역에서 센트라스를 3월에 분양한다. 아파트 2529가구와 오피스텔 260실이 들어선다. 분양물량은 전용 40~115㎡ 1171가구로 이중 전용 85㎡ 이하 중소형이 93%를 차지한다.
GS건설은 마포구 염리동 염리2구역 자이3차를 5월에 분양할 예정이다. 설계변경을 통해 중소형을 대폭 늘려 총가구수가 당초 729가구에서 927가구로 크게 늘었다. 이중 일반분양분은 413가구로 많은 편이다.
업계 관계자는 “서울 분양시장에 재개발 전성시대가 온 듯하다”며 “이명박정부와 박근혜정부까지 7년 이상 지속된 재개발 규제완화의 누적효과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올해 서울 재개발 아파트 일반분양 물량이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부산, 대구 등 지방 대도시에 이어 올해 서울에서도 재개발 분양물량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11일 부동산 포털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이달 이후 연내 서울 재개발 아파트 일반분양물량은 31곳, 8658가구로 조사됐다. 이는 연내 서울 분양물량 1만7091가구(58곳)의 50%에 달하는 것이다.
권역별로 보면 ▲도심권 20곳 5280가구 ▲강북권 9곳 3095가구 ▲강서권 2곳 283가구 등이다.
도심권에선 삼성물산이 광진구 자양동 자양4구역에서 래미안 프리미어팰리스를 3월에 분양한다. 전용면적 59~102㎡ 264가구의 주상복합 아파트 중 129가구를 일반분양한다.
대림산업은 성동구 옥수동 옥수13구역에서 e편한세상 옥수를 5월에 분양할 예정이다. 총 1976가구 가운데 114가구를 일반 분양한다.
현대건설·SK건설·포스코건설 컨소시엄은 성동구 하왕십리동 왕십리뉴타운 3구역에서 센트라스를 3월에 분양한다. 아파트 2529가구와 오피스텔 260실이 들어선다. 분양물량은 전용 40~115㎡ 1171가구로 이중 전용 85㎡ 이하 중소형이 93%를 차지한다.
GS건설은 마포구 염리동 염리2구역 자이3차를 5월에 분양할 예정이다. 설계변경을 통해 중소형을 대폭 늘려 총가구수가 당초 729가구에서 927가구로 크게 늘었다. 이중 일반분양분은 413가구로 많은 편이다.
업계 관계자는 “서울 분양시장에 재개발 전성시대가 온 듯하다”며 “이명박정부와 박근혜정부까지 7년 이상 지속된 재개발 규제완화의 누적효과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