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버티기’, 가능할까?

    고하승 칼럼 / 고하승 / 2015-05-10 14:24:20
    • 카카오톡 보내기
    편집국장 고하승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4.29 재보궐선거 완패에 따른 책임론을 일축하며 ‘버티기’에 돌입한 양상이다.

    지난주 동교동계 좌장인 새정치연합 권노갑 상임고문과 박지원 의원이 회동을 하고, 문재인 대표의 거취 문제를 논의하는 등 당 안팎에서 문재인 퇴진론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당시 권 고문은문 대표가 4.29재보선 패배에 책임을 져야 한다는 취지로 발언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박 의원 역시 아무 일 없는 것처럼 지나가서는 안 된다는 취지의 망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물론 둘 다 ‘콕’집어서 문재인 대표가 물러나야 한다고 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사실상 문 대표 사퇴를 촉구한 것이나 다를 바 없다.

    박주선 의원은 지난 9일 한 방송에 출연, “비대위 체제로 가는 한이 있더라도 문재인 대표는 책임을 지고 사퇴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새누리당과 박근혜 정권을 비판하고 이탈한 민심을 모아주는 광주리 역할을 하려면 당의 가치와 본질, 당 의식과 체질을 바꾸어서 대변혁을 일으켜야 되는데 방향은 친노계파를 청산하고 친노가 없는 당이라는 이미지를 심고 중도개혁정당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표뿐만 아니라 나아가 친노계파 전체가 물러나야 한다는 뜻이다.

    앞서 주승용 최고위원은 지난 8일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최고위원직 사퇴의사를 밝히며 “당 지도부가 모두 물러나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문 대표는 당장 물러설 뜻이 없는 것 같다.

    실제 그는 당 안팎에서 제기되는 책임론을 정면 돌파 하는 방안으로 각 계파 수장들이 참여하는 원탁회의 구성을 재추진하고 있다.

    문 대표가 금주부터 원탁회의 참여 대상자들에게 개별 연락을 취할 것이고, 그 대상은 김한길, 안철수 전 공동대표 등 당 대표를 지낸 인사들이나 각 계파의 수장들이 될 것이라고 한다. 물론 당내 화합을 도모하기 위한 테이블을 만들겠다는 취지일 것이다.

    하지만 그것으로 점차 거세지는 퇴진론을 막아낼 수 있을까?

    쉽지 않아 보인다. 더구나 원탁회의는 이미 한번 실패했던 것 아닌가.

    실제 지난달 2일 문 대표가 원탁회의를 열었지만 당시 김한길 전 대표와 박지원 전 원내대표 등이 불참했고, 이후 회의는 단 한 차례도 열리지 않았다. 그나마 당시 원탁회의에 참석했던 안철수 전 공동대표마저도 원탁회의에 대해선 부정적인 기류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마당이다. 김한길, 안철수, 박지원 등이 빠진 원탁회의라면 그것은 무의한 것이다.

    따라서 ‘원탁회의 재추진’이라는 계획에도 불구, 더욱 커져가는 ‘퇴진론’목소리를 잠재우기는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그렇다면, 문 대표가 결국 이쯤에서 무릎 꿇고 물러나는 것인가. 새정치연합의 입장에서 보자면 불행하게도 아직까지는 그럴 생각이 전혀 없는 것 같다.

    문재인 대표가 지난달 30일 안철수 전 대표를 만난데 이어, 6일에는 박지원 전 원내대표와, 그 다음날인 7일에는 김한길 전 대표와 연속 회동한 것이 그 방증이다. 당시 문대표가 그들을 만난 이유는 하나일 것이다. 자신이 대표직을 유지할 테니 도와 달라는 것 아니겠는가.

    하지만 모두가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박지원 전 원내대표 같은 경우는 오히려 회동 직후 방송 출연 등을 통해 '문재인 책임론'을 더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그럼에도 ‘문재인 버티기’는 결국 성공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그런데 그 이유가 ‘원탁회의’라는 묘수(?) 때문이 아니라, 내년 총선공천을 염두에 둔 비노 진영 의원들의 극심한 ‘눈치 보기’때문이라고 하니 참담하기 그지없다.

    실제 지금 문 대표의 책임지지 않는 모습에 속으로 ‘부글부글’끓는 의원들의 수에 비하면 퇴진 목소리는 너무나 약하다. 잘못 큰 소리를 냈다가는 내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할 것이 우려되는 탓일 게다.

    그러나 문 대표가 버티고 있는 상황에서 내년 총선을 치른다면 어떻게 될까?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갤럽이 지난 6∼7일 이틀간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8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4%포인트, 응답률 16%)한 결과, 새누리당의 지지도는 41%, 새정치연합은 24%로 나타났다.

    새누리당의 지지도는 지난주보다 1%포인트 오른 반면 새정치연합은 2%포인트 떨어지면서 양당 지지도 격차는 17%포인트로 더욱 벌어졌다. 문 대표가 버티는 상황이라면 이런 격차가 내년 총선에서 얼마나 좁혀질 수 있을지 의문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하승 고하승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