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파제 남쪽 방향 1200m지점 해저 75m···실종자 수색후 인양
[목포=황승순 기자]응급환자 이송을 위해 지난 13일 출동했다 추락한 해경 소속 헬기 동체가 발견됐다.
서해해경본부는 19일 오전 12시12분께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 방파제 끝단 남쪽방향 1200m 지점에서 서해해양경비안전본부 목포항공대 소속 헬기(B-511)의 동체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헬기 동체는 앞서 추락한 헬기 기체의 잔해가 최초로 발견된 지점에서 1.8㎞ 떨어진 수심 약 75m 지점에서 발견됐다.
동체 확인은 국립해양조사원 '바다로 1호'의 음파탐지기(sonar)를 통해 수중 탐색 후 청해진함의 수중 카메라를 이용해서다.
동체는 헬기의 몸체에서 꼬리부분으로 이어지는 한 회전축이 발견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해경은 대기 중인 포화잠수사(심해잠수사)를 정조 시간대인 오후 8시께 투입해 실종자 수색과 동체 결박을 실시할 예정이다.
해경은 구체적인 실종자 수색과 동체 인양 절차는 탐색 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해경 관계자는 "실종자 수색을 위해 심해잠수사를 투입한 뒤 동체 인양 등을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목포=황승순 기자]응급환자 이송을 위해 지난 13일 출동했다 추락한 해경 소속 헬기 동체가 발견됐다.
서해해경본부는 19일 오전 12시12분께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 방파제 끝단 남쪽방향 1200m 지점에서 서해해양경비안전본부 목포항공대 소속 헬기(B-511)의 동체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헬기 동체는 앞서 추락한 헬기 기체의 잔해가 최초로 발견된 지점에서 1.8㎞ 떨어진 수심 약 75m 지점에서 발견됐다.
동체 확인은 국립해양조사원 '바다로 1호'의 음파탐지기(sonar)를 통해 수중 탐색 후 청해진함의 수중 카메라를 이용해서다.
동체는 헬기의 몸체에서 꼬리부분으로 이어지는 한 회전축이 발견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해경은 대기 중인 포화잠수사(심해잠수사)를 정조 시간대인 오후 8시께 투입해 실종자 수색과 동체 결박을 실시할 예정이다.
해경은 구체적인 실종자 수색과 동체 인양 절차는 탐색 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해경 관계자는 "실종자 수색을 위해 심해잠수사를 투입한 뒤 동체 인양 등을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