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4·29 재보궐선거 지역 중 관심지역으로 꼽히는 광주 서구을의 여론조사 결과 무소속 천정배 후보가 새정치민주연합 조영택 후보를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언론사인 광주타임즈(3월30일자ㆍ자세한 사항은 중앙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가 여론조사 전문 기관인 리얼미터에 의뢰해 실시한 광주 서을 보선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천 후보는 37.2%의 지지를 얻어 29.9%를 기록한 조 후보를 7.3%p 앞서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새누리당 정승 후보 12.6%, 정의당 강은미 후보 8.7%, 기타 후보 4.2%의 순으로 나타났다.
정당 지지도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45.5%, 새누리당 9.5%, 정의당 8.1% 순이었고 지지정당이 없는 경우는 26.6%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새정치연합 양승조 사무총장은 이날 오전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 “현재 (천 전 장관이) 앞서는 여론조사도 나오고 있다. 그만큼 불리한 상황”이라면서도 “‘새정치연합을 통해 정권교체를 이뤄야 된다’, 이런 정신이 퍼져나면 궁극적으로는 우리 조영택 후보가 승리하지 않을까 한다”고 평가 절하했다.
양 사무총장은 특히 탈당한 천정배 후보를 겨냥, “탈당의 정치고 분열의 정치”라고 공세를 폈다.
그는 “천 전 장관은 열리우리당 창당의 주역이자 당 원내대표, 법무부 장관, 대선 예비후보 경선에도 나온 최고지도자 중 한 분”이라며 “만약에 그분 말씀대로 계파 정치가 당의 고질적 노조라면 그것을 해결하지 못한데 대한 큰 책임 있는 분”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마디로 명분 없는 탈당이라고 볼 수 있다”며 “탈당과 분열정치로 ‘호남정치 복원을 꾀하겠다’, ‘광주정신을 주장’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공격했다.
앞서 권노갑 새정치연합 상임고문도 천정배 전 장관에 대한 '낙선운동'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번 여론조사는 광주시 서구을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25일부터 26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유선전화 임의걸기(RDD) 방식에 의한 자동응답전화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3.1%p, 응답률은 3.8%이다.
지역 언론사인 광주타임즈(3월30일자ㆍ자세한 사항은 중앙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가 여론조사 전문 기관인 리얼미터에 의뢰해 실시한 광주 서을 보선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천 후보는 37.2%의 지지를 얻어 29.9%를 기록한 조 후보를 7.3%p 앞서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새누리당 정승 후보 12.6%, 정의당 강은미 후보 8.7%, 기타 후보 4.2%의 순으로 나타났다.
정당 지지도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45.5%, 새누리당 9.5%, 정의당 8.1% 순이었고 지지정당이 없는 경우는 26.6%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새정치연합 양승조 사무총장은 이날 오전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 “현재 (천 전 장관이) 앞서는 여론조사도 나오고 있다. 그만큼 불리한 상황”이라면서도 “‘새정치연합을 통해 정권교체를 이뤄야 된다’, 이런 정신이 퍼져나면 궁극적으로는 우리 조영택 후보가 승리하지 않을까 한다”고 평가 절하했다.
양 사무총장은 특히 탈당한 천정배 후보를 겨냥, “탈당의 정치고 분열의 정치”라고 공세를 폈다.
그는 “천 전 장관은 열리우리당 창당의 주역이자 당 원내대표, 법무부 장관, 대선 예비후보 경선에도 나온 최고지도자 중 한 분”이라며 “만약에 그분 말씀대로 계파 정치가 당의 고질적 노조라면 그것을 해결하지 못한데 대한 큰 책임 있는 분”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마디로 명분 없는 탈당이라고 볼 수 있다”며 “탈당과 분열정치로 ‘호남정치 복원을 꾀하겠다’, ‘광주정신을 주장’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공격했다.
앞서 권노갑 새정치연합 상임고문도 천정배 전 장관에 대한 '낙선운동'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번 여론조사는 광주시 서구을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25일부터 26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유선전화 임의걸기(RDD) 방식에 의한 자동응답전화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3.1%p, 응답률은 3.8%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