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형민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은 23일 강화도 캠핑장 화재 사고와 관련해 정부의 안전사고 무대책을 맹비난하고 나섰다.
문재인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불과 일주일 전 해경 헬기 추락사고의 실종자도 다 찾지 못한 상황에 안전사고가 끝이 없다. 정부 무대책이 사고 원인이라 할 수 있다"며 "세상에 사람의 생명보다 더 소중한 건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세월호 참사 때 다짐처럼 정부당국이 더 큰 책임감과 소명의식을 갖고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해 노력해 달라"고 주문했다.
우윤근 원내대표도 "불법과 탈법을 일삼는 나쁜 관행들이 만든 결과"라고 비판했다.
우 원내대표는 "전국 1000여개의 야영장 대부분이 안전관리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며 "전국 야영장 중 230여곳만 등록돼 있을 뿐 나머지는 미등록 영업을 하고 있고, 관계당국이 430여곳을 무작위로 안전 점검한 결과 73%가 최하위 등급을 받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재 전국 캠핑장을 관리 감독할 소관부처가 없고 법령의 근거조차 마련돼 있지 않다"며 "우리 당은 이에 대한 새로운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승용 최고위원은 "국민안전처까지 신설한 박근혜 정부 들어서서 도대체 왜 이렇게 시도 때도 없이 사건사고가 끊임없이 일어나는지 안타깝다"며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 땜질식 대책은 계속 돼선 안된다"고 근본적인 대책을 촉구했다.
오영식 최고위원도 "세월호 참사 1주기가 한달도 남지 않은데다 정부가 국가안전대진단기간을 정하고 안전 신문고를 운영하는 중에 또 사고가 발생했다"며 "현재 정부가 '안전한 대한민국' 구호만 외치지, 실질적인 제도개선과 대응책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 아닌가 하는 안타까운 지적을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참에 정부는 화재사고의 원인을 철저히 밝히고 법 테두리 밖에 놓인 야영장 등 안전사각지대에 대한 법적, 제도적 문제를 철저히 보완해서 재발방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와 새누리당은 오는 24일 당정 협의를 갖고 캠핑장 화재 사고 관련한 재발방지 대책을 논의한다.
새누리당 원유철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내일(24일) 관계부처와 당정 협의를 개최해 제기된 문제점을 점검하고 실효적 대안을 모색해 재발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원 의장은 "우리나라 캠핑인구는 약 300만명에 이르고 꾸준히 증가 추세다. 글램핑, 캠핑카 등 새로운 형태의 레저 산업이 급증하면서 사각지대도 증가하고 있다"면서 "정부는 등록, 미등록 야영장에 대한 안전점검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미등록 야영장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등 안전점검 기준을 검토해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확한 화재 원인은 조사 중에 있지만 결국 안전관리 사각지대에서 안전 불감증이 일으킨 인재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며 "특히 이번 사고에서 피해가 큰 이유는 텐트가 1분만에 전소할 정도로 가연성 재질로 만들어져 있고, 마당에 있던 소화기조차 작동되지 않아 샤워장 물을 받아 불을 꺼야 할 정도로 안전관리가 허술했다"고 지적했다.
문재인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불과 일주일 전 해경 헬기 추락사고의 실종자도 다 찾지 못한 상황에 안전사고가 끝이 없다. 정부 무대책이 사고 원인이라 할 수 있다"며 "세상에 사람의 생명보다 더 소중한 건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세월호 참사 때 다짐처럼 정부당국이 더 큰 책임감과 소명의식을 갖고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해 노력해 달라"고 주문했다.
우윤근 원내대표도 "불법과 탈법을 일삼는 나쁜 관행들이 만든 결과"라고 비판했다.
우 원내대표는 "전국 1000여개의 야영장 대부분이 안전관리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며 "전국 야영장 중 230여곳만 등록돼 있을 뿐 나머지는 미등록 영업을 하고 있고, 관계당국이 430여곳을 무작위로 안전 점검한 결과 73%가 최하위 등급을 받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재 전국 캠핑장을 관리 감독할 소관부처가 없고 법령의 근거조차 마련돼 있지 않다"며 "우리 당은 이에 대한 새로운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승용 최고위원은 "국민안전처까지 신설한 박근혜 정부 들어서서 도대체 왜 이렇게 시도 때도 없이 사건사고가 끊임없이 일어나는지 안타깝다"며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 땜질식 대책은 계속 돼선 안된다"고 근본적인 대책을 촉구했다.
오영식 최고위원도 "세월호 참사 1주기가 한달도 남지 않은데다 정부가 국가안전대진단기간을 정하고 안전 신문고를 운영하는 중에 또 사고가 발생했다"며 "현재 정부가 '안전한 대한민국' 구호만 외치지, 실질적인 제도개선과 대응책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 아닌가 하는 안타까운 지적을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참에 정부는 화재사고의 원인을 철저히 밝히고 법 테두리 밖에 놓인 야영장 등 안전사각지대에 대한 법적, 제도적 문제를 철저히 보완해서 재발방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와 새누리당은 오는 24일 당정 협의를 갖고 캠핑장 화재 사고 관련한 재발방지 대책을 논의한다.
새누리당 원유철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내일(24일) 관계부처와 당정 협의를 개최해 제기된 문제점을 점검하고 실효적 대안을 모색해 재발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원 의장은 "우리나라 캠핑인구는 약 300만명에 이르고 꾸준히 증가 추세다. 글램핑, 캠핑카 등 새로운 형태의 레저 산업이 급증하면서 사각지대도 증가하고 있다"면서 "정부는 등록, 미등록 야영장에 대한 안전점검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미등록 야영장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등 안전점검 기준을 검토해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확한 화재 원인은 조사 중에 있지만 결국 안전관리 사각지대에서 안전 불감증이 일으킨 인재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며 "특히 이번 사고에서 피해가 큰 이유는 텐트가 1분만에 전소할 정도로 가연성 재질로 만들어져 있고, 마당에 있던 소화기조차 작동되지 않아 샤워장 물을 받아 불을 꺼야 할 정도로 안전관리가 허술했다"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