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野, ‘천안함 폭침 규탄결의’ 반대 사과해야”

    정당/국회 / 전형민 / 2015-03-26 15:48:06
    • 카카오톡 보내기
    유승민 “문재인, 그나마 5년만에 북 소행인정 다행”
    [시민일보=전형민 기자]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26일 구 민주당 의원들이 북한의 천안함 폭침을 규탄하는 국회 결의안에 반대했던 것에 관해 "새정치연합은 순국장병들과 국민들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대전 유성구 기초과학연구원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갖고 "당시 국회에서 천안함 폭침 규탄 결의안을 의결할 때 당시 민주당 의원 70명 중 69명이 반대표를 던진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반대한 의원 중 30명이 19대 국회에서 활동 중"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당시 천안함 폭침이 북한 소행이 아니라는 괴담과 주장을 퍼뜨리며 유족 가슴에 피멍들게 하고 장병들의 거룩한 순국을 폄하한 세력이 있다. 어느 의원은 정부 발표는 우연의 연속이 아니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부정했다"며 "공동조사단의 발표가 있었음에도 유엔 안보리에 천안함 사건 진상규명 요구 서한을 보낸 적도 있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국가 안보는 국가 생존이다. 국가 생사가 달린만큼 이념 논리보다 상위 개념이고 최우선으로 다뤄야 할 문제"라며 "그런 만큼 무책임한 언행을 일삼은 못된 세력들 역시 46명 용사와 국민들에게 사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천안함 폭침은 5년 전 국제공동조사에 의해 이미 북한에 의한 피격으로 북한 소행임이 명백히 밝혀진 사건이다. 북한은 연일 천안함 사건과 무관하다며 모략이나 날조같은 얼토당토 않는 궤변을 일삼으며 5·24 조치 해제를 요구하고 있다"며 "그러나 5·24 조치 해제를 위해서는 북한의 책임 있는 사과와 관련한 조치가 우선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유승민 원내대표는 26일 5주기를 맞은 천안함 폭침 사태와 관련, "계속 공식 추도식으로 할 것을 정부에 건의한다"고 말했다.

    유 원내대표는 "추도식은 국방부 훈령에 따라 5주기까지고 6주기부터는 공식 추도식을 중단하고 일반 위령제로 지내는게 국방부 훈령"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북한이 아직도 조작·날조라고 하고 있고 우리 사회 내에서도 폭침에 대한 공감대가 부족한 마당에 정부 스스로 공식 추도식을 국방부 훈령에 근거에 중단하는건 문제가 있다"면서 "이 문제 대해 우리 사회의 입장이 충분히 정리될 때까지 공식 추도식으로 할 것을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유 원내대표는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천안함 사건이 북한의 소행'이라는 입장을 처음 밝힌 데에 대해 "안보 정당을 표방하면서 5년 만에 북한의 소행으로 인정한 건 그나마 다행으로 생각하고 이왕 안보정당이라는 기치를 내세운 만큼 국가안보 하나만큼은 초당적으로 임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