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최근 대통령 정무특별보좌관에 임명된 새누리당 김재원 의원은 1일 대통령 정무특보 겸직 논란과 관련 "국회법상 겸직금지 규정에 대한 국회의장의 판단을 전적으로 따르겠다"면서도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김 의원은 이날 라디오 '양창욱의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나라 헌법은 권력분립의 기본 정신을 충분히 구현하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어 김 의원은 "국회의원들이 국무총리와 국무위원을 겸직하고, 국무총리에 대해서는 국회가 인준표결을 해 국회 신임을 받도록 하고 있지 않느냐"며 "대통령이 국회의원을 정부 주요 직책에 임명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하에서 대통령이 (국회의원을) 특별보좌관으로 임명한다 해서 삼권분립 정신에 위배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노무현 정부 당시 이해찬 의원등이 대통령 특보를 지낸 전례를 들기도 했다.
'국회의원이 대통령 심부름을 한다'는 비판에 대해서도 "국민이 선출한 의원이 대통령에게 민심을 전달하고 대통령 판단에 도움을 주는 것이 국회의원이 하지 말아야 할 일이냐"며 "오히려 국정을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라면 무슨 일이든지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친박계 이익 대변 가능성에 대한 우려에는 "역할을 제대로 해야한다는 국민의 아픈 질책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저희가 대통령의 국정 수행과 나라를 위해 도움이 되는 일을 해야지, 일부 정파의 입장만 대변한다면 무슨 존재 의의가 있느냐"고 반박했다.
한편 김 의원은 정동영 전 장관의 4·29 관악을 보궐선거 출마와 관련, 새정치민주연합을 강도높게 비판해 눈길을 끌었다.
김 의원은 "정당은 정치적 의지와 이상을 함께 하는 것인데 이해관계가 일치하지 않는다 해서 대통령 후보까지 지낸 분의 요구사항을 담아내지 못하고 몰아내는 현실이 안타깝다"며 “정 전 의원을 비난할 것이 아니라 그 분을 몰아내는 정당의 척박한 현실도 상당히 비판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 의원은 “정 전 의원이 이번에 당선하고 다음 대선에도 출마한다면 결국 새정치연합의 정치적 장래가 좋지 못할 것”이라며 “그런 현실을 뻔히 알면서도 정 전 의원을 담아내지 못하는 당의 계파정치와 역량을 스스로 더 돌아봐야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날 라디오 '양창욱의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나라 헌법은 권력분립의 기본 정신을 충분히 구현하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어 김 의원은 "국회의원들이 국무총리와 국무위원을 겸직하고, 국무총리에 대해서는 국회가 인준표결을 해 국회 신임을 받도록 하고 있지 않느냐"며 "대통령이 국회의원을 정부 주요 직책에 임명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하에서 대통령이 (국회의원을) 특별보좌관으로 임명한다 해서 삼권분립 정신에 위배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노무현 정부 당시 이해찬 의원등이 대통령 특보를 지낸 전례를 들기도 했다.
'국회의원이 대통령 심부름을 한다'는 비판에 대해서도 "국민이 선출한 의원이 대통령에게 민심을 전달하고 대통령 판단에 도움을 주는 것이 국회의원이 하지 말아야 할 일이냐"며 "오히려 국정을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라면 무슨 일이든지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친박계 이익 대변 가능성에 대한 우려에는 "역할을 제대로 해야한다는 국민의 아픈 질책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저희가 대통령의 국정 수행과 나라를 위해 도움이 되는 일을 해야지, 일부 정파의 입장만 대변한다면 무슨 존재 의의가 있느냐"고 반박했다.
한편 김 의원은 정동영 전 장관의 4·29 관악을 보궐선거 출마와 관련, 새정치민주연합을 강도높게 비판해 눈길을 끌었다.
김 의원은 "정당은 정치적 의지와 이상을 함께 하는 것인데 이해관계가 일치하지 않는다 해서 대통령 후보까지 지낸 분의 요구사항을 담아내지 못하고 몰아내는 현실이 안타깝다"며 “정 전 의원을 비난할 것이 아니라 그 분을 몰아내는 정당의 척박한 현실도 상당히 비판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 의원은 “정 전 의원이 이번에 당선하고 다음 대선에도 출마한다면 결국 새정치연합의 정치적 장래가 좋지 못할 것”이라며 “그런 현실을 뻔히 알면서도 정 전 의원을 담아내지 못하는 당의 계파정치와 역량을 스스로 더 돌아봐야한다"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