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누리당 이정현 최고위원은 유승민 원내대표의 전날 국회 연설과 관련, “당내 조율과정 끝나지 않은 사안에 대해서도 언급했다"며 "그에 대한 책임은 본인이 져야 할 것”이라고 쓴소리를 던졌다.
이 최고위원은 9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개인적인 정치인으로서는 얼마든지 어떤 사안에 대해 이견이 있을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정치인이 당연히 자기 말에 대해 자기가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거듭 지적했다.
이어 그는 “어제 일부 말씀하신 부분들에 대해서는 본인이 국회의원 이전에 학자출신으로서의 견해, 또는 개인 국회의원으로서 원내대표 되기 전 늘 일관되게 말씀해오신 소신”이라면서 다만 “ 여야 간에도 협의정치라는 게 필요한 것이고, 서로 간에 이견을 좁혀 논리를 정리해서 하나로 만들어 가는 것이 협의”라고 강조했다.
한편 그는 경남도의 선별적 무상급식 문제와 관련, 중앙당이 개입해야 한다는 당내 일부 지적에 대해 “중앙지도부가 관여해서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라고 관여하는 것 자체가 지방자치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반대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노무현 대통령 시절부터 이미 지방에 내려보내는 재정 중 급식이라는 단어를 아예 삭제하고 포괄적으로 내려 보내 지방자치 형편에 따라 자율적으로 선택 할 수 있도록 여지를 마련해놨다”며 “중앙당이 관여를 하게 된다면 지방자치가 어떻게 존재할 수 있겠는가”라고 강조했다.
이 최고위원은 9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개인적인 정치인으로서는 얼마든지 어떤 사안에 대해 이견이 있을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정치인이 당연히 자기 말에 대해 자기가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거듭 지적했다.
이어 그는 “어제 일부 말씀하신 부분들에 대해서는 본인이 국회의원 이전에 학자출신으로서의 견해, 또는 개인 국회의원으로서 원내대표 되기 전 늘 일관되게 말씀해오신 소신”이라면서 다만 “ 여야 간에도 협의정치라는 게 필요한 것이고, 서로 간에 이견을 좁혀 논리를 정리해서 하나로 만들어 가는 것이 협의”라고 강조했다.
한편 그는 경남도의 선별적 무상급식 문제와 관련, 중앙당이 개입해야 한다는 당내 일부 지적에 대해 “중앙지도부가 관여해서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라고 관여하는 것 자체가 지방자치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반대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노무현 대통령 시절부터 이미 지방에 내려보내는 재정 중 급식이라는 단어를 아예 삭제하고 포괄적으로 내려 보내 지방자치 형편에 따라 자율적으로 선택 할 수 있도록 여지를 마련해놨다”며 “중앙당이 관여를 하게 된다면 지방자치가 어떻게 존재할 수 있겠는가”라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