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대우 기자] 한 해 유기되는 동물 약 10만마리 중 절반가량(47.4%)이 안락사 또는 자연사로 소각처리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누리당 이노근 의원(서울 노원갑)은 28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2013년 유기동물 처리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전국 유기동물보호소에는 총 9만7197마리가 입소했으며 이중 4만6115마리(47.4%)는 안락사 및 자연사로 소각처리 됐고, 분양이 2만7285마리(28.1%), 주인에게 인도 9976마리(10.3%), 방사 8841마리(9.1%), 보호 중 4183마리(4.3%), 기증 617마리(0.6%), 기타 180마리(0.2%)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지난 2013년 한해 유기동물보호소에 입소된 유기견은 총 6만2119마리이며 전체 유기동물의 63.9%였다.
이중 주인에게 인도되는 경우는 9447마리(15.2%)에 불과했고, 다른 곳에 분양되는 경우가 2만432마리(32.9%)인 반면 1만8849마리(30.3%)는 안락사, 9531마리(15.3%)는 자연사 처리됐다.
보호 중 3221마리(5.2%), 기증 481마리(0.8%), 기타 158마리(0.3%)였다.
유기묘 처리 현황을 보면 지난 2013년 한해 유기동물보호소에 입소된 유기묘는 총 3만4103마리로 전체 유기동물의 35.1%였고, 이중 주인에게 인도되는 경우는 479마리(1.4%)로 드문 상황이다.
분양은 6297마리(18.5%), 기중 122마리(0.4%)인 반면 1만2454마리(36.5%)가 자연사로 나타나 유기동물보호소의 유기묘에 대한 관리가 부실하다는 게 이 의원의 지적이다.
이 의원은 “유기동물 절반 소각처리의 원인은 보호소 수용능력 때문”이라며 ?년 한해 유기동물수는 9만7197마리이나 전국 유기동물보호소의 수용가능 한계는 4만9560마리(51%)에 불과했다. 각 지자체는 유기동물 관리를 위해 예산 증액 등이 필요한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새누리당 이노근 의원(서울 노원갑)은 28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2013년 유기동물 처리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전국 유기동물보호소에는 총 9만7197마리가 입소했으며 이중 4만6115마리(47.4%)는 안락사 및 자연사로 소각처리 됐고, 분양이 2만7285마리(28.1%), 주인에게 인도 9976마리(10.3%), 방사 8841마리(9.1%), 보호 중 4183마리(4.3%), 기증 617마리(0.6%), 기타 180마리(0.2%)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지난 2013년 한해 유기동물보호소에 입소된 유기견은 총 6만2119마리이며 전체 유기동물의 63.9%였다.
이중 주인에게 인도되는 경우는 9447마리(15.2%)에 불과했고, 다른 곳에 분양되는 경우가 2만432마리(32.9%)인 반면 1만8849마리(30.3%)는 안락사, 9531마리(15.3%)는 자연사 처리됐다.
보호 중 3221마리(5.2%), 기증 481마리(0.8%), 기타 158마리(0.3%)였다.
유기묘 처리 현황을 보면 지난 2013년 한해 유기동물보호소에 입소된 유기묘는 총 3만4103마리로 전체 유기동물의 35.1%였고, 이중 주인에게 인도되는 경우는 479마리(1.4%)로 드문 상황이다.
분양은 6297마리(18.5%), 기중 122마리(0.4%)인 반면 1만2454마리(36.5%)가 자연사로 나타나 유기동물보호소의 유기묘에 대한 관리가 부실하다는 게 이 의원의 지적이다.
이 의원은 “유기동물 절반 소각처리의 원인은 보호소 수용능력 때문”이라며 ?년 한해 유기동물수는 9만7197마리이나 전국 유기동물보호소의 수용가능 한계는 4만9560마리(51%)에 불과했다. 각 지자체는 유기동물 관리를 위해 예산 증액 등이 필요한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