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대우 기자] 서울 종로구(구청장 김영종)가 지역내 잠재적 위기대상을 발굴해 ‘맞춤형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고 5일 밝혔다.
구는 이달부터 오는 8월까지 6개월 동안 종로구에 거주하는 저소득 여성노인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마음 꽃이 피었다’를 실시한다.
프로그램은 ▲개별화(꽃을 심다) ▲집단화(꽃에 물주다) ▲사회화(꽃 피어나다)의 과정으로 진행한다.
3~4월에는 동 주민센터를 중심으로 참여 대상을 발굴해 스크리닝을 거쳐 개별상담을 통해 라포(상담자와 내담자 사이의 친근감 및 신뢰감)를 형성하는 개별화 과정을 실시한다.
오는 5~6월에는 자존감 향상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과 체험 등을 동해 역동성을 강화하는 집단화 과정을, 7~8월에는 위기사례 발굴 홍보 캠페인과 사례 동행방문 등 사회 참여를 시도하는 사회화 과정으로 진행한다.
구는 프로그램 진행 과정을 꼼꼼하게 기록하고, 회기별 척도검사와 출석 점검을 통해 대상자의 변화와 참여율 등도 분석할 방침이다.
이밖에도 구는 내년 2월까지 ‘어깨동무 멘토링사업’도 실시한다.
이 사업은 서울대의대 자원봉사동아리와 저소득가정 청소년을 1대 1 매칭해 학습·진로·문화 활동을 지원하는 것으로, 서울대의대 자원봉사동아리·저소득가정 청소년 각각 20명 총 40명이, 월 1회 이상 만나 ▲학습지도▲진로상담 ▲문화·여가생활 등을 함께한다.
김영종 종로구청장은 “심리적인 문제로 발생되는 각종 사회문제가 나날이 늘어가고 있다”면서 “우리 이웃의 어두운 마음부터 살피고 돌보면서 다함께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 데 힘을 더하겠다”고 말했다.
구는 이달부터 오는 8월까지 6개월 동안 종로구에 거주하는 저소득 여성노인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마음 꽃이 피었다’를 실시한다.
프로그램은 ▲개별화(꽃을 심다) ▲집단화(꽃에 물주다) ▲사회화(꽃 피어나다)의 과정으로 진행한다.
3~4월에는 동 주민센터를 중심으로 참여 대상을 발굴해 스크리닝을 거쳐 개별상담을 통해 라포(상담자와 내담자 사이의 친근감 및 신뢰감)를 형성하는 개별화 과정을 실시한다.
오는 5~6월에는 자존감 향상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과 체험 등을 동해 역동성을 강화하는 집단화 과정을, 7~8월에는 위기사례 발굴 홍보 캠페인과 사례 동행방문 등 사회 참여를 시도하는 사회화 과정으로 진행한다.
구는 프로그램 진행 과정을 꼼꼼하게 기록하고, 회기별 척도검사와 출석 점검을 통해 대상자의 변화와 참여율 등도 분석할 방침이다.
이밖에도 구는 내년 2월까지 ‘어깨동무 멘토링사업’도 실시한다.
이 사업은 서울대의대 자원봉사동아리와 저소득가정 청소년을 1대 1 매칭해 학습·진로·문화 활동을 지원하는 것으로, 서울대의대 자원봉사동아리·저소득가정 청소년 각각 20명 총 40명이, 월 1회 이상 만나 ▲학습지도▲진로상담 ▲문화·여가생활 등을 함께한다.
김영종 종로구청장은 “심리적인 문제로 발생되는 각종 사회문제가 나날이 늘어가고 있다”면서 “우리 이웃의 어두운 마음부터 살피고 돌보면서 다함께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 데 힘을 더하겠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