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친박-비박, 당협위원장 물갈이 갈등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5-03-02 17:30:03
    • 카카오톡 보내기
    부실당협 8곳 선정에 ‘친박 죽이기’ 의구심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새누리당 지도부가 지역 당협위원장 교체 문제로 2일 심각한 갈등양상을 보였다.

    조강특위가 해당 당협위원장에게 소명기회도 없이 일방적으로 처리한 당무감사 결과에 대해 일부 최고위원들이 문제를 제기하고 나선 것이다.

    이날 오전 국회에서 비공개로 열린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에선 서청원, 이인제 최고위원의 고성이 문밖까지 새어나왔고 특히 서 최고위원은 회의 도중 자리를 박차고 나오기도 했다.

    이 같은 갈등은 이날 부실당협 8곳을 교체해야 한다는 당 조직강화특위의 당무감사 결과가 보고되면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졌다.

    교체대상으로 지목된 당협은 서울 동대문구을(위원장 김형진), 부산 사하구을(위원장 안준태), 인천 부평구을(위원장 김연광), 경기 광명시갑(위원장 정은숙), 경기 파주시갑(위원장 박우천), 충북 청주시흥덕구갑(위원장 최현호), 충남 공주시(위원장 오정섭), 전남 장흥군강진군영암군(위원장 전평진) 등이다.

    이에 대해 친박계는 “원외 당협위원장의 대다수가 친박계”라며 "비박계인 김무성 대표 체제가 들어선 뒤 편향된 감사 결과로 친박 죽이기를 하고 있다는 의구심을 지우기 어렵다"고 반발하고 있는 상태다.

    특히 지역구 비거주와 당협관리 부실을 이유로 교체대상이 된 김형진 (서울 동대문을)당협위원장은 ‘시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자신에게 제기된 문제들에 대해 “거짓”이라며 “음해에 불과하다”고 강력 반발했다.

    김 위원장은 자신이 동대문구에 거주하지 않다는 지적에 대해 “당협위원장에 선출된 이후 동대문구 장안동으로 이사했고, 줄곧 그곳에서 거주하고 있다”며 “이 같은 사실은 임대차 계약서,주민등록 기록 및 현재 거주하고 있는 건물 입구의 cctv 녹화 등을 통해 즉각 확인이 가능한데 어떻게 그런 당무감사 결과가 나왔는지 황당하다”고 반박했다.

    그는 또한 ‘지역구 관리가 부실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터무니없다”며 “날마다 새벽부터 늦은 밤까지 칼바람을 맞으며 수많은 행사에 참여하는 등 지역을 다져온 그 많은 노력과 시간들이 이처럼 간단히 무시될 수 있다는 게 의아하다”고 일축했다.

    그는 특히 “날마다 주민들과 만나 1000여장 내외의 명함을 교부하고 순번을 정해 지역협의회장 및 당원들과 같이 경로당, 상가, 단체를 방문하는 등 지역구 활동을 게을리 한 적이 없다”며 심지어 “지난 1월에는 동대문 구청에서 투신자살한 지역주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 달 간 당원들과 함께 지역 곳곳에서 가두시위를 벌인 결과 마침내 새정련 소속 구청장과 구의원들의 완강한 반대를 꺾고 구의회에서 진상조사를 위한 특위를 구성하도록 하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역에는 벌써부터 당 지도부가 자기를 당협위원장으로 결정했다고 주장하는 인물이 당 조직을 흔들고 다니고 있다”면서 “이는 새누리당의 승리를 기원하는 지역 당원들은 물론 주민들의 염원을 저버리는 결과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아무런 사실 확인 절차도 없이 주장이 제기되었다는 것만으로 당협위원장의 교체를 논하는 것은 앞으로도 우리 당에 매우 좋지 않은 선례를 남기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이날 최고위에서는 당협위원장 교체여부에 대해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앞서 새누리당은 지난달 23일에도 최고위원회의에서 부실 당원협의회의 위원장 교체 방식을 두고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