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문찬식 기자]경기 부천시가 마을만들기 사업의 체계·단계적 지원을 위해 2단계 주민공모 사업을 오는 18일까지 접수한다.
시에 따르면 2단계 주민공모사업은 단계별 지원에 따른 사업의 안정성 및 연속성을 확보하고자 전년도 계속 사업으로 추진한다.
공공이 주도하는 마을 만들기 정책은 1년 단위로 지원돼 사업의 연속성 측면에서 문제가 제기될 수 있어 마을 만들기의 확산과 재구성을 통해 중·장기적인 시각에서의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고 판단, 2단계 공모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이에따라 2단계 공모사업은 1단계 사업과 연계돼 한층 업그레이드돼 추진된다. 지난해에는 마을미디어를 비롯해 돌봄 및 공동육아, 골목축제, 마을극단 만들기 등 11곳에서 다양한 분야의 공동체사업이 추진됐다.
마을 만들기 2단계 사업은 공동체 및 소규모 생활환경 개선 유형에 공모할 수 있으며 오는 18일까지 사업계획을 접수받는다 신청 자격은 '2014년도 마을 만들기 주민공모사업'에 선정된 단체에 한한다.
또 동일 사업으로 행정기관에서 지원을 받고 있는 곳, 영리목적 또는 특정 종교목적의 단체 등은 제외된다. 지원규모는 단체(모임)당 1개 사업으로 총 3000만원 사업비를 통해 4개 내외의 마을을 발표심사를 거쳐 선정한다.
신청서는 시청 홈페이지(www.bucheon.go.kr) ‘새 소식’에서 내려받아 이메일(kes0520@korea.kr)로 제출하거나 시청 원도심지원과로 방문해 제출하면 된다.
이와 관련 김만수 시장은 “마을 만들기 지원 사업은 장기적으로 효과적”이라면서 “지속가능한 주민주도적 사업이 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가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이런 관점에서 지속적 지원 사업 및 지원 시스템을 만들어가기 위해 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세한 사항은 시청 원도심지원과 마을만들기팀(032-625-3791)으로 하면 된다.
시에 따르면 2단계 주민공모사업은 단계별 지원에 따른 사업의 안정성 및 연속성을 확보하고자 전년도 계속 사업으로 추진한다.
공공이 주도하는 마을 만들기 정책은 1년 단위로 지원돼 사업의 연속성 측면에서 문제가 제기될 수 있어 마을 만들기의 확산과 재구성을 통해 중·장기적인 시각에서의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고 판단, 2단계 공모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이에따라 2단계 공모사업은 1단계 사업과 연계돼 한층 업그레이드돼 추진된다. 지난해에는 마을미디어를 비롯해 돌봄 및 공동육아, 골목축제, 마을극단 만들기 등 11곳에서 다양한 분야의 공동체사업이 추진됐다.
마을 만들기 2단계 사업은 공동체 및 소규모 생활환경 개선 유형에 공모할 수 있으며 오는 18일까지 사업계획을 접수받는다 신청 자격은 '2014년도 마을 만들기 주민공모사업'에 선정된 단체에 한한다.
또 동일 사업으로 행정기관에서 지원을 받고 있는 곳, 영리목적 또는 특정 종교목적의 단체 등은 제외된다. 지원규모는 단체(모임)당 1개 사업으로 총 3000만원 사업비를 통해 4개 내외의 마을을 발표심사를 거쳐 선정한다.
신청서는 시청 홈페이지(www.bucheon.go.kr) ‘새 소식’에서 내려받아 이메일(kes0520@korea.kr)로 제출하거나 시청 원도심지원과로 방문해 제출하면 된다.
이와 관련 김만수 시장은 “마을 만들기 지원 사업은 장기적으로 효과적”이라면서 “지속가능한 주민주도적 사업이 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가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이런 관점에서 지속적 지원 사업 및 지원 시스템을 만들어가기 위해 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세한 사항은 시청 원도심지원과 마을만들기팀(032-625-3791)으로 하면 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