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문찬식 기자]인천시내 지역아동센터 급식 수준이 업그레이드될 것으로 전망된다.
인천시는 지역아동센터의 급식관리 시스템을 매뉴얼화 해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오는 4월부터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시행할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지역아동센터는 맞벌이 및 한부모 가정 등 방과후 돌봄이 필요한 지역의 초·중·고등학생 등 아동에게 건전한 오락·교육·보호와 더불어 급식 등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의 방과 후 돌봄기관이다. 인천에는 현재 181개 센터에 4,700여 명의 아동이 이용하고 있다.
지역아동센터의 중추적인 돌봄 프로그램 중 하나가 이용아동에 대해 학기 중 석식과 방학 중 중·석식을 제공하는 급식프로그램이다. 하지만 1개 센터 당 이용 아동 수가 대부분 50인 미만인 관계로 관련법상 영양사나 조리사 등 전문 인력의 배치 의무규정이 없어 자칫 영양 및 위생 관리가 소홀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어 왔다.
또 지방자치단체 보조금으로 지원하는 지역아동센터 급식비의 경우 소규모 단체급식임에도 불구하고 출결이용 아동 수에 따라 급식비를 지원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아동센터에서 급식을 사전에 준비해 놓은 상태에서 이용아동이 결석한 경우 급식비를 지원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해 급식관리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에 따라 시는 비합리적인 급식비 지원방식을 개선하고 영양과 위생수준을 향상을 위해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와 연계한 급식관리 개선방안을 마련했다. 시는 급식비 지원방식을 종전 출결이용 아동 수에서 식자재 구입비 지원으로 전환해 식자재 구매 관리를 계획적으로 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또 식단관리 방식은 종전 지역아동센터별 자율적 식단에서 군·구별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맞춤형 영양 식단 사용을 의무화 해 급식의 영양관리를 표준화했으며 일일 급식 및 식자재 구입·관리현황을 작성, 매월 군·구에 보고토록 해 식단표에 맞는 식자재 구입 여부 및 급식비 지출 흐름을 쉽게 파악하도록 했다.
특히 위생관리 수준 향상을 위해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와 연계해 급식종사자 위생교육을 매년 2회 이상 실시하고 하절기 위생 점검을 정례화 하도록 했다. 시는 이번 급식개선방안 마련을 위해 지난해부터 7회에 걸쳐 군·구 담당자,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 관계자, 지역아동센터 군·구 대표자 등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와 관련 인천시 관계자는 “이번 급식개선방안 시행으로 지역아동센터 급식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이용 아동들에게 양질의 급식을 제공함으로써 지역아동센터가 명실상부한 지역의 방과 후 돌봄 기관으로 자리매김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인천시는 지역아동센터의 급식관리 시스템을 매뉴얼화 해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오는 4월부터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시행할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지역아동센터는 맞벌이 및 한부모 가정 등 방과후 돌봄이 필요한 지역의 초·중·고등학생 등 아동에게 건전한 오락·교육·보호와 더불어 급식 등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의 방과 후 돌봄기관이다. 인천에는 현재 181개 센터에 4,700여 명의 아동이 이용하고 있다.
지역아동센터의 중추적인 돌봄 프로그램 중 하나가 이용아동에 대해 학기 중 석식과 방학 중 중·석식을 제공하는 급식프로그램이다. 하지만 1개 센터 당 이용 아동 수가 대부분 50인 미만인 관계로 관련법상 영양사나 조리사 등 전문 인력의 배치 의무규정이 없어 자칫 영양 및 위생 관리가 소홀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어 왔다.
또 지방자치단체 보조금으로 지원하는 지역아동센터 급식비의 경우 소규모 단체급식임에도 불구하고 출결이용 아동 수에 따라 급식비를 지원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아동센터에서 급식을 사전에 준비해 놓은 상태에서 이용아동이 결석한 경우 급식비를 지원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해 급식관리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에 따라 시는 비합리적인 급식비 지원방식을 개선하고 영양과 위생수준을 향상을 위해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와 연계한 급식관리 개선방안을 마련했다. 시는 급식비 지원방식을 종전 출결이용 아동 수에서 식자재 구입비 지원으로 전환해 식자재 구매 관리를 계획적으로 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또 식단관리 방식은 종전 지역아동센터별 자율적 식단에서 군·구별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맞춤형 영양 식단 사용을 의무화 해 급식의 영양관리를 표준화했으며 일일 급식 및 식자재 구입·관리현황을 작성, 매월 군·구에 보고토록 해 식단표에 맞는 식자재 구입 여부 및 급식비 지출 흐름을 쉽게 파악하도록 했다.
특히 위생관리 수준 향상을 위해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와 연계해 급식종사자 위생교육을 매년 2회 이상 실시하고 하절기 위생 점검을 정례화 하도록 했다. 시는 이번 급식개선방안 마련을 위해 지난해부터 7회에 걸쳐 군·구 담당자,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 관계자, 지역아동센터 군·구 대표자 등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와 관련 인천시 관계자는 “이번 급식개선방안 시행으로 지역아동센터 급식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이용 아동들에게 양질의 급식을 제공함으로써 지역아동센터가 명실상부한 지역의 방과 후 돌봄 기관으로 자리매김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